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폭기

최근 편집일시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F-15E_gbu-28_release.jpg}}}
서구권의 대표적 전폭기 보잉 F-15E 스트라이크 이글

이미지:Screenshot_3-29-2.jpg}}}
동구권의 대표적 전폭기 수호이 Su-30 플랭커-C/H

1. 개요
2. 역사
3. 경향
3.1. 멀티롤로의 회귀
4. 목록
5. 관련 문서
6.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전투폭격기(Fighter-Bomber)'의 줄임말이다. '전투폭격기'란 말 그대로 '전투기+폭격기'의 성향을 가지는 전투기로서, 공대공 전투(공중전)와 폭격 임무를 같이 수행할 수 있는 군용 비행기를 가리키는 말이다. 폭탄을 달고 있을 땐 전폭기, 폭탄을 떨어뜨리고 나면 전투기가 된다고 보면 된다.

대형 전투폭격기는 전략폭격기에는 못 미쳐도 전술폭격기의 역할은 충분히 대신할 수 있을 정도의 지상 공격 능력을 가지고 있으나, 소형 전투폭격기의 경우에는 크기 등의 문제로 인해 폭장량의 제한이 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지상 공격 능력은 공격기 수준으로 한정되고 있는 경우도 많다. 비슷한 개념으로 '이중목적전투기(Dual-role Fighter, 듀얼-롤 파이터)'[1]·'전환임무전투기(Swing-role Fighter, 스윙-롤 파이터)'·'타격 전투기(Strike Fighter, 스트라이크 파이터)'·'다목적 전투기(Multirole Fighter, 멀티롤 파이터)' 같은 말도 있으며, 전투폭격기는 다목적 전투기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다. '전투기+공격기'의 성향을 가지는 전투기를 말하는 '전투공격기(Fighter-Attacker)'와 사실상 동의어로 쓰이기도 한다. 둘 다 다목적 전투기의 일종이기 때문이다.

굳이 구분하자면 폭장량이 우월하고 폭격기로서의 성향이 강하며 전반적으로 전술폭격기의 역할을 대신하는 것에 주안점을 둔 대형 다목적 전투기는 전투폭격기, 폭장량이 조금 모자라고 공격기로서의 성향이 강하며 전반적으로 공격기의 역할을 대신하는 것에 주안점을 둔 소형 다목적 전투기는 전투공격기라는 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렇듯 전투폭격기와 전투공격기는 서로 간의 차이점이 그다지 크지 않은 편이고, 그렇기에 일반적으로는 양쪽 모두 몽뚱그려서 전폭기로서 일괄되어 불리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 전투기들은 대개 순수한 제공전투기로 설계되었다가 무지 튼튼하고 엔진 출력 빵빵한 특징으로 인해 겸업을 하게 된 사례가 많다. F-14B 톰캣의 경우에는 A-6 인트루더의 퇴역으로 인해 초래된 부족한 지상 타격능력을 메우고 F-14를 퇴역시키지 않아도 될 이유를 만들기 위해 전폭기 기능을 추가시킨 것에 가깝다.


2. 역사[편집]


2차 세계대전 초기에는 기술의 한계로 전투기폭격기의 역할은 분리되어야 했지만, 쌍발 엔진을 장착한 중전투기가 폭장을 달고 장거리 타격 임무를 수행하면서 전폭기의 개념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후 전술기의 능력이 향상되면서 전투기와 폭격기 양면의 능력을 부여하는 경향이 보인다. 20세기 중반에 이르러서는 기술이 발달하고 전투기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폭격기의 역할이 급감하고 전폭기가 그 역할을 상당 부분 대신하게 된다.

현대에는 공대지 무장의 정밀화가 이루어지게 되어서, 무유도 항공 폭탄도 향상된 조준장치로 높은 명중률을 가지게 되었다. JDAM 등의 유도 폭탄은 30m급 CEP에 95% 수준의 신뢰성(타격 성공)을 보인다. 폭격기로 일시에 많은 폭탄을 쏟아부어 광역제압을 하는 융단폭격식의 운용은 구식이 되었다.

폭격기보다 소형인 다목적 전술기가 정밀하게 지상공격을 가하면 운용비 역시 줄어든다. 점진적인 시대적 변화에 따라 전폭기의 등장은 필연적이었던 것이다.


3. 경향[편집]



3.1. 멀티롤로의 회귀[편집]


20세기 후반부터는 전술기의 능력이 대폭 향상되어서, 크기에 무관하게 다양한 능력을 부여받고, 많은 작전을 능히 해내게 되었다. 전술기 대다수가 전투기폭격기, 그 이상의 능력까지 부여받는 멀티롤(Multirole)이 대세가 된 것이다.

