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덕사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직할교구
제2교구
제3교구
제4교구
제5교구
조계사
용주사
신흥사
월정사
법주사
제6교구
제7교구
제8교구
제9교구
제10교구
마곡사
수덕사
직지사
동화사
은해사
제11교구
제12교구
제13교구
제14교구
제15교구
불국사
해인사
쌍계사
범어사
통도사
제16교구
제17교구
제18교구
제19교구
제20교구
고운사
금산사
백양사
화엄사
제21교구
제22교구
제23교구
제24교구
제25교구
송광사
대흥사
관음사
선운사
봉선사

군종특별교구 · 해외특별교구




파일:대한불교조계종 상징.svg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본사
덕숭총림 수덕사
修德寺 | Sudeok-sa

파일:수덕사로고.gif
파일:수덕사입구.jpg



종류
종교시설 / 관광지
주소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수덕사안길 79
개장
연중무휴
규모
295,377 ㎡
소유주
수덕사 (사유지)
연락처
041-330-7700
수덕사 공식 사이트

1. 개요
2. 역사
3. 가람 및 중요 문화재
3.2. 수덕사 3층석탑
4. 수덕사를 거쳐간 스님들
4.1. 역대 주지
4.2. 역대 방장
5. 여담


한자 : 修德寺 / 로마자 : Sudeoksa
홈페이지



1. 개요[편집]




수덕사 소개영상 (제작 : 대한불교조계종조계사)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덕숭산에 있는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7교구 본사이다.
충남 일대에 말사 약 50여 개를 두었고, 우리나라 7대총림(叢林) 중 덕숭총림(德崇叢林)으로 불교계에서 중요한 사찰이기도 하다.[1]

예산군에서 가장 큰 사찰이자 예산군을 상징하는 랜드마크라 봐도 무방하다.


2. 역사[편집]


절에 대해 딱히 남은 기록은 없어서 수덕사를 언제 누가 창건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대단히 유서 깊은 곳인 듯하다. 전해오는 바에 따르면 6세기 백제 위덕왕 때 건립되었다고 하는데, 이를 뒷받침하듯 경내에서 백제시대 와당들이 발견되기도 했다. 따라서 학계에서는 대체적으로 백제 후기에 창건되었으리라 추정한다.

이후 14세기 중엽 고려 공민왕나옹이 수덕사를 중수했다고도 전하는데, 이 역시도 딱히 정확한 기록은 남은 것이 없다. 다만 대웅전은 고려 충렬왕 34년(1308년)에 건립되었음이 확실하다.

조선시대에 들어서도 수덕사는 그럭저럭 잘 유지된 듯하다. 16세기에 편찬된 동국여지승람에도 수덕사 관련 기록이 나온다. 19세기 조선 말에 들어서자 사세가 약해졌지만, 고종 2년(1865년)에 만공이 중창하여 사세가 크게 일어섰고 이후로 선종 유일의 근본도량으로 남았다.

20세기에 들어서 일제강점기인 1911년에는 조선총독부가 내린 사찰령으로 마곡사의 말사로 들어갔다. 광복 이후 1962년 조계종 총회는 수덕사를 마곡사의 말사에서 제7교구 본사로 승격하고, 1984년 조계종 총회는 수덕사를 총림으로 승격하여 1984년 당시 우리나라 4대 총림 중 덕숭총림(德崇叢林)이 되었다.[2]


3. 가람 및 중요 문화재[편집]



파일:수덕사경내안내도.jpg

수덕사 경내 안내도

일반적인 산사의 가람배치처럼 수덕사도 대웅전을 중심으로 하고, 대웅전 양옆에는 스님들이 수도하는 승방인 백련당과 청련당이 있다. 이외에도 경내에는 명부전, 염화실 등의 건물이 있으며, 경외의 암자로는 만공이 참선도량으로 세운 정혜사(定慧寺)를 비롯해서 비구니 참선도량 견성암(見性庵), 금선대(金仙臺), 환희대(歡喜臺) 등이 있다.[3]

경내의 중요 문화재로는 저 유명한 대웅전을 비롯해서, 국가지정문화재로 보물 제1263호 수덕사 노사나불 괘불탱, 보물 제1381호 예산 수덕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이 있다.

수덕사의 시도지정문화재로는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03호인 수덕사삼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81호 수덕사칠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92호 수덕사유물(고려 공민왕 거문고),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84호 수덕사소장소조불상좌상이 있다.

또한 불교문화재로는 드물게도 등록문화재 제473호로 지정된 예산 수덕사 만공탑도 있다. 만공 스님을 기리는 승탑(부도)이다. 사리를 수습하지 말라는 만공의 유언을 따라서 사리가 봉안되어 있진 않다.

