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독립영화제

덤프버전 :





서울독립영화제
Seoul Independent Film Festival / SIFF
파일:서울독립영화제 로고.jpg
설립
1975년 (50회)
기간
매년 12월[1]
개최장소
CGV아트하우스 압구정, CGV압구정
주최
한국독립영화협회, 영화진흥위원회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
2. 특징
3. 역사
4. 행사 내용
5. 부대 행사
6. 시상 및 심사
6.1. 독립스타상 수상자
7. 참고 링크




1. 개요[편집]


“한국영화의 새로운 도전”

한국영화의 가능성을 넓혀 가는 독립영화를 지원하고 현주소를 조망하는 장으로서 서울독립영화제는 ‘한국영화의 새로운 도전’을 메인슬로건으로 선정했습니다. 1999년 영화진흥위원회와 (사)한국독립영화협회가 영화제의 변화 의지를 담은 초기 슬로건으로서 그 목표는 지금도 유효합니다. 독립영화는 영화 운동의 도도한 물결을 넘고 다양한 실천과 미학적 실험을 거쳐 영화의 미래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서울독립영화제와 함께 한국영화의 새로운 도전은 오늘도 계속됩니다.


2. 특징[편집]


  • 경쟁 독립영화제
한 해 동안 만들어진 다양한 독립영화들을 아우르고 재조명하는 국내 경쟁 독립영화제이다. 극, 실험,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독립영화를 주제, 형식, 장르에 구분 없이 공모하여 시상한다. 새로운 독립영화를 발굴할 뿐 아니라 별도의 초청 섹션을 통해 독립영화의 다양한 경향을 소개하며 한 해의 독립영화를 결산하고자 한다.

  • 교류와 소통, 축제의 영화제
동시대 독립영화인들이 한자리에서 모임으로써 독립영화의 시대정신과 비전을 찾고자 한다. 감독, 배우, 스태프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는 영화인과 독립영화를 사랑하는 관객들의 참여를 이끌어 내고 있다.

  • 미래지향적 영화제
기성 영화의 대안이 될 새로운 독립영화를 적극적으로 발굴하는 영화제이다. 독립영화의 성장과 발전에 크게 기여하며 한국 영화 안에서 독립영화의 위상을 확고히 하고 있다. 주류 영화와 차별화된 비전을 통해 영화의 새로운 가능성에 도전하고 있다.

  • 영화제 이후를 고민하는 영화제
영화제 외에도 SIFF Plus라는 타이틀로 일상사업을 펼치며 독립영화 저변을 확대하고 있다. 국내 순회상영회 인디피크닉, 해외쇼케이스, 블루레이/DVD 제작, 도서발행, 독립영화 제작지원사업, 배우프로젝트 등의 활동으로 다양한 관객과 만남을 이어가고 있다.

  • 해외 독립영화 초청 및 국제 교류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해외 독립영화를 소개함으로써, 독립영화 창작자에게 새로운 영감을 불어 넣고 있다. 해외 작품의 상영을 넘어 워크샵, 마스터클래스 등 한국 독립영화의 해외 진출과 네트워킹을 위한 다각적인 사업을 펼치고 있다.


3. 역사[편집]


  • 1975-1988년 : 한국청소년영화제
- 영화진흥공사 시사실에서 열린 단 하루의 영화제
- 상영보다는 작품 시상과 함께 젊은 영화인들을 독려하던 행사

  • 1989-1993년 : 금관상영화제
- 문화, 홍보영화 및 청소년 영화의 제작을 활성화하고 우수인재를 발굴한다는 취지
- 금관상영화제에 편입되어 한국청소년영화제의 명맥을 이어감
- 청소년들의 건전한 생활모습을 영상화한 작품 우대

  • 1994-1995년 : 금관단편영화제
- 금관상영화제로부터 독립

  • 1996-1997년 : 금관청소년단편영화제
- 상금 대폭 증가 (1천만원에서 2천만원)

  • 1998년 : 한국청소년단편영화제
- 명칭의 재변경

  • 1999-2001년 : 한국독립단편영화제
- 영화진흥위원회 출범
- 한국독립영화협회 창립과 함께 효과적인 영화제 진행을 위한 집행위원회 구성
- 본격적인 경쟁 영화제로 변모
- 2001년부터 한국독립영화협회 공동주체자로 참여
- 출품자 나이제한 폐지

  • 2002-현재 : 서울독립영화제
- 국내유일의 경쟁 독립영화제 입지 구축

4. 행사 내용[편집]


  • 본선 단편경쟁
독립영화의 새로운 가능성과 잠재력을 품고 있는 단편영화를 발굴하여 상영하고 시상하는 부문.
  • 본선 장편경쟁
한국영화의 새로운 성취와 비전을 보여주는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장편 독립영화를 상영하고 시상하는 부문.
  • 새로운선택
공식 출품 외 작품이 포함되며 장편 1편 이하를 연출한 신진감독의 참신한 패기와 도전을 격려하는 부문.
  • 페스티벌 초이스
공식 출품 외 작품이 포함되며 신진뿐만 아니라 기성감독의 화제작을 통해 독립영화의 스펙트럼을 확인할 수 있는 부문. 단편 쇼케이스와 장편 쇼케이스 부문이 포함되어 있다.
  • 독립영화 아카이브전
신작 외 작품을 포함한 다양한 기획을 통해 독립영화를 소개하는 부문.
  • 해외 초청
국내 창작자들에게 자극이 될 수 있는 해외의 독립영화를 소개하는 부문.
  • 뉴-쇼츠
영화진흥위원회가 실시한 일자리 연계형 온라인·뉴미디어 영상콘텐츠의 적극적 배급 활용을 통해 창작자와 연대하기 위한 프로그램.


