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6

덤프버전 :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현대 중국 인민해방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중국 인민해방군 (1948~현재)
中国人民解放军 / 中國人民解放軍

회전익기
다목적 헬기
Z-5R, AS350, Mi-8, Mi-8T, Mi-17V7, Mi-171(V, V5), Mi-172, Mi-6, S-70C2, Z-9, Z-15, Z-20, SA-316이상 육
수송헬기
Mi-26, Z-8, Z-18
공격헬기
WZ-10 , Z-19, Z-11
대잠헬기
Ka-27, Z-8, Z-9, Z-20이상 해
전투기
1세대
MiG-9(I-307, J-1)R, J-2R, J-4R, J-5R
2세대
J-6R, J-7해, 공
3세대
J-7(E/G), J-8(A/B)해, 공, J-9
4세대 / 4.5세대
J-10(A/B/C)해, 공, J-11(A/B/BS)해, 공, J-15, J-16, Su-27(UBK/SK)해, 공, Su-30(MkK/Mk2), Su-35, F-16/79
5세대
J-20, {FC-31}
공격기
Q-5
전폭기
JH-7(A/B), Q-6
전략폭격기
Tu-4R, H-5R, H-6, H-6K, {H-20}
수송기
Y-5, CRJ200, CRJ700, Il-76, Y-7, Y-8, Y-9, Y-11, Y-12, Y-20
지원기
공중조기경보통제기
KJ-1R, KJ-2000, KJ-500, KJ-200, {KJ-600}
전자전기
Y-9(G/X), J-16D
대잠초계기
Y-8FQ, Y-9Q
정찰기
Tu-154MD, JZ-6R, JZ-8
공중급유기
Il-78, H-6U, YU-20
무인기
UAV
샹룽, WZ-7, WZ-8, WZ-10
UCAV
GJ-1, GJ-2, {GJ-11}, TB-001
훈련기
JL-8, JL-9, L-15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PLAAF_Xian_HY-6_Li_Pang.jpg

1. 개요
2. 제원
3. 개발
4. 형식
4.1. H-6K
5. 실전
6. 대중매체에서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중국 공군해군 항공대가 보유하고 있는 쌍발 전략-전술 폭격기. 중국소련Tu-16을 라이센스해서 만든 폭격기이다.


2. 제원[편집]


XIAN H-6 (西安轰六)
승무원
4명
전장
34.8m
날개폭
33.0m
높이
10.36 m
익면적
165 m²
공허중량
37,200 kg
만재중량
76,000 kg
최대 이륙중량
79,000 kg (174,000 lb)
엔진
2 × 시안 WP8 터보제트, 93.2 kN (20,900 lbf) each
최대속도
1,050 km/h
항속거리
6000km
실용 상승한도
12,800 m
날개하중
460 kg/m²
작전반경
1,800 km
무장
기관포
2× 23 mm (0.906 in) Nudelman-Rikhter NR-23 cannons in remote dorsal turret
2× NR-23 cannons in remote ventral turret
2× NR-23 cannons in manned tail turret
1× NR-23 cannons in nose (occasional addition)
미사일/폭탄
7× KD-88 미사일 (공대함, 공대지 미사일)
CJ-10 공대지 순항미사일, 마하 0.75, 사거리 3,000 km
6× YJ-12 대함 미사일, 마하 4, 사거리 400 km
C-601 대함미사일
YJ-62 (C-602) 대함미사일
1× Kh-10 (AS-2 'Kipper') 대함미사일
1× Kh-26 (AS-6 'Kingfish') 대함미사일
9,000 kg (20,000 lb) 자유낙하폭탄


3. 개발[편집]


중국은 1950년대 소련과 광범위한 기술교류 협정을 맺었고, 이에 따라 소련제 전투기 MiG-17, MiG-19 및 해군 함정들을 라이센스 생산하기 시작했다. Tu-16도 1958년부터 라이센스 사업이 시작되었다. 그리하여 H-6이라는 이름으로 라이센스판이 나오기 시작했다. Tu-16은 소련에서 개발한 최초의 전략폭격기였고, Tu-95와 함께 한동안 소련 전략폭격기대의 주전력이었으나 여러 미흡한 점이 많아서인지 1980년대 본고장에서는 모두 퇴역했다.

하지만 중국은 1959년부터 소련과의 교류가 단절되었고, 이어 1980년대까지 여러 정치적 격변이 있어서 나라가 어수선했던데다가 굳이 전략폭격기가 필요할만한 국제정치학적인 위치가 아니었으므로 1980년대 이후에도 후속기 개발은 하지 않고, 계속 H-6이 현역으로 머무르고 있었다. 어쨌든 구식이지만, 현재 세계에서 전략폭격기대를 굴리고 있는 나라는 미국, 러시아에 이어 중국밖에 없다.

195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설계의 한계 때문에 원형인 H-6A에 뒤이어 중국은 계속 개량을 단행하였다. 이라크이집트에도 수출된 바 있다.

또한 이것을 개조하여 공중급유기로도 사용하고 있다.


