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rakuta Doll Play/타사 리듬 게임 수록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Garakuta Doll Play

1. 개요
1.1. 아티스트 코멘트
3.1. 오니
3.1.1. 채보
3.2. 우라
3.2.1. 채보
5.1. 채보 상세
8.1. 채보
8.1.1. Past
8.1.2. Present
8.1.3. Future
9.1. 4B TUNES
9.2. 5B TUNES
9.3. 6B TUNES
9.4. 8B TUNES


1. 개요[편집]




Garakuta Doll Play의 타사 리듬게임 수록 정보를 담은 문서.

1.1. 아티스트 코멘트[편집]


처음 뵙겠습니다, 또는 신세를 지고 있습니다. t+pazolite(토파조라이트)입니다.
Garakuta Doll Play입니다만, 애수에 찬 멜로디 + 하드코어 + 보이스 샘플로 가득하기에
좋은 느낌으로 자신다움 + 보스스러움 + maimai스러움을 표현할 수 있었던 곡이기도 합니다.
참고로 보면은 maimaiGreen에서도 엄청난 초(超)체력보면.
분명 다른 기종에서도 위세를 떨치지 않을까요.
빠른 BPM에 곡처럼 「오 마이 갓!」이 되지 않도록 힘내주세요!
-t+pazolite, 천하제일리겜축제 코멘트[1]

2. 유비트 시리즈[편집]


유비트 난이도 체계
난이도
BASIC
ADVANCED
EXTREME
레벨
5
9.6
10.5
노트 수
410
713
982
BPM
256
아케이드 수록 버전 및 모바일 수록
아케이드
유비트 소서 풀필 (2014.10.29)
모바일
미수록
플러스 모드
미수록




EXT EXC 영상 채보 영상

천하제일리겜축제의 기업간 콜라보 연동을 통해 예선곡으로 지정되어 2014년 10월 29일 AOU 가맹 점포에 우선 수록되었다.

시작부터 후반부까지는 10레벨 중위권 ~ 상위권으로 올라가면서 조금씩 어려워지는 수준의 패턴이 나오지만, 이 보면의 백미는 다름 아닌 후살. 최후반의 후살 패턴은 HEAVENLY MOON의 중반부 파트의 동시치기 혼합 단타 패턴의 강화판[2]으로, 8비트 기반으로 동시치기와 단타가 혼합되어 나온다. 그 뿐만이 아니라, 후살 자체에서 단타와 동시치기 노트 위치가 바뀌기도 하기 때문에 손배치를 짜기 상당히 어려운 편이다. 또한, 후살과는 별개로 곡의 속도가 빠른 축에 들기 때문에 16비트 긁기와 최후반의 회오리 패턴 등의 부분에서 잔그렛이 나기 쉬워 엑설런트 난이도 또한 상위권을 마크한다.


ADV 채보 영상

ADV 채보 역시 최후반 발광에 모든 난이도를 몰아준 채보로, 어드 8렙 수준의 비교적 평이한 배치가 쭉 이어지다가 끝에 가서(위 영상 1:50~) 후살 발광이 나오는 채보이다.


3. 태고의 달인[편집]






Garakuta Doll Play
BPM
256
ver. BLUE 기준
난이도
간단
보통
어려움
오니
우라
4
6
8
9
10
노트 수
190
419
870
750
715
526[3]
516[4]

수록 버전
NAC
비고
RED 단위도장 8단 (오니)

천하제일리겜축제의 기업간 콜라보 연동을 통해 예선곡으로 지정되어 2014년 10월 29일 AOU 가맹 점포에 우선 수록되었으며, 유일하게 3개 수록곡중 2인 플레이용 하즈레 채보가 존재한다.

상당한 개인차가 있는 곡으로, BPM이 상당히 빠르기 때문에, 이런 곡에 강한 사람은 3곡 중에 가장 쉽다고 하지만, 약한 사람은 16비트&32비트가 날뛰는 FLOWER보다 어렵다고 한다. 일단 콤보 수 자체는 뒷보면이 앞보면보다 적은데 채보 자체는 훨씬 강화되었다. 일단 2타 풍선과 짧은 연타가 연속적으로 노트들 사이에서 섞여 있기 때문에 점수를 아예 포기한다면 모를까 스코어링을 위해서는 풍선과 연타를 신경써야하는데 노트들 사이에 껴있다보니 연타하다가 노트가 불가가 뜬다거나 하는 경우가 너무나도 허다하다.

