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제/대중매체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시황제



[ 펼치기 · 접기 ]
생애 및 활동
생애 · 분서갱유 · 평가
매체
대중매체
능묘
진시황릉
기타
반량전 · 아방궁 · 만리장성






중국 역사를 말할 때 절대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인지라, 중국 역사 관련 인물 중에선 삼국지 관련 사람들(조조, 유비, 제갈량 등)과 마오쩌둥[1] 다음으로 대중문화에 많이 등장했다.

마오쩌둥은 현대 중국. 즉, 중화인민공화국 창시자인데다 중국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이니 많이, 자주 나올 수 밖에 없지만, 조조, 유비 등은 중국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사람이라기보단 삼국지 덕분에 대중매체에 많이 나온 것이지, 중국 역사에선 진시황과는 애초에 같은 급으로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이다.


1. 영화[편집]



1.1. 미이라 3: 황제의 무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황제(미이라 시리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2. 진용[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진용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3. 영화 영웅[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영웅(2002)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 게임[편집]



2.1. Fate 시리즈[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시황제(Fate 시리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 어쌔신 크리드 시리즈[편집]


에덴의 조각을 지녔던 인물로 나온다. 물론 암살당한다. 제국의 동부를 시찰하던 중에 '웨이위'(魏羽, Wei Yu)라는 암살단원의 에 찔려 살해되었다고 전한다.

진시황 집권 시기를 배경으로 다룬 어쌔신 크리드 : 제이드에서 등장할 예정이다.


2.3. 삼국지 시리즈[편집]


파일:Shi_Huangdi_(1MROTK).png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029.jpg
삼국지 12, 13, 14

코에이삼국지 시리즈에서는 고대무장으로 등장하는데 삼국지 12에서 정치가 100이다.(삼국지 13은 95) 그런데 암살자 형가를 맞았을 때 상당히 위험한 상황이었음에도 형가의 급습을 피했고 칼을 맞대어 형가를 직접 제압한 전력이 있는데도 어쩐 일인지 무력이 50대 후반. 아무래도 '형가가 서툴렀다'는 쪽으로 결론을 내린 것일지도. 아니면 무력 - 정치 반비례 법칙일지도 모른다. 실제로 삼국지 11에서 무력과 정치력이 둘 다 80을 넘는 장수는 등애가 유일하며 둘 중 하나가 90을 넘으면 나머지 하나는 79 미만이 된다. 삼국지 이외까지 확장하자면 무력과 정치 둘 다 80을 웃도는 장수는 등애 이외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 하나밖에 없다.

형가전에는 형가가 "내가 너를 죽이지 않은 까닭은 살려두어 협박하여 제후들에게 빼앗은 땅을 돌려주도록 하기 위함이었다."라고 했다고 했었으니 자객 열전을 참조하여 형가가 봐줬다로 결론내린 것일지도 모르겠다.

삼국지 11에서 보유한 특기는 징세. 지력까지 90대라서 내정뿐만 아니라 전쟁시 책략용으로도 제법 괜찮지만, 상성이 조조와 같은데도 매력이 78밖에 안 되어서 군주로 사용한다면 매 계절마다 충성도 관리에 애 먹을 것이다. 더구나 역사 시나리오에선 수명이 얼마 안 남았기에 활약할 기회도 거의 영웅 집결 같은 가상 시나리오밖에 없다. 분서 갱유와 혹독한 법치에 의존한 사실 때문인지 공자공융이 혐오무장.

삼국지 12에서 통솔력이 81로 책정되어 전작보다 31이나 올랐다. 매력치가 없어진 걸 감안해도 엄청난 버프. 게다가 전법은 전공격강화. 전국 칠웅 시나리오에서 진나라 군주로 등장한다.

삼국지 13에서도 등장하며 여기선 고유 전법까지 부여 받았다. 전법명은 시황제이며 효과는 범위 내 아군의 공격력과 방어력을 60, 기동력을 30, 사기를 30 상승시키고 사기 유지 효과를 부여하는, 수치상으로만 봤을때는 고성능의 전법처럼 보이지만 소비 채배가 10으로 맥스이기 때문에 가성비가 매우 후져 사실상 봉인당하는 전법이다.

능력치는 통솔 97[2], 무력 61, 지력 89, 정치 95. 특기는 상업 8, 문화 5, 훈련 7, 순찰 8, 설파 4, 교섭 4, 언변 7, 위풍 9, 공성 7, 견수 7, 귀모 3이며 전수 특기는 위풍. 병과 적성은 97의 통솔력이 무색하게 창병과 기병이 C이며 궁병은 B로 하위권을 달린다. 중신 특성은 합리철저다.

