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선규

덤프버전 :

林仙圭
1912년[1] 2월 5일 ~ 1970년[2]

1. 개요
2. 생애
2.2. 공산당 활동
3. 기타



1. 개요[편집]


일제강점기, 북한의 극작가. 친일반민족행위자이자 종북주의자로,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홍도야 우지마라)'의 제작자이자 문예봉의 남편이며, 슬하에 2남 2녀를 두었다. 본명은 임승복(林勝福). 창씨명은 하야시 나카로(林中郞, 임중랑).[3]

당대 신파극 극작가의 대표자로 일제강점기에 많은 흥행을 한 연극의 작가이기에 문학인이라면 임선규를 모를 리가 없다라는 말이 나올정도로 큰 인기를 끈 작가였다, 그러나 친일, 종북 행위로 후대에 평가가 좋지 못하다.

2. 생애[편집]



2.1. 일제시대[편집]


1912년 2월 5일 충청남도 논산군 연산면 관동리#에서 소작농의 아들로 태어나 빈곤한 환경에서 성장하였다. 서당에 다니다가 논산공립보통학교 2학년에 편입했으며, 1927년 강경공립상업학교에 진학했으나 1931년 학비 조달이 어려워 중퇴했다.

1932년 극작가로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고등학교 중퇴 학력이지만 많은 습작으로 실력을 쌓아왔던터라 얼마 안가 중요 극작가로 올라서게 된다. 이듬해에 배우 문예봉과 결혼하였다.

1936년에 집필한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가 크게 흥행하자 당대 최고의 극작가로 올라서게 된다.

태평양전쟁 시기에 아내 문예봉과 함께 연극분야에서 전쟁 수행에 협력하였으며, 이 시기의 내놓은 작품들이 일본 제국을 미화하는 작품들이 많았다.


2.2. 공산당 활동[편집]


광복 이후 식민지 체제에 협력한 많은 연극 인사들이 그랬던 것 처럼 부인과 같이 좌익 계열로 활동 하였으며, 남조선로동당 소속으로 활동 하였으나 별다른 활동 없이 부인을 따라 1948년 월북을 하게 된다.

월북 이후 두드러진 활동은 없다가 1970년 경 결핵으로 사망했다는 이야기만 있다. 하지만, 월북직후 사망했다는 설이 있는 등 기록이 정확히 남아있지 않다. 아내인 문예봉이 숙청되었던 70~80년대 상황을 봤었을 때 같이 숙청되어 있을 수도 있다.


3. 기타[편집]


동양극장에서는 권해효가 맡았으며, 문예봉의 비중이 있는편이라 그 역시 주요인물은 아니지만 조연으로써 역할을 하였다.


파일:야인시대 로고.png 합성물 주요 등장인물 · 장면

[ 펼치기 · 접기 ]
주요 등장인물
파일:내가 고자라니 레귤러1.png
파일:내가 고자라니 레귤러2.png
파일:내가 고자라니 레귤러3.png
파일:내가 고자라니 레귤러4.png
파일:내가 고자라니 레귤러5.png
파일:내가 고자라니 레귤러6.png
심영
김두한
상하이 조
의사양반
이정재(형사양반)
심영의 어머니
조병옥
이승만
염동진
김좌진
정진영
장택상
시라소니
나레이션
임화수
박용직
김종원
미군양반
조연 등장인물1
박헌영
김형사
신불출
문영철
김무옥
이석재
문예봉
미와 와사부로
워태커#야인시대 합성물에서
줄서양반
이기붕
김영태
신영균
개코
애기보살#야인시대 합성물에서
김해숙
곽영주
눈물의 곡절
최동열#야인시대 합성물에서
백관옥#야인시대 합성물에서
신익희
유진산
고깃집 아저씨#야인시대 합성물에서
유지광
박마리아
중앙극장 관객
이화룡
임동호
신성모
금강
마이클 상사#야인시대 합성물에서
김관철
정팔
김이수
연구 대상2
황철
구마적
신마적
쌍칼
이강석
김천호
아구
황병관
삼수
박정희
휘발유
돼지
김후옥
임선규
홍만길
김두한의
친할머니

개고기 김
마루오까
하야시
나미꼬#야인시대 합성물에서
오상사#야인시대 합성물에서
와싱턴
김기홍
번개
타 작품 등장인물3
궁예
(태조 왕건)
세기중기 수리공
(영웅시대)
왕창한
(미지왕)
나레이션 양반
(태조 왕건)
홍재근
(야수)
흑곰4
(바리바리 짱)
레이
북두의 권(실사한국판)



장면
폭☆8
백병원 앞을 지나가는 자동차
1. 주요 등장인물만큼 많이 합성되지는 않지만 합성물에는 사용되거나 원작 내 이름이 없는 인물 또는 사물.
2. 아직까지 이들이 비중있게 나오는 합성물은 많이 나오지 못했지만, 부분적으로나마 쓰이고 있거나 거의 쓰이지 않았다 하더라도 여러 야인시대 합성물 제작자들의 연구 대상에 포함되는 인물 또는 사물.

3. 야인시대가 아닌 다른 작품에서 출연했지만 야인시대 출연 배우와 같은 인물이 맡은 배역이라서 합성물에 쓰이고 있는 인물 또는 사물.





야인시대에도 등장하였으나 단역보다도 비중이 떨어지는 보조출연자 수준이다. 담당 배우는 불명. 담당 배우부터가 불명이고, 심지어 같은 단역인 아내 문예봉, 동료 황철과 달리 대사가 전혀 없는 탓에 외부소스를 쓰는 것도 잘 되질 않다보니 야인시대/합성물에서도 지나가는 배경 단역으로 쓰는 정도로 중점적으로 다루지 않고 있다. 의사양반 옆의 간호사와 동급이라 할 수 있다. 워낙 비중이 없는 탓이 아내인 무뇌봉이 심영이나 황철 애인으로 뺏기는 상황도 자주 나온다.

이후 심영물이 별의별 인물들이 굴려지는 와중에도 임선규는 대사가 없어 활용도가 한정되어 있다. 이 점이 오히려 특징이 되어 마피아로 몰려 사형되는 와중에도 말을 못해 그대로 퇴장한다든지, 표정으로 심영을 욕하는 정도. 대부분 눈으로 대답한다는 설정(...)으로 어떻게든 이어나간다. 그나마 다른 등장인물들의 목소리를 빼앗는 합성물도 나오긴 한다. 이 합성물 이후로 '노대사' 라는 별명이 있다.

원로 배우 고설봉의 예명을 직접 지어줬다고 한다.

[1] 일부에서는 1910년생 또는 1914년생을 주장하기도 하고 기록 자체도 얼마 없어서 정확한 생년이 아닐 수 있다.[2] 1940년대 후반에서 50년대 주측 기록이 있다.[3] 이름만 바꾼 거지 성은 그대로 놔뒀다. 林씨는 일본에도 있어서 저 성을 가진 조선인들이 한자는 유지해도 읽는 법을 하야시로 바꾸면 넘어가줬기 때문.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3:54:37에 나무위키 임선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