가령 21세기프랑스 항공우주군영국 공군은 전성기에 비해서 전술기 숫자가 줄어들었다. 그럼에도 여전히 선진적인 전술기를 보유한 현대적인 공군이다. 프랑스라팔미라주 계열을 보유하며, 영국유로파이터 타이푼F-35를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는 대형 전폭기가 없는데, 대형 전폭기에 비해 비교적 작고 가벼운 중형 전폭기로도 지상공격이 가능하다는 판단이 있었기 때문이다.[2] 이렇게 현대에 이르러 멀티롤이란 단어가 우선시되고 전폭기란 단어는 다소 사양된 감이 있다.

21세기미합중국 공군의 경우에도 대형 전폭기인 F-15E나 소형 전폭기인 F-16을 운용함과 동시에, 그 사이의 중간격 체급을 지니는 중형 전폭기로서 전폭기 겸용 다목적 공중우세기F-35를 운용하고 있다. 미 공군은 지상타격 임무에 투입되지 않는 순수한 공중우세기로서 하이급 전력의 역할을 맡는 F-22와 지상타격 임무에 적극적으로 투입되는 전폭기 겸용 다목적 공중우세기로서 로우급 전력의 역할을 맡는 F-35를 하이로우 믹스로 조합하고, 여기에 추가로 대형 전폭기인 F-15E와 소형 전폭기인 F-16을 운용하는 것을 통해 지상타격 능력을 보강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3.2. 헌터 킬러[편집]


굳이 공중우세기까지 아니더라도, 훈련기 기반의 LCA조차 공격기는 당연하고 (고)성능에 따라 예전의 요격기의 역할 일부도 하는 판에 개별 전투기의 기체 성능으로 전투기의 종류를 구분하기에는 이미 나누기가 쉽지 않다.

이때 전술 개념인 헌터 킬러를 현대 공군의 입장으로 재해석해보면 의외로 역할은 분명해진다. 공중우세기가 진로상에 있는 몇대의 적 전투기를 우월한 탐지능력과 공대공으로 쉽게 제압하며 핵심목표를 해결하고 빠져나오는 일선기 혹은 헌터라면, 뒤늦게 상황을 알고서 쫓아나오는 적 전투기 '부대'를 상대하거나, 핵심목표 때문에 지나쳤던 전장의 남은 목표를 마저 해결하기 위한 이선기 혹은 킬러 역할이 전폭기라 보면 이해하기 쉽다. 당연히 많은 무장이나 고성능 우위를 위해 '대형' 멀티롤 전투기는 좋은 선택이 된다.

이 전술에서 헌터 역할인 스텔스 전투기 F-35가 없는 나라는 사실상 불가능하며, 킬러 역할도 F-16V로는 애매한 부분이다.


4. 목록[편집]


공식적으로 전폭기(Fighter-Bomber)로 분류된 기종만 쓸 것. 억지로라도 공대지 전투를 할 수 있는 전투기는 넘쳐나기 때문이다.

  •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Bf 110: 초기에는 장거리용 제공전투기 겸 폭격기 호위용 호위기로 설계되었으나 영국 본토 항공전에서 쓴맛을 본 뒤에는 공대공 전투에서 해제되고 그 대신 폭탄을 떨구면서 전속력으로 내빼는 임무에 투입되어 상당한 전과를 올렸다. 이후 야간전투기로 투입되어 제법 성과를 올리기도 했으나 폭격기인 Ju 88보다 비행 성능이 떨어져서 그마저도 넘겨줘야 했다.

  •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Fw 190 F/G: Fw 190 중에서도 폭장능력이 강화된 F형과 G형이 전폭기로 분류된다.

  •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Me 410: 중전투기지만 기본 컨셉이 슈넬봄버(고속 폭격기)라서 내부 폭탄창이 존재하여 전폭기로도 분류한다.#


  •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Do 335: 폭장량만 1톤인 전폭기다. 내부 폭탄창 존재.

  • 파일:영국 국기.svg DH 98 모스키토 FB: 경폭격기에서 시작되었으나 다양한 사양이 개발되었는데, 이들 중에서 FB 계열이 전폭기로 분류된다.