삼국지 14에서 통 50/무 54/ 지 92/ 정 100/ 매 86로 다시 내정형 무장이 되었다. 통솔이 50지만 황금 개성이 동탁과 같은 효웅이라 전선에서는 사령관으로 나설 수 있는데 다행히 방원과 정란을 갖고 있어서 해볼만 하다. 호위 무장을 붙여준다면 쓸만한 무장이 될 수 있다.


2.4. 삼국지조조전 Online[편집]


파일:조온_영정.png

삼국지조조전 Online고대무장으로 등장. 장수 이름은 진시황제 대신 본명인 영정으로 등장. 병종은 천자계고 성우는 김영선이다. 천하일통의 패 계보의 최종 해금 장수로 등장한다.

4개 장수효과 중 3개가 영정 전용일 정도로 강력한 장수로 나와 등장하자마자 게임의 메타를 지배하고 있다.


2.5. 시드 마이어의 문명[편집]


문명 2에서 측천무후와 함께 나왔으며, 문명 4에서 마오쩌둥과 함께 나왔다.

파일:문명 온라인 진시황.jpg

문명 온라인에서 중국의 지도자로 등장했는데, 전체적으로 달걀 모양으로 데포르메된 뚱뚱한 스타일의 이미지가 특징이다.

파일:external/downloads.2kgames.com/qin_hero.jpg

문명 6에서 다시 등장했다.


2.6. 영웅전희[편집]


모에화 되었다. 병약 속성으로 한 약장수에게 비싼 돈을 주고 산 약을 먹고 있었는데 알고보니 수은이었다.


2.7.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편집]


판다리아의 안개에 등장하는 초대 모구 황제인 천둥왕 레이 션의 모티브가 되었다.


3. 소설[편집]



3.1. 노빈손 시리즈[편집]


으랏차차 중국 대장정》편에서 등장한다. 불로초의 부작용으로 좀비가 된 채 부활해서 세계 정복을 위해 사람들을 여럿 잡고 다니지만 노빈손의 활약으로 소멸한다. 그의 취미 중 하나로 통일하기를 꼽은 것이 있다. 아마도 그가 춘추전국시대를 통일한 직후 화폐와 도량형, 문자, 수레바퀴 폭 등을 통일한 것 등에서 착안한 듯하다.


4. 만화[편집]



4.1. 킹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진시황(킹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2. 종말의 발키리[편집]


파일:1636794448.jpg
종말의 발키리 인류측 등장인물 진시황


4.3. 창제기[편집]


손위군홍콩 만화 <창제기>는 미소년 영정이 시황제로 흑화해가는 이야기이다.


4.4. 용사가 돌아왔다[편집]


과거 창의 용사였다는 설정으로 나왔다. 박정수가 사용하는 창들 중 하나인 지창 여의 역시 원래 그가 사용했던 창으로 추정.


4.5. Boxers and Saints[편집]


중국계 미국인 만화가 양근륜(楊謹倫/Gene Luen Yang)이 의화단 운동을 소재로 그린 만화 <Boxers and Saints>에도 등장한다. 이 만화에서 의화단은 단순히 권법 믿고 설치는 애들이 아니라 정말로 도술로 중국 신화와 역사의 위인들을 불러내서 이들이 빙의한 채로 초인적인 전투력을 발휘하는 무술가 집단으로 나온다. 주인공 리바오에게 빙의하는 신이 처음엔 밝혀지지 않다가 나중에 시황제임이 드러난다. 서양인과 기독교도 아녀자들을 차마 죽이지 못하고 망설이는 리바오에게 중국을 서양귀신들로부터 지켜야 한다고 계속 그를 시도때도 없이 쪼으면서 광기로 몰아넣어 리바오를 살육귀로 만든다. 급기야 분서갱유하던 버릇을 못 버리고 한림원 장서관에 불을 질러 귀중한 장서들을 잿더미로 만들어버리고 조계지로 의화단을 돌진시키다가 후방에서 나타난 인도제국군에게 의화단이 몰살당하게 만든다.


5. 드라마[편집]



5.1. 진시황 (1986)[편집]




영문명은 The Rise of the Great Wall - Emperor Qin Shi Huang.

1986년에 홍콩의 ATV에서 제작, 방영한 63부작 드라마로 중국 시안, 한국 제주 로케이션 촬영을 하였다. 진시황 역은 유영(劉永)이 맡았는데, 대륙 로케이션 촬영 이력이 대만에서 문제가 되어[3] 1990년대 초반까지 그의 출연작품은 모두 대만에서 방송금지가 되었다.



상술했듯 한국 제주에서도 촬영을 왔는데, 주로 겨울철 장면을 촬영했다. 당시 ATV에서 관련 특집을 만들어서 방영했는데, 1980년대 제주의 모습을 조금이나마 볼 수 있는 방송자료다.