5. 부대 행사[편집]


  • 개막식 - 서울독립영화제의 시작을 알리는 공식행사
  • 배우프로젝트: 60초 독백 페스티벌 - 새로운 독립영화의 얼굴을 발굴하고 창작자와 배우를 연결하는 오디션 프로그램 (영상)
  • 독립영화 매칭 프로젝트: 넥스트링크
독립예술영화 유통배급지원센터 인디그라운드와 의기투합한 창작자 중심의 독립영화 제작, 배급 환경을 모토로 한 매칭 프로젝트
  • 창작자의 작업실
영화를 둘러싼 다양한 창작자의 작업과정을 세밀하게 들여다볼 수 있는 스페셜 토크 프로그램
  • 토크포럼 - 독립영화 창작자, 기획자, 연구자들이 함께 경험을 나누며 새로운 미래를 조망하는 자리
  • 시네토크 - 창작자들과 영화 및 그 배경에 대해 면밀하게 이야기 나누는 토크 프로그램
  • GV(Guest Visit) - 상영작의 감독과 배우를 만날 수 있는 관객과의 대화
  • 깜짝 상영 - 관객심사단이 선정한 경쟁부문 단편 작품들을 상영하는 깜짝 프로그램
  • 심야 상영 - 밤새 서울독립영화제와 함께하는 독립영화가 빛나는 밤 (코로나19로 인해 잠정 중단)
  • 폐막식 - 선정된 작품과 인물의 시상식을 진행하며 서울독립영화제의 끝을 알리는 공식행사


6. 시상 및 심사[편집]


본선 장편경쟁 부문
  • 대상 - 본선경쟁 장편부문 상영작 중 대상 작품을 선정, 상금 2,000만원과 상패 수여
  • 최우수작품상 - 본선경쟁 장편부문 상영작 중 최우수작품을 선정, 상금 1,500만원과 상패 수여

본선 단편경쟁 부문
  • 단편 대상 - 본선경쟁 단편부문 상영작 중 대상 작품을 선정, 상금 1,000만원과 상패 수여
  • 단편 최우수작품상 - 본선경쟁 단편부문 상영작 중 최우수작품을 선정, 상금 700만원과 상패 수여
  • 단편 우수작품상 - 본선경쟁 단편부문 상영작 중 우수작품을 선정, 상금 500만원과 상패 수여

새로운선택 부문
  • 새로운선택상 - 새로운선택 부문 상영작 중에서 선정, 상금 700만원과 상패를 수여한다.
  • 새로운시선상 - 새로운선택 부문상영작 중에서 선정, 상금 300만원과 상패를 수여한다.

특별상
  • 독립스타상 - 본선경쟁 장편부문과 단편부문 상영작에 출연한 배우 각각 1명씩 선정, 상금 200만원과 상패 수여
  • 열혈스태프상 - 본선경쟁 장편부문 상영작에 참여한 스태프 중에서 1명 선정, 상금 200만원과 상패 수여
  • CGK촬영상(촬영감독조합상) - 본선경쟁 장편부문과 단편부문 상영작에 참여한 촬영스태프 중에서 1명 선정, 상금 300만원과 상패 수여
  • 독불장군상 - (사)한국독립영화협회 운영위원회가 본선경쟁 부문 중에서 선정, 상금 200만원과 상패 수여
  • 집행위원회특별상 - 서울독립영화제2021 집행위원회가 전체 상영작의 참여자 중 선정, 상금 300만원과 상패 수여
  • 관객상 - 전체 상영작 중 관객 투표를 통해 최고의 호평을 받은 장편과 단편에 각각 상금 150만원과 상패 수여


6.1. 독립스타상 수상자[편집]


년도
수상자
작품명
2009
이채은
수진들에게 / 거짓말
서준영
회오리 바람
2010
유다인
혜화,동
2011
이민지
애드벌룬
2012
김창환
지각생들 / 밤 / 1999, 면회
2013
이주승
셔틀콕
2014
이상희
남매
변요한
소셜포비아
2015
윤금선아
여름의 끝자락
정하담
스틸 플라워
2016
정재광
수난이대 / 여름밤
2017
전여빈
죄 많은 소녀
문혜인
한낮의 우리
2018
안지호
보희와 녹양
김재화
다운
2019
이주영
야구소녀
한혜지
입문반
2020
이봉하
휴가
변중희
실버택배
2021
양말복
같은 속옷을 입는 두 여자
임선우
퇴직금
조민경
2022
손수현
힘찬이는 자라서
기윤
사랑의 고고학


7. 참고 링크[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5:06:55에 나무위키 서울독립영화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보통 11월 마지막 주에 시작해서 12월 초까지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