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8

덤프버전 :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현대 중국 인민해방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중국 인민해방군 (1948~현재)
中国人民解放军 / 中國人民解放軍

회전익기
다목적 헬기
Z-5R, AS350, Mi-8, Mi-8T, Mi-17V7, Mi-171(V, V5), Mi-172, Mi-6, S-70C2, Z-9, Z-15, Z-20, SA-316이상 육
수송헬기
Mi-26, Z-8, Z-18
공격헬기
WZ-10 , Z-19, Z-11
대잠헬기
Ka-27, Z-8, Z-9, Z-20이상 해
전투기
1세대
MiG-9(I-307, J-1)R, J-2R, J-4R, J-5R
2세대
J-6R, J-7해, 공
3세대
J-7(E/G), J-8(A/B)해, 공, J-9
4세대 / 4.5세대
J-10(A/B/C)해, 공, J-11(A/B/BS)해, 공, J-15, J-16, Su-27(UBK/SK)해, 공, Su-30(MkK/Mk2), Su-35, F-16/79
5세대
J-20, {FC-31}
공격기
Q-5
전폭기
JH-7(A/B), Q-6
전략폭격기
Tu-4R, H-5R, H-6, H-6K, {H-20}
수송기
Y-5, CRJ200, CRJ700, Il-76, Y-7, Y-8, Y-9, Y-11, Y-12, Y-20
지원기
공중조기경보통제기
KJ-1R, KJ-2000, KJ-500, KJ-200, {KJ-600}
전자전기
Y-9(G/X), J-16D
대잠초계기
Y-8FQ, Y-9Q
정찰기
Tu-154MD, JZ-6R, JZ-8
공중급유기
Il-78, H-6U, YU-20
무인기
UAV
샹룽, WZ-7, WZ-8, WZ-10
UCAV
GJ-1, GJ-2, {GJ-11}, TB-001
훈련기
JL-8, JL-9, L-15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파일:external/www.ausairpower.net/J-8A-PLAAF-1S.jpg
J-7과 똑같이 생긴 A형. J-7이 약 15m인 반면, J-8A는 20m 정도 되니 약 25% 정도를 늘려놓은 형상이다.

파일:external/www.ausairpower.net/J-8B-PLAAF-3S.jpg
인테이크를 동체 좌우로 옮기고 기수에 레이돔을 설치한 B형. A형과는 다른 기체로 보일 정도로 형상 변화가 두드러진다.

1. 개요
2. 제작배경
3. 현황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선양 항공기 제작 공사(沈飛航空博覽園 Shenyang Aircraft Corporation)가 만든 1990년대 중국의 주력 전투기. 현재는 수호이 Su-27의 면허생산인 J-11과 자체 개발한 J-10으로 대체되는 중이다. NATO 코드네임은 핀백(Finback). 원형을 핀백A, Ⅱ를 핀백B라고 한다.


2. 제작배경[편집]


소련에서 마지막으로 면허를 받아 생산한 MiG-21을 복제한 J-7의 개발에 성공한 중국은 소련과의 외교관계 악화로 고성능의 신형 기종의 도입과 기술협력을 기대할 수 없기에 고성능의 초음속 전투기를 독자적으로 개발하기로 결정하였다. J-8은 1964년 5월에 J-7을 기반으로 고고도 고속전투기 연구와 개발 지시가 그 기원으로 마하 2.2, 최대고도 20,000m, 표준항속거리 1,500km, 장거리 수색 레이더 탑재 등으로 소련의 MiG-23급의 전투기 개발을 목표로 삼았다. 부족한 기술력과 자원을 가지고 단기간에 개발하기 위해 개발진은 J-7의 쌍발, 대형화를 시도하였다. 덕분에 J-7의 형상을 거의 그대로 가진 상태에서 후부동체 구조만 약간 넓어진 듯한 모습인데 길이는 크게 늘어나서 전투기로서는 매우 특이할 정도로 길쭉한 형상이 되어 버렸다.

개발 착수는 1965년 5월이며 시제기의 첫 비행은 1969년 7월에 성공하였다. 단순한 카피형인 J-7과 달리 처음으로 독자적 전투기 개발이기에 첫 비행에서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개발 완료직전 문화대혁명의 영향을 받은 J-7과 달리 직격으로 문화대혁명의 영향을 받아 개발이 대폭 지연되어 J-8의 양산형은 1980년 5월에 등장하였다. 그러나 같은해 첫 비행에서 엔진에 화재가 발생하며 또다시 연기되었고 이 문제는 1981년 해결되어 다시 비행에 성공하였지만 비행이 성공한 시점에서도 탑재될 전자장비의 개발이 지연되어 1984년이 되어서야 SR-4 레이더가 완성되어 J-8 생산은 1985년부터 본격적으로 실시되었다.