5.2. 신화[편집]


성룡김희선이 주연한 2005년작 영화 신화를 리메이크한 2010년작 드라마로 영화와 달리 조연급 비중으로 출연한다. 장진성이 배역을 맡은지라 은근 개그 캐릭터. 무지막지한 폭군으로 묘사되지는 않지만 만리장성 축조, 불로장생이나 옥수 공주에 대한 집착, 조고에 대한 총애 등 어떻게 보면 작중 만악의 근원이라 할만 하다. 임종을 앞두고 역소천의 분전 덕에 그토록 고대한 장생약을 얻지만, 독살을 의심하여 복용을 미루다가 조고에게 뒤통수를 맞고 결국 유한한 인간의 삶을 마친다.


5.3. 대진제국 시리즈[편집]


파일:대진부 영정.jpg
파일:대진부 진시황제.jpg

파일:BA07050F-9613-4784-BB8B-830E6C6A7BE6.jpg
파일:2E101F57-47DB-485D-8B94-A12AA47066B8.jpg
조나라에서의 인질시절을 주로 보낸 어린 시절

파일:DD3B0611-530C-4FCE-A030-03B93C988756.jpg
파일:037F8035-37C9-41C9-B40B-00B878EA8498.jpg
파일:AD7B89EF-7519-4D3C-A5A6-B29250A224B4.jpg
왕위에 등극할 때[4]
관례를 치르고 친정을 선포할 때
통일을 이룩하고 황제가 되었을 때[5]
대진제국 시리즈에서는 그 이전 시기의 왕들인 진효공, 혜문왕, 소양왕을 다뤄온 탓에 오랫동안 등장하지 않았다가 시즌 3 굴기편에서 잠깐 영이인의 아들로 태어났다고 잠시 언급이 되었고, 시즌 4 대진부[6]에서 본격적으로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연기한 배우는 영화 용의자 X의 헌신 중국판에서 수학교사 이시가미 데츠야 포지션이었던 스홍을 연기한 장로일(张鲁一).


5.4. 초한전기[편집]


2012년에 방영된 작품으로 위허웨이가 시황제를 맡았다.[7] 한국 더빙판 성우는 김준.

묘사되는 모습은 전형적인 절대 권력자 그 자체지만 어떤 부분에선 다르다. 가령, 궁중 연회에서 이사 같은 친한 신료를 자기 자리 근처에 오게 해서 이야기를 나누며 음식을 손으로 막 집어먹는다든지, 이사에게 좋아하는 음식을 손수 잘라 챙겨준다든지,[8] 분서에 항의하는 유학자, 대신들에게 이야기는 들어보겠다든지 하는 소탈하면서도 제멋대로의 모습이 그려진다.

또한 장성 축조도 북방 흉노에 대한 막연한 불안이 아니라 그에 대한 대비를 위함이며 법치주의적인 엄격한 통치도 그런 일환으로 제국 통치에 확고한 비전을 가지고 있는 통치자로 묘사된다.

하지만 그런 비전은 맏아들 부소를 비롯해 많은 이들에게 이해되지 못하고 그에 대해 고독감이나 소외감을 느끼는 것으로 묘사된다. 순행을 자주 다니는 것도 궁중보단 마차 안의 흔들거림이 마음을 편하게 한다고 하며 분서를 중단할 것을 요청하고 백성들의 고됨을 전하는 부소에게 백성들은 이해하지 못한다고 일갈하기도 한다. 하지만 부소를 많이 아낀다는 것을 은연중에 드러내는데, 이 직후 부소에게 북쪽으로 가 몽염을 감독하라 지시하는 장면에선 그래도 아들을 멀고 험한 북쪽으로 보내는 게 안타까운지 조심하라며 울먹거리기도 하고, 부소가 자기를 이해해주길 바라는 마음을 독백으로 표현 하기도 한다. 부소를 북방으로 보내는 것도 분서에 반대하는 부소를 잠시 떨어트리는 겸에 감독과 병행해서 몽염 밑에서 군 통솔의 방법을 배우라는 의미이기도 했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강압적이고 포악한 모습도 그대로라 분서갱유는 물론 운석에 떨어진 문구를 보고 사방 백 리의 거주민을 모조리 학살하라는 명령을 내리기도 한다. 불로장생의 약을 찾겠다는 의지는 여기서도 그려지며 선계에 관한 내용을 듣고 바다의 신을 사냥하겠다며 군사를 끌고 나가는 등 불사에 관한 집착도 보여주는 편. 이처럼 초한 전기의 시황제는 원대한 비전과 현명함, 그리고 잔악함과 광기를 동시에 지닌 복합적인 인물이다.

