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역사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제주항공

1. 2011년
2. 2012년
3. 2013년
4. 2015년
5. 2016년
6. 2017년
7. 2018년
8. 2019년
9. 2020년
10. 2020년
11. 2021년
12. 2022년



1. 2011년[편집]


  • 3월 24일 제주에서 있었던 기자 간담회를 통해 5월 비행기 신규 도입 후, 제주항공 최초의 제주 출발 국제선 정기노선으로 제주-오사카 간 노선이 신설되며 최소 주 4회 운항한다고 하였으며 연말 도입되는 신규 항공기는 좌석난이 심한 청주, 부산 - 제주간 노선에 투입한다고 밝혔다. 그리고 2013년 이후 신규 제작 항공기 6대를 순차적으로 도입한다고 한다. #



2. 2012년[편집]


  • 정확히 언제부터인지는 모르겠으나 기내 서비스의 형태가 주요 항공사처럼 변했다. 과거에 선착순이던 좌석 배정이 인터넷 예약을 통해 원하는 좌석을 지정할 수 있게 되었다. 덤으로 과거에 제공했던 자잘한 기내 이벤트도 싹 사라졌다.

  • 무엇보다도 눈에 띄는 건 기내 승무원들의 유니폼 변화. 단출했던 초창기 유니폼과 달리 대한항공이나 아시아나항공에 맞먹는 퀄리티의 유니폼으로 바뀌었다.

  • 또한 자체적인 마일리지 시스템을 운용하기 시작했다. 명칭은 JJ Club.

  • 대한민국의 여섯 LCC1위 제주항공,->2위 진에어(광동체 포함 24기),-> 3위 에어부산 (21기)식으로 보유 기체와 해외 취항지 수가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엔 사이판까지 운항. 2012년 11월 24일에 12번째 항공기를 도입했고, 이에 따라 중국행 노선을 2013년에 확대했다.#


3. 2013년[편집]


  • 제주도민의 기대를 모았던 제주 - 오사카 노선이 2013년부터 운항 중단된다. 도내 관광 업계의 큰 반발이 있었다. 편수를 줄이더라도 운항 중단을 하지 말아달라고 요청했지만 이미 제주특별자치도의 지분율은 영향력을 행사하기에 너무 낮아졌다.

  • 7월부터 인천- 나리타 노선이 신설되었다. 출발 / 도착 시간도 꽤 적절해서 인천에서 출발하는 첫 비행기(7C1102)는 8:30 출발 / 10:50 도착이고 돌아오는 비행기인 7C1103편은 나리타 18:30 출발 / 21:10 도착이다.



4. 2015년[편집]


  • 8월 상호명을 AK제주항공으로 바꿀 것이라고 언론에 발표했는데 제주시 측에서 강하게 반발해 무산되었다.
  • 9월 상장을 앞두고 새 BI와 항공기 도색을 공개하였다. 깨알 HL7777
파일:external/img2.newspim.com/20150921000194_0.jpg
파일:/moneyweek/thumb/2015/09/22/06/2015092218068018695_1.jpg

중급 항덕들은 기체에 도색된 것을 보고 신기재인지 구기재인지 판단하기도 한다. 따라서 위의 도장이 도색된 항공기를 선호한다.


5. 2016년[편집]


  • 5월 16일 창립한 저비용 항공사 항공동맹밸류 얼라이언스의 창립 멤버로 참여했다.[1] 한국 저비용 항공사로는 최초.[2]

  • 호텔사업에 진출하며, 홍대입구역 복합역사에 600억 원을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

  • 10월 9일부터 10월 31일까지 한글날을 기념하여 우리말 방송을 실시했다. 이를테면 이륙과 착륙은 각각 ‘날아오를 때’와 ‘땅에 내릴 때’로 표현하는 등 우리말로 표현이 가능한 한자어와 외래어를 뺐으며, 그리고 ‘비행기’는 ‘나는 기계’라는 말을 풀어 ‘날다’와 기계 또는 장치를 뜻하는 우리말 ‘틀’을 합성해 ‘날틀’로 표현했다. 이밖에 ‘여행’은 ‘나들이’, 제주항공을 소개할 때 쓰는 ‘신선한’ 등의 꾸밈말은 새롭고 산뜻하다는 뜻을 가진 ‘새뜻한’ 등으로 바꿔 방송했다. 이 같은 방송 문안은 국립국어원의 도움을 받아 완성했다. 노선은 국내선과 중국, 일본, 홍콩, 대만, 태국, 필리핀, 베트남, 말레이시아, 괌, 사이판을 오가는 국제선 전편에서 실시되었다.[3]관련 기사


6. 2017년[편집]


  • 3월부터 제주항공이 후쿠시마로 부정기 항로를 운항할 계획을 세우자, 승무원들이 탑승을 거부하고 있다. 이 항로는 한국 측의 수요 때문이 아니라 일본 현지 여행사 측의 요청에 따라 개설된 것이라고 한다. #

  • 제주 지역 시민 단체와 정당들이 집중적으로 비판을 했다. 제주항공제주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 2월 24일자 뉴스를 통해 제주공항이 후쿠시마로 부정기 항로를 운항할 계획을 철회하고 센다이 공항으로 지정하였음을 알렸다.#