J-8Ⅱ의 개발은 1986년 판보로 에어쇼에서 중국 기술진의 언급으로 알려졌으나 실제 시제기의 첫 비행은 1984년 6월에 실시하였다(레이더는 미장착).

J-8Ⅱ는 단순한 개량형이 아닌 사실상 별개의 기종으로 재설계된 전투기로, J-8의 개발 이전 소련과 사이가 틀어져서 도입하지 못한 MiG-23을 마찬가지로 소련과 사이가 틀어진 이집트로부터 구입했으며 이 MiG-23을 연구/분석한 데이터를 사용했다는 신빙성 높은 설도 있다. 실제로 중국의 모 군사박물관에 이집트 국기만 지운 이집트 공군 도장의 MiG-23 1기가 전시중이다.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1444470.jpg
Tu-128을 생각나게 할 정도로 비정상적으로 동체가 길쭉하다.

기수에 공기 흡입구가 있어 노즈콘의 제약이 생겨 대형의 고성능 레이더 장착에 제한이 있던 J-7과는 달리 공기 흡입구를 동체 양측면으로 옮기고 기수에 대형 레이더 돔을 설치한 발전형 기종으로 외형적인 모습은 Su-15과 비슷한 모습을 보인다. 공기 흡입구는 Su-15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F-4 팬텀 II와 비슷한 2차원 공기 흡입구를 설치하였다. 공기흡입구 아래에는 에어 브레이크를 설치하였고 엔진은 J-7Ⅲ에 장착된 청두 WP-13A형 엔진을 사용하였다.

주익은 후퇴각 60도의 대형 델타익이며 중앙동체에서 후방동체까지는 크게 변경되지는 않았다. 큰 후퇴각의 주익 형상 때문에 주익폭이 기체크기에 비해 매우 좁은 형태로 길이는 무려 21.6m에 달하지만 폭은 9.3m를 조금 넘는데 20m나 그 이상의 전장을 가진 F-15Su-27의 주익폭이 13~14m급이라는 것을 생각해 보면 익폭이 F-16보다 좁고 Su-15와 같을 정도로 매우 좁은 편이다. 대형 레이돔과 이러한 설계를 볼 때 운용은 Su-15와 유사하게 요격기에 가까운 듯. 알려지거나 추정되는 성능도 최대 상승고도 추정치를 제외하면 거의 비슷하다. 레이더 등 전자장비는 중국의 기술부족으로 개발이 쉽지 않았기에 1980년대에 서방세계와 우호적인 관계가 되면서 중국은 미국에게 기술협력을 요청하였고 1987년 8월 노스롭이 협력하는 5억 달러 규모의 계약이 체결되었다. 레이더, 컴퓨터, 관성 항법장비로 구성된 전자장비 패키지는 1991년부터 인도될 예정이였지만 1989년 천안문 사태로 1990년 5월 계약이 파기되면서 다시 독자적으로 추진할 수 밖에 없었다. 양산은 1990년부터 시작은 되었으나 처음에는 생산이 매우 느리게 진행되어 1993년까지 20대 정도를 생산하는 수준이였다.

미국과의 협력이 좌절되고 소련의 붕괴후 신생 러시아와의 관계가 개선되면서 러시아의 장비와 기술 지원을 받은 내수와 수출을 위한 J-8Ⅱ형의 발전형은 1995년 J-8ⅡM으로 개발을 발표하였다. 파조트론 ZHUK-8 다기능 레이더를 장착하여 탐색과 추적이 동시에 가능하며 룩다운 슛다운이 가능하게 되어서 R-77 애더, R-27R 알라모의 탑재가 가능하게 되었다. J-8ⅡM은 1996년 4월 첫비행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양산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현황[편집]


J-8 계열은 고성능인 J-11이 도입되기 전까지 중국군의 최강 전투기였으며, 원형과 II를 합해 모두 390대가 생산되었다. J-11이 나오기 전까지 1990년대 중반 ~ 2000년대 초반 잠시 중국 공군의 주력 전투기였다. 하지만, 2000년대 후반들어 중국 공군의 주력은 4세대기인 J-11J-10가 되면서 자연스럽게 주력 전투기의 자리에서 밀려났다. 중국으로서는 3세대기를 주력으로 내세울 정도로 취약했던 공군 전력이 단숨에 업그레이드 된 셈이다. 당시 주변국의 전력을 보면 한국은 KF-16, 대만은 F-16A/B과 미라지 2000, 일본이 F-15J, 인도도 미라지 2000 등의 4세대기를 운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2000년대 중반까지는 확실히 중국 공군이 열악했던 것은 맞다. 심지어 북한 공군도 1980년대부터 J-8급 전투기인 MiG-23이나 4세대기인 MiG-29를 운용했다. 북한 공군이 막장으로 치달은 것은 1990년대 후반의 고난의 행군 이후부터이며, 1980년대만 해도 F-4, F-5를 주력으로 삼던 한국 공군에 그다지 뒤지지는 않았다.

