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덤프버전 :





<bgcolor=#ffffff,#1F202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 펼치기 · 접기 ]
26회
2022년 7월 10일
27회
2025년 7월 28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21회 · 22회 · 23회 · 24회 · 25회 · 26회 · 27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49회
2021년 10월 31일
50회
2025년 이전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21회 · 22회 · 23회 · 24회 · 25회 · 26회 · 27회 · 28회 · 29회 · 30회 · 31회 · 32회 · 33회 · 34회 · 35회 · 36회 · 37회 · 38회 · 39회 · 40회 · 41회 · 42회 · 43회 · 44회 · 45회 · 46회 · 47회 · 48회 · 49회 · 50회

국회의원 보궐선거
2023년 하반기
2023년 10월 22일
2024년 상반기
2024년 4월 28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통일지방선거
20회
2023년 4월 9일23일
21회
2027년 4월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회·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도쿄도지사 선거
2020년 도쿄도지사 선거
2020년 7월 5일
2024년 도쿄도지사 선거
2024년 7월 7일
<-2><:>{{{-2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일본 제37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第37回衆議院総選挙
(田中判決解散)

1983년 11월 28일
37회 중원선
(다나카 판결 선거)


1986년 7월 6일
38회 중원선
(제2차 중참동일선거)


투표율
67.94%
선거 결과
파일:1983중의원.png
정당

중선거구

총합
비율


250석
250석
45.7%


112석
112석
19.4%


58석
58석
10.1%


38석
38석
7.2%


26석
26석
9.3%


8석
8석
2.3%


3석
3석
0.6%

[[무소속|
무소속
]]

16석
16석
4.8%

1. 개요
2. 선거 전
3. 선거 결과
4. 개표 결과
4.1. 중선거구
5. 선거 이후



1. 개요[편집]


1983년 11월 28일에 치러진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 선거 전[편집]


본래는 여론조사에서 자민당이 유리할 것으로 나왔었지만, 록히드 사건의 영향 및 너무 많은 수의 자민당 후보들의 출마로 선거 전망이 자민당에게 점점 불리해지기 시작한다.

3. 선거 결과[편집]


자유민주당이 250석, 사회당이 112석, 공명당이 58석, 민사당이 38석, 일본 공산당이 26석, 신자유클럽이 12석, 사회민주연합이 3석을 차지하면서 자유민주당은 과반확보에 실패했다. 자유민주당이 원내1당의 자리는 유지 하였다.


4. 개표 결과[편집]


선거일
1983년 11월 28일
선거 내용
지역구(중선거구제) 511명
선출 인원
511명
투표율
67.94%

의석 구성
여당[1] - 250석 (45.7%)
야당[2] - 261석 (54.2%)
정수 : 511석

선거결과
정당
지역구(중선거구제)
획득
의석
선거이전의석
증감
여당
자유민주당
25,982,785
45.76%
250
250
286
▼36
야당
일본사회당
11,065,082
19.49%
112
112
101
▲11
공명당
5,745,751
10.15%
58
58
33
▲25
민사당
4,129,908
7.27%
38
38
30
▲8
일본 공산당
5,302,485
9.34%
26
26
29
▼3
신자유클럽
1,341,584
2.36%
8
8
10
▼2
사회민주연합
381,045
0.67%
3
3
3
-
제파
62,324
0.11%
0
0
0
-
무소속
2,768,736
4.88%
16
16
6
▲10


4.1. 중선거구[편집]