  • 3월부터 제주항공은 다른 저비용 항공사와 함께 요금을 인상하자 제주도측에서 반발을 했다. 결국 요금 인상을 놓고 제주도청제주항공은 법정에 가게 되었다.#



  • 9월 29일 블라디보스토크로 가는 노선을 취항하였다.[4]

  • 10월 18일 ~ 28일까지 울산제주 / 울산김포 노선에 사전 취항하였다.[5]



7. 2018년[편집]




  • 5월 1일 ~ 6월 30일 동안 화,목,토 (주 3일)에 김포울산 2편ㆍ울산제주 4편을 임시취항하였다.[6]


  • 6월 18일 오전 8시경에 오사카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수많은 여행객들이 눈물을 머금고 여행 일정을 취소하고 환불을 하고 있는 실정인데, 천재지변 사고로 인한 환불임에도 불구하고 환불 수수료를 60% 넘게 떼먹는 만행을 벌이고 있다.

  • 6월 23일에 서버 장애로 10여편의 항공편이 지연되는 일이 발생되었다.#

  • 8월 10일부터 10월 28일까지 인천 - 하네다 차터편을 주 2회 운행한다.# 대한민국 LCC가 하네다 공항 차터편을 띄우는 것은 에어부산에 이어 두 번째.[7]



  • 2018년 10월 28일부터 대구국제공항에서 나리타 국제공항까지 운항하는 노선이 취항하였다. 가는 편은 7C1112편, 오는 편은 7C1119편이다. 취항 첫 날에 대구공항은 새벽 4시부터 이 항공편을 이용하려는 승객들이 모여들었고 거의 만석에 가까운 승객을 채우며 운항하였다. 대구공항으로 오는 비행편도 거의 만석을 이루며 돌아왔다. 참고로 첫 비행 기념으로 승객들에게 작은 기념품(펜)을 나누어 주었다.


  • 제주항공이 항공기 50대를 구매하기 위해 보잉에어버스와 협상 중이라는 로이터발 보도가 나왔다. 약 6조 4천억 원 규모라고 #

  • 2018년 11월 20일 제주항공이 보잉의 동급 최신형 기종인 보잉 737 MAX 8 50대를 직접 구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는 기사가 나왔다.#보잉 공식 발표 총 구매 비용은 59억 달러, 약 6조 원 규모로 40대는 구매가 확정되었고, 추가로 10대를 구매할 수 있는 옵션이 붙었다. 동체를 연장하여 승객이 230명이 탑승 가능한 보잉 737 MAX 8 10 기종으로 전환하여 받을 수 있는 계약 조건도 포함되어 있다. 제주항공의 첫 보잉 737 MAX 인도는 2023년에 4분기에 이루어진다.


8. 2019년[편집]





  • 4월 12일 태국행 여객기[8] 기내에서 미확인 비행 물체로 보이는 무언가가 촬영되어 다소 화제가 되었다.

  • 12월 18일 비상경영을 선포한 이스타항공의 주식 51.18%를 인수했다. 1월 중으로 주식매매계약(SPA) 체결을 연기하였다.#

9. 2020년[편집]


  • 7월 23일, 제주항공이스타항공 인수를 포기한다는 기사가 떴다. 따라서 종전에 체결한 지분계약은 무효화되었다. #


10. 2020년[편집]




11. 2021년[편집]




12. 2022년[편집]


  • 6월 9일, 지난에서 개조가 완료된 자사의 첫 화물기인 HL8295를 도입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22:46:41에 나무위키 제주항공/역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창립 멤버는 제주항공을 비롯해 필리핀 세부 퍼시픽, 태국 녹에어, 녹스쿠트 항공, 싱가포르 스쿠트 항공, 타이거에어 싱가포르, 오스트레일리아 타이거에어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바닐라 에어 등 8개 저비용 항공사이다. [2] 두 번째는 유플라이 얼라이언스에 가입한 이스타항공.[3] 우리말 기내방송 시행의 예를 들면 이런 식으로 “화장실을 비롯해 날틀(비행기) 안에서는 담배를 피우면 안 되며, 날틀이 날아오를 때(이륙)와 땅에 내릴 때(착륙)에는 손전화(휴대전화)를 날틀 전용 방식(비행기 모드)으로 바꿔 주시기 바랍니다.” 라는 안내방송을 시행했다.관련 기사[4] 현재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단항.[5] 이후 정식 취항을 하려했으나 제주공항의 슬롯을 확보하지 못해 무산되었다. 차후 제주공항 슬롯이 확보된다면 정식으로 취항할수도 있다. 대신 울산공항에서 아시아나항공이 철수하고, 에어부산이 투입되어 해당 노선을 운항 중이다.[6] 2017년 임시 취항 당시 시장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다시 임 시취항을 하였으나, 결국 이번 임시 취항을 마치고 울산사무실을 완전히 철수하였다.[7] 에어부산부산-하네다 노선으로 띄웠다.[8] 레지넘버: HL8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