거기다가 앞보면에는 없는 빠른 속도의 기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콤보가 쉽게 끊겨서 풀콤보가 상당히 어렵고 대음부와 소음부가 섞여있어서 자칫 잘못하면 헷갈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오히려 난이도는 엄청나게 올라갔다. 거기다가 그것도 모자라서 중후반부는 스크롤 속도가 1.1배 1.2배가 걸려있어서 256의 BPM을 넘어서 속도가 상당히 빠르게 보이기 때문에 난이도는 상당히 높은 편이다. 대체로 8비트로 구성된 보면인 탓에 오히려 쉽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는 개인차 보면 말이다.

마지막 콤보는 동캇캇×4/동캇동캇/동캇캇×5/동동동/동캇캇×4로 외워두면 좋다.

두 오니 보면 뿐만 아니라 보통 보면도 6렙에서 굉장히 어려운 편이다. BPM이 256으로 상당히 빠른데 그런 주제에 8비트 패턴을 레벨 내에서 고밀도 취급될 정도로 넣어놨다. 256 BPM의 8비트는 128 BPM의 16비트에 해당하기 때문에 보통 난이도를 주로 하는 라이트 유저들이 할 때 충분히 당황스러울 수 있는 수준. 어려움 보면 역시 비슷한 속성의 보면 구조로 인해 어려움 8렙에선 어려운 편으로 취급받는다.


3.1. 오니[편집]



오니 보면 전량 영상


3.1.1. 채보[편집]


파일:Garakuta Doll Play(앞).png


3.2. 우라[편집]



우라 보면 전량 영상

우라 2인용 보면 영상


3.2.1. 채보[편집]


파일:Garakuta Doll Play(뒤).png

4. GROOVE COASTER[편집]



4.1. 4MAX DIAMOND GALAXY[편집]


[include(틀:GROOVE COASTER AC/채보
,곡목록=리듬 게임
,곡명=Garakuta Doll Play
,작곡표기=t+pazolite
,작곡링크=t+pazolite
,버전EX=
,폴더명=리듬 게임
,BPM=128-256
,SIMPLE레벨=6
,NORMAL레벨=10
,HARD레벨=13
,SIMPLE노트수=364
,NORMAL노트수=508
,HARD노트수=625
,SIMPLE애드립=28
,NORMAL애드립=28
,HARD애드립=28
,SIMPLE체인=1\,551
,NORMAL체인=2\,142
,HARD체인=2\,842
,EXTRA체인=
,주소=rsdRZPFfrcw
,퍼펙트=
)]
천하제일리겜축제의 기업간 콜라보 연동을 통해 예선곡으로 지정되어 2014년 10월 29일 AOU 가맹 점포에 우선 수록되었으며, maimai의 플레이 화면 및 슬라이드를 그대로 재현한 연출으로 좋은 평을 듣고 있다.

같은 작곡가의 OMAKENO stroke와 비슷한 난이도에 머물러 있지만 슬라이드 밀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대신에 곳곳에 16비트 연타가 분포해 있고 라스트의 16비트 연타-크리티컬로 이루어진 후살성 보면이 클리어, 노미스에 모두 걸림돌이 된다. 발광 이전의 8비트 히트-크리티컬 패턴도 역시 한손 8비트처리를 강요하면서 빠른 BPM으로 인해 MISS가 유발되기 쉽다.[5]