제3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지역
자유민주당
일본 사회당
공명당
일본 공산당
민사당
신자유클럽
사회민주연합
무소속
합계
홋카이도
7
8
1
0
1
0
0
3[3][4]
20
아오모리
5
1
0
1
0
0
0
0
7
이와테
6
1
0
0
1
0
0
0
8
미야기
6
2
1
0
0
0
0
0
9
아키타
4
3
0
1
0
0
0
0
8
야마가타
5
2
0
0
0
0
1
0
8
후쿠시마
7
3
0
0
1
1
0
0
12
이바라키
6
3
1
0
1
0
0
0
11
도치기
5
3
1
0
1
0
0
0
10
군마
6
3
0
0
0
0
0
1[5]
10
사이타마
7
2
3
0
1
1
0
0
16
치바
9
3
3
1
0
0
0
0
16
가나가와
3
5
4
0
4
3
0
0
19
야마나시
3
2
0
0
0
0
0
0
5
도쿄
14
6
11
6
3
0
1
0
41
니가타
10
4
0
0
0
0
0
1[6]
15
도야마
4
2
0
0
0
0
0
0
6
이시카와
5
1
0
0
0
0
0
0
6
후쿠이
2
0
0
0
1
0
0
1
4
나가노
8
3
0
1
1
0
0
0
13
기후
5
2
1
1
0
0
0
0
9
시즈오카
6
3
1
0
2
0
0
2[7]
14
아이치
9
4
2
0
4
0
0
3[8][9]
22
미에
5
2
1
0
1
0
0
0
9
시가
2
1
1
1
0
0
0
0
5
교토
4
1
2
1
1
0
0
0
10
오사카
6
6
7
4
4
1
0
0
28
효고
5
5
4
2
3
0
0
0
19
나라
1
0
1
1
1
0
0
1[10]
5
와카야마
3
0
1
1
0
0
0
1[11]
6
돗토리
3
1
0
0
0
0
0
0
4
시마네
3
1
0
1
0
0
0
0
5
오카야마
5
2
2
0
0
0
1
0
10
히로시마
7
2
2
0
1
0
0
0
12
야마구치
6
2
1
0
0
0
0
0
9
도쿠시마
3
1
1
0
0
0
0
0
5
카가와
5
1
0
0
0
0
0
0
6
에히메
6
3
0
0
0
0
0
0
9
고치
2
1
1
1
0
0
0
0
5
후쿠오카
8
4
3
2
2
0
0
0
19
사가
4
1
0
0
0
0
0
0
5
나가사키
5
2
1
0
1
0
0
0
9
구마모토
7
2
1
0
0
0
0
0
10
오이타
3
2
0
0
1
0
0
1[12]
7
미야자키
3
2
0
0
1
0
0
0
6
가고시마
7
3
0
0
0
0
0
0
10
아마미 군도
1
0
0
0
0
0
0
0
1
오키나와
2
1
1
1
0
0
0
0
5
중선거구
250
112
58
26
36
8
3
16
511

5. 선거 이후[편집]


이 선거의 최대의 주목 인물이었던 다나카 가쿠에이 전 총리는 실형 판결과 주위의 견제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22만표, 46.6%라는 압도적인 지지를 보여주며 당당히 재선에 성공했다.

한편 중의원 과반 확보실패로 타격을 입은 나카소네 야스히로 총리는 다나카의 모든 정치적 영향을 배제한다고 선언하였고, 이후 신자유클럽과 연정하여 정권을 이어나가는 데 성공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4:57:27에 나무위키 제3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자유민주당[2] 일본사회당, 공명당, 일본 공산당, 민사당, 사회민주연합, 신자유클럽[3] 당선 후 사회당 입당 (1구 다케무라 야스코)[4] 당선 후 자민당 입당 (3구 사토 타카유키, 5구 스즈키 무네오)[5] 당선 후 자민당 입당 (1구 오미 코지)[6] 다나카 가쿠에이[7] 당선 후 자민당 입당 (1구 토츠카 신야, 3구 구마가야 히로시)[8] 공산당 추천 (1구 와타나베 미치코) / 공명당 추천 (2구 하야카와 쇼조)[9] 사회당·공명당·사민련 추천 (5구 곤도 유타카)[10] 당선 후 자민당 입당 (무소속 카기다 슈자부로)[11] 자민당 추가공인 (2구 히가시 치카라)[12] 당선 후 자민당 입당 (1구 에토 세이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