  • 파일:소련 국기.svg Yak-9B/T/K/DT/UT: 소련의 Yak-9계열기 중 해당 기종들은 모두 제대로 전폭기이거나 전폭기로 쓸려고 설계해놓고 일반전투기 무장을 달아놓은(UT형) 것들로, T/DT형은 대전차 전투공격기로 37mm, K형은 45mm 대전차기관포를 달고 다녔다. B형은 전투폭격기로서 폭탄창을 가졌으며, 여기에 소수의 항공 폭탄이나 박격포탄과 비슷한 크기의 PTAB 대전차 자유낙하 성형작약 항공폭탄을 수십발씩 달수 있는 기종이었다. UT형은 T/DT형의 37mm와 K형의 45mm 모두 설계상으로는 가능한 전투공격기였으나 일반 대공무장만 한 채 배치했다. 아무래도 이전에 배치해둔 전폭기/전투공격기가 넘쳐흐르는 당시 상황 때문인 듯 하다. 거기다 전체 지상지원기 수요의 대부분을 소련 공군의 3분의 1을 홀로 차지한, 세계 군용기 생산량 부동의 1위, 세계 항공기 생산량 2위의 하늘의 T-34, 하늘의 저글링 Il-2 슈트르모빅들이 장악하고 있기도 했다.[3]

  • 파일:소련 국기.svg Su-24: 미국의 F-111에 해당하는 포지션을 가진 장거리 공격기로, 공중전도 어느 정도 가능은 하기에 전폭기로도 분류된다.

  • 파일:러시아 국기.svg Su-30: 공중우세 전투기인 Su-27의 파생형으로 개발된 다목적 전폭기. 원본인 Su-27나 그 Su-27의 단순 복좌형인 Su-27UB에 비해 지상 폭격능력이 보다 향상되어 있다. 따라서 원본인 Su-27이 공대공 공중전에 치중한 성능을 가진 것과는 달리 전폭기로서의 범용성을 가진다.

  • 파일:러시아 국기.svg Su-34: 역시 공중우세 전투기Su-27의 파생형으로 개발된 장거리 전폭기로 상기한 Su-30보다 지상 폭격능력이 한층 더 강화되었으며, 장거리 임무 수행을 위한 여러가지 장비가 탑재되어있고 항속거리가 증가했다. 미국의 F-111에 해당하는 포지션을 가진 장거리 공격기인 Su-24의 임무를 계승한 기종이다.


  • 파일:미국 국기.svg파일:영국 국기.svg P-40 워호크: 미 공군형 P-40은 전투기로만 분류되는 게 보통이나, 영국 사막공군에 의해 토마호크 또는 키티호크로 명명된 영국 공군형 P-40은 전폭기로도 분류된다. 비록 공중전 성능은 뒤졌지만 튼튼한 기체 강도로 근접지원에서 대활약했다. 그리고 쪽수로 아프리카 군단을 끈질기게 괴롭히면서 에르빈 롬멜 원수의 심기를 박박 긁어놓기도 했다. 한스 요아힘 마르세이유의 격추수 셔틀이 되는 비극도 겪었지만 말이다.

  • 파일:미국 국기.svg P-47 썬더볼트: P-51 머스탱에 비해서 항속거리는 짧았지만 적기의 탄환이 바닥날 때까지 피탄당하고도 살아남은 사기적인 맷집과 50구경 기관총 8정이라는 무지막지한 화력, 압도적인 고공성능으로 공대공과 공대지를 가리지 않고 큰 활약을 했다. 그 이름을 물려받은 항공기가 압도적인 내구력을 갖춘 '탱크버스터'인 멧돼지 A-10...

  • 파일:미국 국기.svg F4U 콜세어: 이게 나오는 시절에는 이미 태평양 전쟁의 제공권은 F6F 헬캣이 잡아놓았기에 전투기보다 전폭기로서 더 자주 쓰였다. 주적이었던 일본 해군의 폭격기/공격기인 1식 육상공격기B7A 류세이의 폭장량이 800Kg정도인데 반해 전투기인 콜세어가 초기형부터 2000lb(약 900kg), F4U-1D에서는 4000lb를 달고 다녔다.


  • 파일:미국 국기.svg F7U 커틀러스: 더 정확히는 다목적기로 분류되지만, 역할 통합이 덜 진행된 1950년대 특성상 전폭기로도 분류된다. 폭장량만 2.5톤. #

  • 파일:미국 국기.svg F-84 썬더제트: 직선익기인 기본형 썬더제트와 후퇴익기로 개량된 썬더스트릭 모두 전폭기로 분류된다.

  • 파일:미국 국기.svg F-100 슈퍼 세이버: 핵투발 수단으로도 사용된 전폭기.