4.2. WAI WAI PARTY!!!![편집]


[include(틀:GROOVE COASTER WAI WAI PARTY!!!!/채보
,곡명=Garakuta Doll Play
,작곡표기=t+pazolite
,작곡링크=t+pazolite
,보컬없음=
,폴더명=Music Games
,BPM=128-256
,EASY레벨=5
,NORMAL레벨=9
,HARD레벨=14
,MASTER레벨=15
,EASY노트수=206
,NORMAL노트수=396
,HARD노트수=582
,MASTER노트수=737
,EASY애드립=9
,NORMAL애드립=21
,HARD애드립=28
,MASTER애드립=15
,EASY체인=1\,062
,NORMAL체인=1\,739
,HARD체인=2\,646
,MASTER체인=3\,412
,액티브EASY레벨=3
,액티브NORMAL레벨=6
,액티브HARD레벨=9
,액티브EASY노트수=159
,액티브NORMAL노트수=242
,액티브HARD노트수=414
,액티브EASY애드립=5
,액티브NORMAL애드립=9
,액티브HARD애드립=24
,액티브EASY체인=649
,액티브NORMAL체인=1\,060
,액티브HARD체인=1\,932
,주소=O-imFX6brhg
,EASY주소=vFvTIOY6Kjg
,NORMAL주소=wdvR9SZPGFU
,HARD주소=yW2HaTUP5u4
)]
마이마이+온게키 팩 출시와 함께 2023년 9월 21일 무료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마스터 난이도의 채보가 아케이드 하드 난이도에서 후살부분만 가져오고 앞부분은 더욱 어렵게 변하였으며, 하드 난이도는 후살부분이 쉬워진 점을 제외하면 아케이드 하드 난이도와 거의 동일하다.

5. 사운드 볼텍스[편집]


천하제일리겜축제 2회의 일환으로 이식되었다.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난이도
NOVICE
ADVANCED
EXHAUST
HEAVENLY
자켓
파일:Garakuta_Doll_Play_SDVX.png
파일:Garakuta_Doll_Play_SDVX.png
파일:Garakuta_Doll_Play_SDVX.png
파일:Garakuta_Doll_Play_SDVX.png
레벨
06
12
17
18
체인 수
491
816
1594
2037[6]
일러스트 담당
SEGA
이펙터
浮世マイーン
OMGライオットfrom SOUND VOLTEX譜面ボーイズ
수록 시기
III 36(2015.10.08)
IV 08(2017.3.17)
BPM
256


5.1. 채보 상세[편집]



EXH 손배치 포함 PERPECT 영상

중반의 노브 발광, 여러곳에 산재해있는 원핸드 등을 잘 처리해야하는 지력곡. 'OH MY GOD!' 샘플링 이후에 나오는 패턴은 해음악의 후살을 강화시킨 것으로 후반 게이지 관리가 매우 어렵다. 클리어 난이도만 해도 17레벨 상위권이지만,[7] 체인수도 적은 편이어서 스코어링 난이도도 많이 높다.

2017년 9월 7일 스킬 애널라이저 10단의 마지막 곡으로 등장했다. 전 스테이지인 Lucky*Clover가 매우 쉽기 때문에 게이지를 많이 남겨와서 어떻게든 버텨보자.


HVN 패턴 손배치 포함 PUC 영상

같은 날 업데이트된 천하제일리겜축제 HVN 패턴들 중 Got more raves?처럼 난이도가 비교적 낮은 편이다. 초반 부분에는 탈선하기 쉬운 지그재그 노브와 Crack Traxxxx GRV 후반부와 유사한 직각노브 패턴이 많이 나오고, 후반 부분은 알약 모양 동시치기 패턴과 양쪽 지속노브를 번갈아 돌리며 노트를 처리하는 패턴으로 강화되었다.

난이도 책정에 관해서는 이견이 있는 편이다. 19는 너무 과하고 18정도의 난이도로 책정되는 편이 낫지 않냐는 지적을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다. 4개 패턴의 동일성을 위해 일부러 레벨을 올린 것이 아닌가 싶을 정도. 이런 지적을 수용했는지 실제로 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에서는 18레벨로 강등되었다. 단 썩어도 준치라고 18레벨 내에서는 꽤 어려운 편이라는 평을 듣고 있으니 주의. 특히 1700대의 적은 체인 수[8] 때문에 스코어링 난이도는 급격히 치솟는다.

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에 와서는 게임 엔진 변경으로 체인 수가 2037개로 거의 300체인 가까이 늘어났기에 스코어링 난이도가 다소 낮아진 편이다. 다만 체인 수가 증가한 만큼 흘려도 체인이 이어졌던 대부분의 지그재그 노브 패턴들의 틱 보정이 다 사라져서 전부 정직하게 처리해야 한다.


6. 싱크로니카[편집]


천하제일리겜축제 2회의 일환으로 이식되었다. 난이도는 7-12-18


7. 네온 FM[편집]



모바일 플레이 영상

maimai와의 콜라보로 수록되었으며, Machete300과 같은 140레벨을 받고 네온 FM의 새로운 보스곡으로 떠올랐다.


