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버스 380

덤프버전 :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

[[틀:제주특별자치도 공항리무진|
공항
]]ㆍ[[틀:제주특별자치도 급행버스|
급행
]]ㆍ[[틀:제주특별자치도 간선버스|
간선
]]ㆍ[[틀:제주특별자치도 지선버스|
지선
]]ㆍ[[틀:제주특별자치도 순환버스|
순환
]]ㆍ[[틀:제주특별자치도 심야버스|
심야
]]ㆍ[[틀:제주특별자치도 임시 노선|
임시
]]
[ 200번대 · 일반 ]

[ 300번대 · 제주시 ]
43
300
301
302
311
312
315
316
320
325
326
331
332
335
336
341
342
345
346
347
348
349
351
352
355
356
357
358
360
365
366
367
368
370
380

빨간색: 간선급행버스(도심급행버스)

[ 500번대 · 서귀포시 ]



파일:제주380.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5. 주요 관광지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시 간선버스 380번
기점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함덕리(신사동)
종점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라일동(제주대학교병원 정문)
종점행
첫차
06:45
기점행
첫차
06:25
막차
21:30
막차
19:54
21:46(함덕5구 종료)
배차간격
1일 17회
운수사명
삼영교통
인가대수
4대
노선
신사동 - 함덕서우봉해변 - 신흥리마을입구(함덕고) - 조천리 - 신촌초등학교 - 삼양동주민센터 - 사라봉 - 제주여상 - 동문로터리 - 중앙로사거리 - 제주시청 - 제주여중고 - 아라초등학교 - 제주대학교병원 정문


2. 개요[편집]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간선버스 노선으로, 삼영교통에서 운행한다. 왕복 운행거리는 45.4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옛 제주시 시내버스 업체였던 한일여객, 대화여객 시절부터 운행해 온 역사와 전통을 가진 노선으로, 수많은 시내버스 개편에도 불구하고 수십년간 노선변경이 거의 없는 노선 중 하나였다. 이 노선의 존재로 인해 구 북제주군 조천읍에 속했던 조천, 함덕이 예전부터 제주시 생활권 내에 편입될 수 있었다.
  • 2017년 8월 26일 버스 개편으로 폐선되었는데 함덕에서 중앙로 방면으로 가는 버스가 없어 주민들의 불편이 컸다.[1] 이후 2017년 11월 23일부터 이 노선이 기존 5개 회사에서 삼영교통으로 운행업체를 변경한 후 이 노선을 인수해 다시 운행 중이다. 단, 종점은 제주대학교가 아닌 제주대학교병원 내부로 단축되었다. 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 2021년 1월 22일부터 운행시간표 변경되었다. 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4. 특징[편집]


  • 2017년 개편 전 구.10번 노선 대부분을 계승한 노선이다. 옛 480번 노선 대체를 겸한 노선이라서 종점이 제주대학교가 아닌 370번과 마찬가지로 제주대학교병원 정문까지 운행한다. 다만 운행 횟수도 구.10번과는 달리 1일 17회에 불과하여 시간이 안맞으면 큰 길로 나와서 다른 노선을 이용해야하는 불편이 있다. 과거 10번 버스때에는 배차간격이 매우 짧았으며, 중앙로사거리 가는 것이 편리했었다. 그렇기 때문에 조천읍 지역이 목적지인데 시간이 맞지 않을 경우, 제주시청에서는 300번, 311번, 341, 342, 348, 349번을 이용하면 되며, 중앙로사거리에서는 312번을, 동문로터리에서는 312번, 325, 326번을 이용하면 된다.



4.1. 시간표[편집]


380번 노선 시간표


5. 주요 관광지[편집]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삼성혈, 제주 중앙지하상가, 관덕정(제주목관아지), 제주동문시장, 칠성로 쇼핑거리, 산지천, 사라봉, 국립제주박물관, 삼양검은모래해변, 삼양동 선사 유적지, 조천만세동산, 제주항일기념관, 함덕서우봉해변, 함덕민속오일시장, 제주 올레길 17, 18, 19코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23:00:38에 나무위키 제주 버스 38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엄밀히 따지면 312번이 일부 구간을 대체했으나 배차 간격이 너무 길었고, 특히 삼화지구로 돌아가기 때문에 조천읍과 삼양동, 화북동, 건입동 등 주민들의 강력한 민원과 항의로 인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