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知}}}알 지
부수
나머지 획수
, 3획
총 획수
8획
중학교
-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し-る, し-らせる
-
}}}
표준 중국어
zhī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3.3.1. 인명
3.3.1.1. 한국 인명
3.3.1.2. 일본 인명
3.3.1.3. 기타
3.3.2. 지명
3.4.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알 지(知). '알다, 알리다' 등의 뜻을 가진 한자이다.


2. 상세[편집]


유니코드에선 U+77E5에 배정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에서는 人大口(OKR)로 입력한다.

파일:知·智(갑골문).svg
갑골문에서는 사냥하는 무기를 뜻하는 (방패 간), (화살 시)와 구술로 전수하는 의미의 (입 구)가 합쳐져 사냥과 싸움의 경험을 전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금문으로 오면 이 생략되고 (가로 왈)이 더해져 가 되었고, 이후 로 분화되었다.

(슬기/지혜 지)와의 관계가 특이한데, 자형상으로는 智 쪽이 知보다 금문에 먼저 등장한다. 그러나 의미상으로는 동사 '알다'(知)에서 명사 '지식', '지혜'(智)가 파생된 것으로 본다. 知는 평성이고 智는 거성이다.

# 知와 智의 고문(古文) 분석글(중국어).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 감지 (感知)
  • 고지 (告知)
  • 공지 (公知)
  • 도지사 (道知事)
  • 무지 (無知)
  • 미지 (未知)
  • 인지 (認知)
  • 지각 (知覺)[1]
  • 지능 (知能)
  • 지식 (知識)
  • 지적 (知的)[3][4]
    • 지적재산권 (知的財産權)[2]
  • 지혜 (知慧)
  • 첨지 (僉知)[5]
  • 친지 (親知)
  • 탐지 (探知)
  • 통지 (通知)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지명/창작물[편집]



3.3.1. 인명[편집]



3.3.1.1. 한국 인명[편집]



3.3.1.2. 일본 인명[편집]


  • 나루치(成智 / 成知, なるち)
  • 라치(良知 / 羅知, らち)
  • 시라누이(不知火, しらぬい)
  • 아이치(愛知, あいち)
  • 아치와(阿知波, あちわ)
  • 야치(夜知, やち)
  • 이세치(伊瀬知, いせち)
  • 이지치(井地知 / 伊地知 / 伊地智, いじち)
  • 이치지(一地 / 一治 / 一次 / 伊知地 / 市地, いちじ)
  • 치넨(知念, ちねん)
  • 치바나(知花, ちばな)
  • 치사키(知崎, ちさき)
  • 치쿠마(知久間 / 竹間, ちくま)
  • 치하라(千原 / 地原 / 茅原 / 知原, ちはら)
  • 코치(高知 / 幸地 / , こうち)
  • 타카치(高知, たかち)
  • 타케치(武智 / 武知, たけち)


3.3.1.3. 기타[편집]



3.3.2. 지명[편집]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지도로 (京畿道 高陽市 德陽區 知道路)
  •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지혜로 (京畿道 漣川郡 漣川邑 知慧路)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명지로 (京畿道 龍仁市 處仁區 明知路)
  •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도지리 (京畿道 利川市 栢沙面 道知里)
  •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지읍로 (京畿道 利川市 栢沙面 知邑路)
  • 경상남도 거제시 일운면 지세포리/로 (慶尙南道 巨濟市 一運面 知世浦里/路)
  •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지족리 (慶尙南道 南海郡 三東面 知足里)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반지동/로 (慶尙南道 昌原市 城山區 盤知洞/路)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지귀동/로 (慶尙南道 昌原市 義昌區 知歸洞/路)
  • 경상남도 통영시 욕지면 (慶尙南道 統營市 欲知面)
  •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 지례리 (慶尙南道 河東郡 良甫面 知禮里)
  •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벌지리 (慶尙北道 高靈郡 茶山面 伐知里)
  • 경상북도 김천시 지례면 (慶尙北道 金泉市 知禮面)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慶尙北道 盈德郡 知品面)
  • 경상북도 예천군 지보면 (慶尙北道 醴泉郡 知保面)
  •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지서리 (全羅北道 扶安郡 邊山面 知西里)
  • 전라북도 장수군 번암면 지지리 (全羅北道 長水郡 蟠巖面 知止里)


3.3.3. 창작물[편집]




3.4.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 (알 식, 적을(기록할) 지, 깃발 치)
  • (알 인)


5. 상대자[편집]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더할 가)
  • (두드릴 구)
  • (짧을 단)
  • (같을 여)
  • (슬기/지혜 지)
  • (화할 화)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07:02:28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늦는다는 뜻의 지각이 당연히 아니고, 어떤 것을 느낀다는 뜻의 지각이다.[2] '지식에 관한' 재산권.[3] [지쩍\]으로 발음한다.[4] 틀린 점을 '지적하다' 등에 쓰이는 '지적'의 '지'는 손가락 지를 사용한다. 여기서의 '지적'은 '지식이 있다', 혹은 '지식에 관한'이라는 뜻. 가령, '저 사람은 지적이어 보인다'에서의 '지적'이다.[5] 운수 좋은 날주인공인 '김 첨지'의 그 '첨지'이다. 특별히 다르게 부를 만한 말이 없는 나이 있는 남자를 편하게 부를 때 쓰던 호칭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