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의학)/질병과 사망의 측정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역학(의학)




1. 연령표준화
1.1. 필요성
1.2. 직접표준화
1.2.1. 예시
1.3. 간접표준화
1.3.1. 예시
2. 사망 통계
3. 출생 통계
4. 질병 통계
4.1. 유병률
4.2. 발생률
4.2.1. 예시
4.3. 발병률
4.4. 치명률


1. 연령표준화[편집]



1.1. 필요성[편집]



국가 A[1]
국가 B[2]
조사망률(1000명당)
10.3
7.3
기대수명
81.6세
70.1세
위 표에서 조사망률(crude death rate)[3]은 국가 B가 더 낮은데, 기대수명은 국가 A가 더 길다. 이러한 모순된 결과가 나오는 이유는, 사망률을 비롯한 질병/사망 통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인구 구조이기 때문이다. 국가 A의 인구 구조가 더 고령화되어있기 때문에, 기대수명이 보여주듯이 보건 수준이 더 높더라도 조사망률이 더 높게 나타났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지역이나 서로 다른 시점의 질병/사망 통계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그 값을 연령표준화해야 한다. 연령표준화의 방법에는 직접표준화와 간접표준화가 있다.


1.2. 직접표준화[편집]


비교하려는 집단의 연령별 분율[4]과 기준이 되는 표준 인구의 연령별 인구 분포를 알고 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설명의 편의상 사망 통계를 예시로 들었으나, 다른 지표에 대해서도 표준화율을 구할 수 있다.
  • 표준 인구의 연령별 인구 수와 비교하려는 집단의 연령별 사망률을 곱한다.
  • 앞의 값을 더하고, 표준 인구의 총 인구수로 나누어 직접 표준화 사망률을 구한다.


1.2.1. 예시[편집]


연령
집단 A
집단 B
표준 인구
인구
사망자 수
사망률
인구
사망자 수
사망률
인구
40~54세
2000
5
0.0025
4000
15
0.00375
30000
55~69세
4000
30
0.0075
2000
15
0.0075
40000
합계
6000
35
0.0058
6000
30
0.005
70000
위 표에서 집단 A, 집단 B의 표준 인구에서 연령별 기대 사망자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연령
집단 A
집단 B
40~54세
30000×0.0025=75
30000×0.00375=112.5
55~69세
40000×0.0075=300
40000×0.0075=300
합계
375
412.5
따라서, 두 집단의 직접표준화 사망률은 각각 375/70000≈0.0054, 412.5/70000≈0.0059가 된다. 조사망률(crude death rate)는 집단 A가 더 높았지만, 이는 집단 A에 고령 인구가 더 많았기 때문이며, 연령 표준화 사망률은 집단 A가 더 낮다.


1.3. 간접표준화[편집]


비교하려는 집단의 연령별 인구 분포와 비교하려는 집단의 전체 분율, 표준 인구의 연령별 분율을 알고 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설명의 편의상 사망 통계를 예시로 들었으나, 다른 지표에 대해서도 표준화율을 구할 수 있다.
  • 표준 인구의 연령별 사망률과 비교하려는 집단의 연령별 인구 수를 곱한다.
  • 앞의 값을 더한 값이 비교하려는 집단의 기대사망자수가 된다.
  • 비교하려는 집단의 사망자 수를 기대사망자수로 나누어 간접 표준화 사망비(Standardized Mortality Ratio, SMR)를 구한다.
  • SMR에 표준 인구의 조사망률을 곱해 간접 표준화 사망률을 구한다.


1.3.1. 예시[편집]


연령
집단 A
집단 B
표준 인구
인구
사망률
사망자 수
사망률
사망자 수
사망률
40~54세
2000
-
4000
-
30000
0.002
55~69세
4000
-
2000
-
40000
0.005
합계
6000
35
6000
30
70000
0.0037
위 표에서 집단 A, 집단 B의 기대사망자수와 간접 표준화 사망비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집단 A
집단 B
기대사망자수
2000×0.002+4000×0.005=24
4000×0.002+2000×0.005=18
간접 표준화 사망비
35/24≈1.4583
30/18≈1.6667
따라서, 두 집단의 간접표준화 사망률은 각각 0.0037×1.4583≈0.0054, 0.0037×1.6667≈0.0062로 계산된다.


2. 사망 통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죽음/통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출생 통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출산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질병 통계[편집]



4.1. 유병률[편집]


어느 한 기간(시점)에서 특정 인구 집단에서 특정 질병을 가지고 있는 인구의 비율을 유병률(prevalence)라고 한다.
  • 시점 유병률(Point prevalence): 어느 시점의 환자 수를 그 시점의 총 인구 수로 나눈 값.
  • 기간 유병률(Period prevalence): 어느 기간 동안의 환자 수를 그 기간의 중앙 시점 인구 수로 나눈 값.
  • 평생 유병률(Lifetime prevalence): 평생 한 번이라도 해당 질병에 이환된 비율.
2019년 기준으로 암 평생 유병률은 35.5%이다.[5]


4.2. 발생률[편집]


발생률(Incidence rate)은 특정 기간 동안 특정 인구 집단에서 새로 발생한 환자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 누적발생률(Cumulative incidence): 특정 기간 동안 발생한 환자 수를 발생 위험이 있는 인구 수로 나눈 값.
  • 평균발생률(Incidence density): 특정 기간 동안 발생한 환자 수를 총 관찰 인년(person-year)[6]으로 나눈 값.


4.2.1. 예시[편집]


파일:발생률.png
위 그림에서 관찰 기간 동안 12명 중 3명에게 질병이 발생했으므로, 누적발생률은 3/12=25%이다.
각 개인의 관찰 기간의 합을 구하면, 102인년이며, 평균발생률은 3/102PY으로, 1000인년 당 약 29명이다.


4.3. 발병률[편집]


  • 발병률(Attack rate)은 감염병의 전파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원인 요인과 접촉하거나 원인 요인에 노출된 인구 중 질병이 발병한 환자의 수의 비율로 구할 수 있다.
  • 이차 발병률(Secondary attack rate)은 일차 환자(primary case)에 노출된 인구[7] 중 해당 질병이 발병한 환자의 수의 비율로 구할 수 있다. 질병의 감염력, 전염력을 측정하는데 활용된다.


4.4. 치명률[편집]


치명률(Case fatality rate)은 특정한 질환으로 인한 사망 수를 환자 수로 나눈 값이다. 인구 집단에서 사망의 수를 측정하는 사망률(mortality)와 구별되는 개념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12:51:40에 나무위키 역학(의학)/질병과 사망의 측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핀란드[2] 캄보디아[3] 1년의 사망자 수를 그 해의 인구로 나눈 값[4] 사망률, 발병률, 유병률 등[5]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664993#home[6] 각 개인의 관찰 기간의 합. 예를 들어, 5명을 3년간 관찰했다면 15인년이 된다.[7] 질병에 감수성이 있는 인구만 분모에 포함한다. 즉, 예방접종자나 과겨력이 있어서 면역이 있는 경우 분모에 포함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