4. 형식[편집]



4.1. H-6K[편집]


파일:external/sinodefence.files.wordpress.com/h-6ka.jpg

신형 H-6K. 문서 상단의 이미지와 비교해보면 기수부분이 완전히 달라졌음을 알 수 있다.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 해상교통로 확보와 해상패권 장악의 필요성이 제기되자 해군의 증강을 서두르는 한편, 적의 함대를 원거리에서 타격할 수 있는 수단을 찾게 되었다. 그리하여 이런 목적의 컨셉을 가진 러시아의 최신형 초음속 폭격기인 Tu-22M을 획득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러시아는 전략폭격기로 사용될 수 있는 Tu-22M의 수출은 거부했고[1], 중국은 하는수 없이 H-6을 전면 개량한 H-6K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2000년대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H-6을 현대해전에서 가상 적국인 미국/일본의 방공구축함을 상대할 수 있도록 전자화된 설계로 완전히 뜯어 고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사실 H-6과 이복형제라고도 할 수 있는 B-52나 Tu-95에서도 마찬가지로 이렇게 현대화 업그레이드를 실시해서 계속 띄우고 있다.)그리하여 2007년 5월 초도비행을 실시했으며 2009년 실전배치했다. 레이더뿐만 아니라 엔진까지 업그레이드(MiG-35에 장착한 엔진)용을 사용하여 전투반경을 3,500km로 늘렸고, 기계식이던 콕핏도 전자식으로 개량했다. 여기에 중국제 크루즈 미사일이나 공대함 미사일인 CJ-10A를 달 수 있게 날개에 6개의 파일런을 장착하였다. 기체 후미의 기관총좌 같이 현대전에 불필요한 부분은 생략되고 전자장비로 대체되었다. 중국공군은 이 기체를 이용하여 동태평양 깊숙한 곳까지 공중급유를 받아가며 (미해군을 겨냥한) 훈련을 해왔다고 한다.

H-6K의 최대 주익폭장량은 약 9000kg정도로 대한민국 공군의 F-15K 슬램이글의 11톤 보다 적기 때문에 자칫 별로 위협이 되지 않는 폭격기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사거리가 약 2000km 에 달하는 CJ-10 순항미사일을 6발이나 장착할 수 있어 중국 본토 내에서 한국, 일본, 동남아 등 동아시아 전역을 타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충분히 위협이 된다고 볼 수 있는 기체이다.

그리고 순항미사일을 탑재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하지만 아무리 개량을 했다고 해도, 근본적으로 195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아음속기이기 때문에 중국군도 이의 한계를 인식, 스텔스 폭격기 H-20의 제작을 서두르고 있다고 한다.

파일:external/theaviationist.com/Chinese-Stealth-fighter-bomber-side-view-706x441.jpg
중국이 개발중인 스텔스 폭격기 H-20의 개념도

5. 실전[편집]


2017년 1월 초, 남중국의 기지에서 출동한 H-6K 6대와 Y-8 조기경보기 1대[2], Y-9 정찰기[3], 그리고 호위기로 J-11 여러대로 이루어진 중국 폭격기 편대가 한국-일본의 방공식별구역[4]에 진입해 동해까지 진입한 후, 동해에 대기하고 있던 중국 함대와 훈련을 하고 다시 기지로 돌아갔다. 이를 요격[5]하기 위해 한국 공군 전투기 10여대 일본 자위대의 전투기들이 출격했다고 한다. 중국측으로서는 무력시위 겸 폭격기대의 장거리 작전 능력을 점검한 듯.

파일:external/img.yonhapnews.co.kr/AKR20170109178551073_01_i.jpg
H-6 폭격기대의 경로.



6. 대중매체에서[편집]


파일:FB_IMG_1680609814065.jpg
DCS World에서 폭격기로 등장한다.

파일:20230402_235325.jpg
2022년 8월, 4티어 배틀패스 보상로 출시되었다.
극초음속 핵미사일인 CH-AS-X-13을 장비한데다 랜서급의 속도와 체력을 가지고 있던 탓에 Tu-22MSR-72같은 강력한 폭격기들이 출시되기 전까지 폭격기중 가장 밸붕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Tu-22M보다 한방딜은 낮으나, 미사일 위주 무장이라 안전성은 H-6이 더 좋다.


7. 둘러보기[편집]


✈️ 항공병기 둘러보기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냉전기 1945~1991 ]⠀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틀:현대전/유고슬라비아 항공병기|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틀:현대전/바그너 그룹 항공병기|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7 00:58:40에 나무위키 H-6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냉전 이후 중국과 러시아는 전략적 동반자로서 미국을 견제하는데 크게 협력하고 있으나, 러시아는 Tu-22M과 그밖의 전략무기들은 판매하지 않고 있다. 사실 러시아는 중국과 수천km의 국경을 맞대고 있기 때문에, 사이가 나빠지면 미국보다도 더 위험한 상대가 될 수 있다.[2] Y-8로 발표되었지만, 실제로는 Y-8의 공중경보기 버전인 KJ-200일 것이다.[3] 정찰기로 발표났지만, 실제로는 전자전기로 쓰이는 기종이다.[4] 방공식별구역은 영공의 개념이 아니기 때문에 중국이 여기에 진입한 것은 중대한 군사적 도발행위는 아니다. 다만 신경전의 의미가 있다.[5] 격추한다는 것이 아니라 감시한다는 뜻으로 요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