8. Arcaea[편집]


[include(틀:Arcaea/채보/대립,
곡명=Garakuta Doll Play, 작곡링크=t+pazolite, 작곡표기=t+pazolite, BPM=256,
PRS제작=Arcaea Charting Team【Royal Flush】,FTR제작=Arcaea Charting Teamからの挑戦状,
PST레벨=4, PRS레벨=6, FTR레벨=10,
PST세부레벨=4.5, PRS세부레벨=6.5, FTR세부레벨=10.4,
PST노트=444, PRS노트=572, FTR노트=1035,
배경=Garakuta Doll Play)]




CHUNITHM과의 콜라보로 수록되었는데, 본래 maimai의 곡이어서 원산지 표기가 "'maimai' 에서 ©SEGA"라고 쓰여 있으며, 앨범 아트에 박혀있는 로고도 maimai의 로고이다.


8.1. 채보[편집]



8.1.1. Past[편집]



8.1.2. Present[편집]



8.1.3. Future[편집]



MAX SCORE (이론치) 영상. 플레이어는 ヒグルース.

전체적으로 적정 10. 아크 발광이 자주 있어 손꼬임을 쉽게 유발하지만 몇번 하면 금방 적응되는 패턴이다.

문제는 최후살. 가독성이 굉장히 떨어지고 2동타인것과 아닌 것이 난잡하게 섞여있어 처리는 뭉개서 처리하기 쉽지만 판정을 잡기가 굉장히 힘들다. 하지만 이 부분만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무난한 10레벨. 다만 아크가 꼬여있고 햇갈리는 패턴이 많아 초견은 상당히 어렵다. 전반적으로 10레벨 중위라고 보면 편하다.

여담으로 초반에 나오는 꼬인 대각선 아크와 중간에 내려앉은 아크에 손이 왼쪽 오른쪽으로 왔다갔다하는 부분, 그리고 중간에 정지 기믹은 츄니즘 MASTER 패턴의 오마주이다.

9. DJMAX RESPECT & V[편집]





파일:Garakuta Doll Play_1.png

COLLABORATION 파일:djmax_collaboration_chunithm.png
Garakuta Doll Play
모드
NM
HD
MX
SC
4B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6
498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3
892
-
파일:djmaxsc15.png 14
1299
5B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9
633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2
856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5
1051
-
6B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8
786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5
1158
파일:djmaxsc15.png 14
1434
8B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7
646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2
944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5
1148
파일:djmaxsc15.png 12
1308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디제이맥스 리스펙트에 Arcaea처럼 츄니즘 콜라보로 수록되었다. 이에 작곡가 토파조라이트는 가라쿠타는 온게키의 곡입니다. 라고 개드립을 쳤다. 마이마이에서도 대표곡 중 하나여서 DJMAX에서도 인기를 구가하긴 했지만 선곡면에서는 살짝 호불호가 갈렸는데, 옹호하는 쪽에서는 SEGA를 대표하는 곡인데 출현할수도 있지라는 의견이 있지만 비판하는 쪽에서는 츄니즘 콜라보인데 마이마이가 함부로 침범하면 안되지라는 의견이 갈린다.

BGA는 maimai 버전을 기반으로 컴퓨터 화면비에 맞추기 위함으로 BGA에 양 옆으로 거울을 건 이미지가 동시에 재생된다. 아무래도 경계선 끝자락이 어색하게 느껴질 수 있기 때문에 앨범의 중심부분이 위에서 계속 내려오는 식으로 일부분을 가렸다.


9.1. 4B TUNES[편집]


NM
HD


SC





4B SC는 따닥이를 동반한 후살이 킬링 포인트로, 반복적인 패턴이지만 패턴을 알아도 손이 가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후살 맨 뒤에 나오는 128BPM 32비트 트릴도 요주의. 대체로 ouroboros -twin stroke of the end-, Cthugha와 함께 SC 14 레벨 상위권 포지션을 맡고 있다.

9.2. 5B TUNES[편집]


NM
HD


MX





5B MX 패턴은 애매한 BPM에서 발목을 잡히는데다 노트 배치도 기괴하다. 키보드 플레이로도 만만하지 않은 난이도를 자랑한다.