  • 파일:미국 국기.svg F-4 팬텀 II: 쌍발 엔진의 힘을 이용한 폭장능력으로 공대공 전투는 물론 폭격 임무에도 명성을 얻었다. 사실 팬텀은 근접 격투전보다는 미사일을 사용한 BVR 전투에 적합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인 전투기다.[4] 애초에 맥도널 더글라스가 미 해군에 처음 F-4를 제시했을때도 해군은 F-4의 무장탑재량에 주목, 초음속 함재공격기로 개발해 줄 것을 주문했다. 그러나 개발 도중 팬텀의 고속성능을 그냥 놀리기 아까운 해군은 지금과 같은 다목적 함대방공전투기로 개발계획을 최종 결정한다. 고로 F-4의 경우 제공전투기→함상공격기→전폭기 테크를 탄 것. 다만 이 과정에서 동체연료탱크 용량을 늘려 체공시간도 늘리고 전자장비 탑재공간도 넉넉하게 확보하기 위해 콕핏 후방이 위로 심하게 올라와 있어 시계가 개판인지라 전방 조종석에는 백미러가 달려있다.[5]

  • 파일:미국 국기.svg F-14B 톰캣: A-6 인트루더 공격기의 퇴역 이후 공대지 전력을 메꾸기 위해 등장한 파생형.

  • 파일:미국 국기.svg F-15E/EX 스트라이크 이글: 장거리 공격기인 F-111 아드바크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F-15의 파생형으로 복좌형인 D형의 공대공 전투력을 그대로 이어받으면서 11t에 달하는 폭장 능력도 함께 획득했다. 이라크 침공 당시에는 한번 출격에서 공대공 초계임무-근접항공지원-공대공 초계임무를 수행한 적도 있었다. 파생형으로는 이스라엘 공군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F-15I 라암(Ra'am), 싱가포르 공군의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F-15SG, 한국 공군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15K 슬램 이글이 있다.

  • 파일:미국 국기.svg F/A-18 호넷 / F/A-18E/F 슈퍼 호넷: 이름에서 F와 A가 모두 붙는데 처음에는 YF-17이 전투기 F-18과 공격기 A-18 두가지 양산 버전으로 생산하려 했으나 예산부족으로 하나로 합쳐 F/A-18이 되었다.

  • 파일:미국 국기.svg FB-22: F-22를 기반으로 만든 장거리 전폭기. F-15E를 대체할 예정이였으나 취소됐다.

  •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나비아 토네이도: 저공침투를 고려하여 가변익을 채용한 기종으로 전폭기 사양인 IDS 및 GR과 전자전기 사양인 ECR, 요격기 사양인 ADV로 나뉘는데 이 중 전폭기 사양인 IDS와 GR이 지상공격 임무에서 활약했다.






5. 관련 문서[편집]


  • 항공 병기
  • FB-22
  • 야라레메카[6]

6. 외부 링크[편집]


Fighter-bomber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05:07:22에 나무위키 전폭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82년 미 공군의 차기 전폭기 도입사업명으로, 이 사업에서 F-15E가 선정되었다.[2] 정확히 말하자면 영국섬나라이기 때문에 항공 병기와 해상 병기의 침공을 막는 것을 우선시했기 때문이다. 유로파이터 타이푼도 기본 개발 개념은 영국의 입김 때문에 요격기였다.[3] 참고로 슈트르모빅은 소련 해군 항공대의 뇌격기 수요까지 노렸으나 실패했다. 그 자리는 대형 쌍발 폭격기인 Il-4이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애초에 소련 해군 항공대는 뇌격할 일이 많지 않았다. 당대 적국 독일은 지상활동이 중심인 유럽 대륙국가라 섬나라인 영국이나 일본처럼 선박을 대거 굴리지는 않기 때문.[4] 당장 공대공미사일 전용 파일런만 8개다.(동체에 AIM-7 스패로우 중거리 공대공미사일 4발을 반매립식으로 장착하고 주날개 파일런 좌우에 사이드와인더 단거리 공대공미사일은 2발씩 양날개에 4발을 기본으로 장착할 수 있다. 그럼에도 다른 무장이나 증가연료탱크를 장착할 자리가 5군데나 남는다.[5] 팬텀 초기형은 후방석이 동체에 파묻히다시피 설계된 관계로 후방석 시야는 거의 없는 것으로 치는게 나을 지경이었다. 공대공 전투시 후방시야 불량이 지적되면서 콕핏 위치가 상방으로 조정되어 그나마 지금 정도의 시야를 얻게 된 것. 워낙에 후방석 시야가 좋지 않아서 여의치 않은 경우에는 WSO가 안전벨트 풀고 뒤돌아서 직접 시야를 확인했다. 비행 중 안전벨트를 풀면 규정위반이지만, 일단 살아야 하기에...[6] 픽션에서 전폭기는 폭격으로 을 재배하면서 적 지상군야라레메카로 만드는 데 한몫 하는 역할로 나오는 경우가 많으며, 반대로 전폭기 자신이 적 공군에게 공중전에서 밀리면서 야라레메카로 전락하는 역할로 나오는 경우도 많다. 적을 야라레메카로 만들던가 아니면 자신이 야라레메카가 되던가 둘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