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엽

덤프버전 :


정선엽
鄭善燁


출생
1956년 6월 21일
전라남도 영암군 금정면 안로리
사망
1979년 12월 13일 (향년 23세)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방부 청사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본관

가족
아버지: 정순남, 어머니: 한점순, 형, 누나, 동생
학력
광주동신고등학교 (졸업)
조선대학교 전자공학과 (휴학 / 77학번)
군사 경력
복무
대한민국 육군
1977년 ~ 1979년
최종 계급
병장 (대한민국 육군)
근무
국방부 50헌병대
병과
군사경찰

1. 개요
2. 생애
2.1. 12.12 이전의 이력
2.2. 12.12 당시의 상황
2.3. 순국 후의 이야기들
3. 추모
4. 미디어 매체에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의 병장. 1979년 12.12 군사반란 당시 국방부 초병으로 근무하던 중, 국방부에 진입하려던 반란군에게 저항하다가 전사하였다.


2. 생애[편집]



2.1. 12.12 이전의 이력[편집]


1956년 6월 21일 전라남도 영암군 금정면 안로리에서 아버지 정남순과 어머니 한점순 사이에서 3남 2녀 중 넷째로 태어났다. 어린시절 형과 함께 광주로 유학을 갔고 광주동신고등학교을 다니면서 안창호의 뜻을 이은 흥사단 아카데미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흥사단 활동을 하면서 학생의 날을 기념하는 시위에 참여했다가 정보기관 관계자로 보이는 사람들에게 끌려간 적도 있다고 한다.

정선엽은 태권도 유단자였고 덩치도 좋았으며 의협심과 애국심도 남달랐다고 한다. 영민했던 그는 어려운 가정형편 속에서도 가족의 지원을 톡톡히 받았고 77년 조선대학교 전자공학과에 입학해 재학 중 군에 입대하여 국방부 헌병으로 복무했다. 휴가를 나온 정선엽을 본 친구들은 그를 '선엽 장군'이라 부를 정도로 군복이 잘 어울렸다고 한다.


2.2. 12.12 당시의 상황[편집]


정선엽의 전역이 3개월 가량 남았던 1979년 12월 13일, 전두환이 주도한 12.12 군사반란으로 '진도개 하나'가 발령되자 국방부에서 근무 중이던 군인들은 모두 경계근무에 배치되었다. 정선엽의 선임은 전역을 앞둔 그를 배려해 보안실에 그를 배치하려 했지만, 그는 요충지인 B2 벙커에 후임 일병이 배치됐다는 소식을 듣고 벙커 초병을 자원했다고 한다. 당시 50헌병중대 행정병 출신에 따르면, B2 벙커에서의 근무가 어려울 것임을 우려한 정선엽이 후임을 보안실로 보내고 본인이 B2 벙커에서 근무했다고 한다.

그러나 B2 벙커 출입구 외곽의 초소를 점령한 반란군 제1공수특전여단은 벙커를 점령하기 위해 5~6명의 공수부대원을 지하 계단을 따라 내려보냈고, 이때 반란군의 총성을 듣고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계단을 올라오던 정선엽과 마주쳤다. 당시 지하 벙커로 내려오던 공수부대원을 보고 숨어서 이 대치를 목격한 한 방위병의 증언에 따르면, 공수부대원이 정선엽에게 총을 건네달라고 요구했지만 그는 "우리 중대장님의 지시 없이는 절대 총을 줄 수 없다"라고 외치며 끝까지 저항했고 공수부대원과 격한 몸싸움까지 했다고 한다. 몸싸움을 하다 정선엽은 계단 아래로 굴러 떨어졌고, 결국 그와 몸싸움을 하던 반란군 측 대위가 그의 목에 권총을 발포하고 만다. 뒤이어 시작된 공수부대원들의 사격에 정선엽은 목에서 머리를 관통한 1발, 가슴 부위에 3발의 총상을 입고 전사했다. 그의 나이 겨우 23세.


2.3. 순국 후의 이야기들[편집]


쿠데타에 성공한 신군부는 정선엽의 죽음을 '계엄군 증가 인원과의 오인에 의한 총기사고'로 조작했다. 이후 오랜 시간이 지나 대한민국의 민주화가 이뤄진 후에야 순직이 인정되면서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됐다.


3. 추모[편집]


2017년 정선엽과 함께 광주에서 흥사단 아카데미 활동을 한 정선엽의 고교 친구들은 정선엽의 모교인 광주동신고등학교에 그를 기리는 소나무 한 그루를 심었다.

2022년 4월 군사망사고진상규명위원회는 정선엽의 죽음이 은폐되고 조작되었다고 규정하고 순직에서 전사로 변경했고 같은 해 12월 7일 유족에게 전사확인서를 전달했다.

2024년 1월, 정선엽 병장의 모교인 조선대학교에서 정 병장에게 명예 졸업장을 수여할 예정이다. #


4. 미디어 매체에서[편집]


  • 쿠데타 당시 진압군 측의 또 한명의 전사자였던 김오랑 중령과 달리 관련 창작물에서 별다른 주목이 없었으나, 2023년 영화 서울의 봄에서 그를 모티브로 한 조민범 병장이 등장하였다. 실제와는 달리 김준엽 헌병감[1]만 남은 육군본부 벙커로 진입하려는 반란군을 저지하다가 전사하는 것으로 나온다. 반란 당시 사병 전사자가 발생했다는 사실은 그다지 알려져 있지 않아 영화를 보던 관객들이 꽤나 큰 충격을 받기도 하였다.[2]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13:35:09에 나무위키 정선엽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김진기 헌병감을 모티브로 만든 등장인물. 배우 김성균이 연기하였다.[2] 참고로 우연이지만 이 장면을 촬영한 장소는 다름아닌 그의 모교인 조선대학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