결국 9화에서는 역사대로 순행길에 나서던 중 피를 토하며 죽고 마는데, 죽기 직전에 조고를 불러 장자인 부소를 함양으로 불러와 제위를 이으라고 유서를 작성한다. 유서 작성 후 갑작스레 자기 목을 조른다. 이를 보고 놀란 조고가 다가오자 갑자기 조고의 목을 조르려다가 숨을 거둔다. 아무래도 죽기 직전에 유서를 작성한 조고에게 의심이 들어 그를 죽이려고 했던 것 같다. 하지만 유서는 조고에게 설득당한 호해와, 그런 호해의 징징거림에 못 이긴 이사의 묵인하에 조작되고 한동안 살아있는 척 꾸며진 탓에 시체는 마차 안에서 썩는 모습을 보여주다가 퇴장한다.


5.5. 진시명월[편집]


2015년 드라마로 조연이라 비중이 적다.

단약중독으로 죽는다.


5.6. 진시려인명월심[편집]


2017년 드라마로 장빈빈이 시황제를 맡았다.

여불위의 친자이지만 직접 여불위를 죽였다.

사랑하는 여자에게는 굉장히 로맨틱한 편이다.


5.7. 심진기 [편집]


2018년 드라마로 2001년 드라마 심진기의 리메이크판.

아기 때 바꿔치기 당해서 다른 신분으로 자라났다. 진나라로 탈출할 때 양부모가 죽어서 흑화하게 된다.

2001년판에서는 가짜 영정이 진시황이 되다는 것이 차이점.


5.8. 호란전[편집]


2019년 드라마로 조희가 주인공이라 후반부터 등장한다.

도덕성이 낮고 잔인하며 화를 참지 못하는 편이다. 권력욕이 강해 여불위를 멀리한다. 반란을 일으킨 노애를 직접 죽였다.
[1] 마오쩌둥 문서 항목이 적어보이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중국의 드라마나 영화, 소설, 만화 등이 국내에 많이 안 알려진 탓이 크다. 중국 현대사 드라마 등을 보면 숱하게 나오는게 마오쩌둥, 그리고 장제스다.[2] 이 수치는 본작에서 사마의의 통솔 수치와 같다. 초나라의 항연을 말 그대로 개박살냈던 동시대 인물인 왕전조차도 통솔 94를 받고, 진나라의 맹공을 우주방어로 막아내던 조나라의 이목조차도 통솔 96을 책정 받을 때, 도대체 이 양반이 전장에서 한 게 뭐 있다고 통솔이 이렇게 책정된지는 불명. 원래 고대무장에게 부여되는 능력치 보너스에 첫 통일 황제였던 것까지 감안한 것 같다.[3] 이렇게 중국 공산당에 빌붙었다고 해서 당시 대만에서는 부비(附匪)라는 단어를 붙였다. 다만 유영은 1984년에 대만 국적의 첫번째 아내에게 가정폭력 문제로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나 상소하고 나서 바로 홍콩으로 가버린 점도 금지에 한 몫 했다.[4] 액면가 때문에 믿기 힘들겠지만 이 당시 12살이었다.[5] 머리에 쓴 면류관을 보면 제후시절 썼던 한 줄당 9개의 구슬이 달리고 앞뒤로 9줄이 달린 9류관과 달리 황제만이 쓸 수 있는 한 줄당 12개의 구슬이 달리고 앞뒤로 12줄이 달린 12류관을 쓰고 있다. 작중 복선이 있는데 어린 시황제가 소양왕의 꿈 속에 나와서 자신은 그것(소양왕이 쓴 면류관)보다 큰 관을 쓸 것이라고 말한다.[6] 본래 제목은 기존의 대진제국 시리즈처럼 대진제국지천하(大秦帝国之天下)였으나 사실상 광전총국의 만행으로 인해 대진부로 교체되었다.[7]삼국유비, 대군사 사마의조조를 맡았다. 조조 역의 진건빈의 스케쥴 문제로 대신 맡았다. 헌데 시황제의 주변인들인 이사, 조고, 호해의 배우가 삼국에서 각각 순욱, 원소, 조비를 맡았다는 점을 보면...[8] 이 모습을 유학자가 참다못해 그 자리에 분노에 찬 간언을 하기에 이른다. 또 고기도 직접 칼로 잘라 칼로 찍어먹는데, 시녀를 시키지 않는 것은 남들이 자기 앞에서 칼을 드는 일이 없도록 하는 연출로 시황제의 암살에 대한 경계심을 표현한 듯.



6. 기타[편집]


  • 동원참치 TV CF에서는 불로불사약을 찾다 참치의 영양소에 급 관심이 생겨 참치를 낚겠다고 바닷가에서 낚시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5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5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15:44:05에 나무위키 시황제/대중매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