해군에서 운용하는 J-8II는 2001년에 하이난 도에서 미국의 정찰기 EP-3E와 공중충돌한 기종으로, 그 전까지는 J-8이 실전 배치되어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으나 이 사고로 실전배치되어 요격용으로도 사용 중이라는게 확인되었다. 추락후 조종사는 행방불명되고, EP-3은 하이난 도에 불시착했다.[1]

J-7이 F-7이라는 서방식 명칭으로 개명된 뒤 제3세계 국가들에 대규모로 수출되었던 것처럼, J-8II 역시 성능을 한층 더 개량한 뒤 F-8IIM이라는 서방식 명칭으로 개명하여 수출도 해보려 시도된 적이 한때 있었으나 이는 페이퍼 플랜으로 끝났다. 여러모로 저렴하면서도 적당한 성능을 갖춰 우방국에 대한 원조라는 의미에서 헐값에 마구 뿌릴 수 있었던 J-7과는 달리 제3세계 국가들이 구매하기에는 가격이 비교적 높았고, 또 성능 역시 미국F-4와 비슷한 수준이어서 중국 스스로의 기준으로 보아도 만족스럽지 않았기에 아무리 추가적으로 좀 더 개량을 해서 판다고는 해도 다른 나라들의 입장에서는 선뜻 구매하고 싶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F-4가 1960년대에 나온 기종이고 그보다 좀 더 성능이 월등한 F-15가 1970년대에 나온 기종임을 감안하면 미국의 동급 기종들에 비해 20년은 뒤떨어지고 있었다고 봐야 한다. 또한 F-15와 동급인 러시아Su-27도 1980년대에 개발한 기종이므로 러시아에도 10년이 뒤지고 있었던 것. 1990년대 중반에 배치된 시기로 보면, 문화대혁명과 천안문 사건의 영향으로 인해 나온 시기가 너무 늦었던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원판인 J-8부터가 대형인 동체에 걸맞지 않은 구식 엔진을 장착한 탓에 엔진을 쌍발로 늘렸다고는 해도 그 성능이 뻔했고, 여러 개량을 가해 대폭적으로 성능이 강화된 J-8II이나 그것을 또 한 차례 더 개량한 F-8IIM이라 해도 그러한 원판의 한계를 완전히 넘어설 수는 없었던 것이다. 거기다가 쌍발 대형 전투기에다 나름대로 전자장비도 구색을 갖춘 기종이니 유지비도 싼 편이 아니었고 또 이런 쌍발 대형 전투기 자체를 필요로 하는 나라들은 그리 많지 않은데다 그나마도 돈을 더 주고 미국F-15를 구입하거나 또는 러시아Su-27을 도입할 정도의 능력은 되는 나라들이다. 중국제 무기가 원래 뛰어난 가성비제3세계 국가들을 고객으로 하고 있는데, 돈없는 빈국으로서는 딱히 성능이 압도적이지도 않은 쌍발 대형전투기를 굳이 엄청난 유지비 들여가며 중국에서 살 필요는 없는 셈이다.

그러므로 J-8은 1970년대의 중국처럼 미국-소련 모두와 척을 지고 있었을 때나 울며 겨자먹기로 사용해야 했을 전투기이며, 중국 공군의 열악한 과거를 상징하는 기종이다. 현재는 이미 2선으로 모두 퇴역했으며, 대체기종으로 J-10과 J-11이 투입되고 있다.


4. 둘러보기[편집]


✈️ 항공병기 둘러보기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냉전기 1945~1991 ]⠀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틀:현대전/유고슬라비아 항공병기|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틀:현대전/바그너 그룹 항공병기|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8 04:37:25에 나무위키 J-8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승무원들은 EP-3기를 불시착시키자마자 중국군의 손에 넘어가면 안될 민감한 기기들을 파괴했다. 승무원들은 10일간 구류되어 있다가 중국측에 사과성명을 한 후 석방되어 민항기를 타고 본국에 돌아왔고, EP-3은 중국 당국에 철저히 조사되었는데, 중국측이 어떤 정보를 얻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미국 측에서는 기체를 다시 비행해서 귀국하려 했지만, 중국측이 이를 거부, 완전히 해체된 후, An-124에 실려 미국으로 돌아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