3.1. 예산 수덕사 대웅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예산 수덕사 대웅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 수덕사 3층석탑[편집]


수덕사 내부에 있는 화강암으로 만든 3층석탑이며, 2층 탑신이 약간 파손되어있다. 옥개와 탑신부는 각각1석으로 되어있다.


4. 수덕사를 거쳐간 스님들[편집]


수덕사와 인연이 있는 스님들을 다루는 장이다.


4.1. 역대 주지[편집]


파일:대한불교조계종 문장 가사색.svg
대한불교조계종 수덕사 주지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경선 (벽초)
경선 (벽초)
경선 (벽초)
진성 (원담)
진성 (원담)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경선 (벽초)
진성 (원담)
경선 (벽초)
혜우
혜우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설정 (송원)
설정 (송원)
설정 (송원)
설정 (송원)
우송 (달하)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법장 (인곡)
법장 (인곡)
법장 (인곡)
법정 (운경)
법광 (옹산)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지운
지운
정묵
도신


※ 괄호는 법호를 의미함.



  • 벽초 경선(碧超 鏡禪, 1899 ~ 1986) - 초대, 2대, 3대, 6대, 8대 주지 역임
  • 원담 진성(圓潭 眞性, 1926 ~ 2008) - 4대, 5대, 7대 주지 역임
  • 혜우(慧雨, 1938 ~ )
  • 설정 송원(雪靖 松原, 1941 ~ ) - 11대, 12대, 13대, 14대 주지 역임
  • 법성 우송(法城 愚松, 1943 ~ ) - 15대 주지 역임
  • 인곡 법장(仁谷 法長, ~ 2005) - 16대, 17대, 18대 주지 역임
  • 운경 법정(1944 ~ ) - 제19대 주지(2003 ~ 2007) 역임
  • 옹산 법광(1945 ~ ) - 제20대 주지(2007 ~ 2011) 역임
  • 지운(1956 ~ ) - 제21대 주지(2011~2015.3)역임
  • 정묵 - 22대, 23대 주지 역임
  • 도신 - 24대 주지


4.2. 역대 방장[편집]


파일:대한불교조계종 문장 가사색.svg
대한불교조계종 수덕사 방장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현문 (혜암)
경선 (벽초)
진성 (원담)
설정 (송원)
우송 (달하)


※ 괄호는 법호를 의미함.



  • 혜암 현문 (惠庵 玄門, 1884 ~ 1985) - 초대 방장 역임
  • 벽초 경선 (碧超 鏡禪, 1899 ~ 1986) - 2대 방장 역임
  • 원담 진성 (圓潭 眞性, 1926 ~ 2008) - 3대 방장 역임
  • 송원 설정 (松原 雪靖, 1941 ~ ) - 4대 방장 역임
  • 달하 우송 (達河 愚松) - 5대 방장


5. 여담[편집]


수덕사 불상 내에서 희귀 불경들이 발견되었다.#

수덕사를 배경으로 한 송춘희의 노래 '수덕사의 여승'이 있다. 가사는 수덕사에 있는 비구니가 속세에 두고 온 애인을 잊으려 법당에서 기도하며 눈물을 흘린다는 내용.

수덕사의 다비식 역시 매우 유명하다. 보통 하루 꼬박 걸리는 타 절의 다비식과 달릴 수덕사의 다비식은 4~5시간 정도로 매우 간결하다. 다비식에 쓰이는 장작 역시 수덕사 인근 산에서 직접 조달하며 신분을 높낮이를 가리지 않고 모든 스님에게 열려있다. 수덕사 다비식의 또다른 특징으로 특수한 이유가 있지 않는 이상 사리를 찾지 않는 것이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9:20:55에 나무위키 수덕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총림은 승려들의 참선수행을 위한 선원(禪院), 경전 교육을 위한 강원(講院), 계율 교육을 위한 율원(律院) 등을 모두 갖춘 사찰을 가리킨다. 현재 조계종에는 7개의 총림이 지정되어 있으며 수덕사를 제외한 나머지에는 해인총림 해인사, 영축총림 통도사, 조계총림 송광사, 팔공총림 동화사, 금정총림 범어사, 쌍계총림 쌍계사가 있다. 고불총림 백양사는 8대총림에서 지정해제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2] 1984년 당시라고 한 것은 1996년 전남 백양사가 총림으로 승격되어 1996년부터 2019년 11월까지는 5대 총림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2019년 11월 이후로 백양사는 총림에서 빠져 다시 4대 총림이 되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백양사 항목 참조.[3] 20세기 초중반의 여성 작가로 이름을 알린 비구니 김일엽이 견성암과 환희대 등에서 기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