덤프버전 :

燐}}}도깨비불 린
부수
나머지 획수
, 12획
총 획수
16획
미배정
-
}}}
일본어 음독
リン
일본어 훈독
-
}}}
표준 중국어
lí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도깨비불 린(燐). '도깨비불', '(원소로서의) (燐)'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도깨비불
중국어표준어lín
광동어leon4
객가어lìn
민북어lěng
민동어lìng
민남어lîn
오어lin (T3)
일본어음독リン
훈독-
베트남어lân
유니코드에는 U+71D0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火火木手(FFDQ)로 입력한다.

이 글자의 본자는 㷠(도깨비불 린)이다. 갑골문에서 㷠은 사람() 주위에 여러 개의 점이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즉 시신 주위에 나타나는 도깨비불의 형상을 그린 상형자이다. 금문에서는 이 밑에 두 발을 나타내는 (어그러질 천)이 더해지고, 전서에 이르면 위쪽의 시신도 (불꽃 염) 자의 형태로 바뀌어 마치 (불꽃 염)과 (어그러질 천)이 합쳐진 회의자인 것처럼 되었다. 나아가 예서해서에서는 위쪽의 炎이 더 뭉개져 (쌀 미)가 되고, 모호해진 뜻을 보충하기 위해 왼쪽에 (불 화)를 더하여 현재의 자형이 되었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원소번호 15, 즉 phosphorus를 나타내는 한자로 쓰인다. 실제로도 도깨비불은 시체에 남아 있는 인화수소 등 인 화합물이 화학 반응을 통해 빛을 발함으로써 발생한다는 설이 유력하다. 중화권에서는 원소로서의 인을 나타낼 때는 상온에서 고체임을 나타내기 위해 火 변 대신 (돌 석) 변을 쓰는 磷을 쓰는데, 이 글자는 발음은 같으나 원래 돌 사이로 물이 흐르는 모양을 뜻하는 한자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3.6. 기타[편집]




4.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말 바르게 못할 련)
  • (불쌍히여길 련)
  • (여자의 자 련)
  • (힘없을 련)
  • (가파를 린)
  • (굳셀 린)
  • (기린 린)
  • (나무 이름 린)
  • (눈빛 린)
  • (맑을 린)
  • (머리숱 적을 린)
  • 𤗷(모서리 린)
  • (물 흐르는 모양 린)
  • (반딧불이 린)
  • (밭두둑 린)
  • (부끄러울 린)
  • (붙들 린)
  • (비늘 린)
  • (사람 이름 린)
  • (수레 소리 린)
  • (얼룩말 린)
  • (옥빛 린)
  • (이웃 린)
  • (이을 린)
  • 𧲂(짐승 이름 린)
  • (짓밟을 린)
  • (튼튼할 린)
  • 𥼭(린)
  • (린)
  • 𩞻(린)
  • 𢕸
  • 𡑝
  • 𥛷
  • 𦗲
  • 𧸍
  • 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03:09:02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초창기만의 표기이며, 나중에는 林鬼로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