9.3. 6B TUNES[편집]


NM
MX


SC





6B SC는 128BPM 16비트로 3노트 재봉틀을 동시 연타해야하는 채보를 내놔서 유저들을 경악시켰다. 후살의 초반부는 데님인데 BPM이 느려서 사실상 끊어치기가 강제되고, 그 이후는 깡연타. 초반부를 끊어칠 경우 무려 7.5마디를 연타로 쳐야 하는데, 이 정도 길이는 나메 SC와도 엇비슷한 수준이다. 연타 속도는 나메보다 느리지만 [9], 나메보다 느려서 오히려 빠르게 칠 가능성이 높아서 어느 정도 끊어쳐야 하며, 데님이 4마디나 이어지기 때문에 끊어친다 하더라도 손이 꼬이기 쉽다. 정배가 너무 난해해 하프 랜덤이 권장된다. 하프 랜덤의 경우 먹자구간이던 초반부가 꼬여 약간 거슬릴 수 있고, 후반부 2점 축 연타 구간은 난이도 변화가 없기에 어마어마한 황배를 기대할 수는 없다.

SC 14레벨 중에서는 가장 개인차가 큰 패턴으로 후반부 연타 구간의 처리력에 따라서 크게 갈린다. 후반부를 쉽게 칠 수 있으면 SC 14 중에서 가장 쉬운 곡으로 느껴질 수 있으나, 반대로 이 부분을 잘 처리하지 못한다면 SC 15레벨 곡에 준할 정도로 어려워질 수 있다.

6B MX 패턴은 최후반 연타 + 계단에서 콤보가 끊기거나 판정을 다 깎아먹을 수 있으니 주의. 키보드로 플레이할 경우 기하급수적으로 쉬워져 15레벨 최하층을 담당하고 있다.

9.4. 8B TUNES[편집]


NM
HD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MX
SC





8B MX는 PS4판에서도 마찬가지로 극악인데, 복잡한 트리거 구성과 연타, 최후반 롱잡은 듀얼쇼크로 높은 판정을 내기 정말 어렵고 키보드로 처리하기에도 매우 힘들다. 롱노트를 누르면서 128BPM의 애매한 속도로 내려오는 노트들을 엄지로 하나하나 눌러줘야 한다. 전체적으로 듀얼쇼크에서는 엄청난 엄지 피지컬을 요구하고 키보드로는 복잡한 트리거 구성 때문에 뇌절을 유도하는 패턴.

8B SC는 후살에 극악의 연타가 배치되어있는 4B, 6B SC에 비하면 후살이 상대적으로 얌전한 편이다. 패턴은 전체적으로 MX와 같은 틀을 유지한 채 일반 노트의 배치를 더 까다롭게 만들고 살을 붙인 모양이지만 트리거 배치 자체는 MX가 더 까다로워[10] 난이도 자체는 두 패턴이 엇비슷하며, 개인차에 따라 MX가 더 어렵다는 의견 또한 존재하는 편이다. 까다로운 일반 노트 배치가 왼쪽에서 자주 등장하는 편이므로 미러를 활용해도 좋다.
[1] https://www.gamesday.jp/otoge/2014-release-02#ac01[2] BPM만 따져도 약 1.4배 정도로 빠르다.[3] 1P[4] 2P[5] 그루브코스터 비공식위키에서 발췌한 내용이다.[6] 5볼까지는 1769[7] 5ch 스레발 비공식 난이도표에서 17 지력 A에 배정되었다.[8] 255 이상인 BPM으로 인한 노브 및 롱노트 틱에 보정, 그리고 지그재그 노브에는 체인 수가 적게 배정되는 시스템 상의 원인 때문에 체인 수가 낮아지게 되었다.[9] 나이트메어의 12비트 연타는 16비트로 환산시 BPM 142.5[10] 예를 들어, 후살 직전 파트에서 MX는 잠깐의 사이드+트리거 복합 패턴 이후 트리거 단노트가 드럼에 맞춰서 떨어지는데, SC에서는 이 모든 패턴이 일반 노트 버전으로 바뀐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3:50:05에 나무위키 Garakuta Doll Play/타사 리듬 게임 수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