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터 후앙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감독
[[토마스 슬로트킨|토마스 슬로트킨

Thinkcard
]]
코치
[[크리스 선|크리스 선

Croissant
]]|[[아폴로 프라이스|아폴로 프라이스S

Apollo
]]|[[폴 부아예|폴 부아예

sOAZ
]]|브랜던 데피나

Juves
|[[에런 블랜드|에런 블랜드

Chuz
]]
분석
톰 라흐만

1onz
|안드레 페레이라

Gunaso

로스터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니십 도시|니십 도시

Dhokla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미국 국기.svg [[후안 가르시아|후안 가르시아

Contractz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crwn.png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티안 팔라폭스|크리스티안 팔라폭스

Palafox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호주 국기.svg [[빅터 후앙|빅터 후앙

FBI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최재현(프로게이머)|최재현

huhi
]]
S : 후보 선수 겸임
LCS 참가팀 로스터




빅터 후앙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NRG_FBI_2023_Split_2.png

NRG
FBI

이안 빅터 후앙 (Ian Victor Huang)
출생
1999년 2월 11일 (25세)
국적
[[호주|

호주
display: none; display: 호주"
행정구
]]

ID
ADCADC123 #
xqwasdzxcfre[KR] #
포지션
바텀
소속
[ 펼치기 · 접기 ]
Sin Gaming
(2017.02.17 ~ 2017.12.14)
ORDER
(2017.12.14 ~ 2018.11.22)
Bombers
(2018.12.05 ~ 2019.05.28)
GG Academy
(2019.05.28 ~ 2019.11.20)
Golden Guardians
(2019.11.20 ~ 2020.11.16)
100 Thieves
(2020.11.16 ~ 2022.11.23)

Evil Geniuses
(2022.11.24 ~ 2023.04.30)
NRG
(2023.05.26 ~ 2023.11.21예정)


1. 개요
2. 수상 경력
3. 플레이 스타일
4. 선수 경력
5. 여담



1. 개요[편집]


호주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CSNRG 소속 바텀 라이너.


2. 수상 경력[편집]


우승 기록
OPL 2019 Split 1 우승
Dire Wolves

Bombers

MAMMOTH
Riot League Championship Series Championship 2021 우승
Cloud9

100 Thieves

Evil Geniuses
Riot League Championship Series Championship 2023 우승
Cloud9

NRG

미정
준우승 기록
Riot League Championship Series Spring 2022 준우승
Riot League Championship Series Championship 2022 준우승

Team Liquid

100 Thieves

Golden Guardians
수상 기록
Riot League Championship Series Championship 2023 Finals MVP
이브라힘 알라미
(Cloud9)

빅터 후앙
(NRG)


미정


3. 플레이 스타일[편집]


2017년부터 2022 서머 정규시즌까지 흔들림 없던 강력한 메카닉이 가장 큰 장점이던 원딜러. 다만 다섯 살 많은 터키 레전드 자이트낫과 마찬가지로, 데뷔 초부터 하드캐리 역할을 수행하던 원딜러라고 보기는 살짝 애매한 대기만성형 원딜러이다. 신인 시절인 Sin Gaming 시절만 해도 팀의 에이스는 후에 같은 북미에 와서 반 시즌 반짝하고 망하게 되는 료마였고, FBI는 압도적인 메카닉으로 그 료마가 날뛸 수 있도록 편안히 받쳐주는 조연 느낌이 강한 안정적인 원딜러였다. 그러나 점차 한국 솔랭에서 높은 잠재력을 보여주며 오히려 FBI가 세계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하더니, 본인의 터닝 포인트인 2019 MSI의 Bombers에서 폭발적인 캐리력으로 마이너 최강 퐁 부 버팔로를 꺾으며 기세를 타기 시작했다. 연이어 3대 라체원 와란젤루스까지 격파하면서 2승 과정에서 MVP를 독식, 팀의 중심이 료마에서 본인으로 이동했음을 증명해 보였다.

MSI의 기대치로 북미로 넘어온 초기에도 리그 수준은 올랐는데 마땅한 파트너를 만나지 못하고 팀 전력도 좋지 못해 헤메는 감이 컸다. 대표적인 것이 2020 서머의 더블리프트 검거 후 하운처와 합작한 석방 사건. 그래도 파트너 후히의 성장에 비례해 FBI도 점점 강해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2021년 골든 가디언스의 긴축 정책 덕분에 100T로 이적하고 서머에 명장 래퍼드를 만나면서 FBI의 폼과 커리어가 최고점을 찍게 된다. 강한 라인전을 바탕으로 계속 우상향하는 캐리력이 일품.

FBI 최고의 순간인 2021년 롤드컵 기준으로 보면 애매한 다음 해에는 애매하지 않고 확실한 폐급 미드였던 아베다게를 달고서도 세체원 바이퍼에게 한 번 판정승을 거두었을 정도로 확실한 체급과 캐리력을 갖춘 원딜러였다. 폭발력과 생존력에 약간의 기복이 있다는 점이 월드 클래스 원딜러 중에서는 아쉽지만, 이전에 마이너 지역의 최고 원딜러였던 화이트로터스나 자이트낫을 확실히 넘어섰다고 볼 수 있을 정도로 큰 업적을 남겼다.

특히 2022 북미가 롤드컵에서 완전히 망하면서 유럽에서 넘어와 무려 4년만에 북미팀의 롤드컵 8강 진출을 견인했던 21년 퍽즈와 더불어 죽음의 조에서 3승 3패를 기록했을 당시 주역이었던 FBI도 재평가를 받고 있지만[1], 22년의 FBI는 그 망한 2022 북미의 일원이라는 사실이 아쉬울 뿐이다.

4. 선수 경력[편집]


2017년 Sin Gaming에서 데뷔한 원딜러. 호주의 와일드터틀 Raydere의 은퇴 이후 OPL에서 가장 강력한 메카닉을 가진 원딜러이다. Sin Gaming에서는 에이스인 료마가 공격적인 플레이를 하면 이를 안정적으로 뒷받침하며 마무리하는 역할을 맡아 2017 RR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준 경험이 있다. 2018년에는 ORDER에서 자체 캐리력이 낮은 Swiffer 대신 하드캐리형 원딜을 픽해 활약하는 똥꼬쇼를 하는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기도.

다만 강력한 메카닉에 비해 강팀을 상대로 그렇게까지 게임을 하드캐리할 수 있는 원딜러인지는 의문점도 있다. MVP 파일럿의 하위호환이자, 북미의 아폴로와 비슷한 부족하지는 않지만 탁월하지도 않은 한타 센스를 지닌 원딜러이기 때문. 이는 북미로 간 로스트가 메카닉은 좀 평범한 느낌이지만 한타에서 무서운 집중력을 보여주는 것과 다소 대조된다. 파트너인 Rogue가 썩 뛰어난 서포터까지는 아닌 면모도 그의 장점을 약간 반감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Raes와 K1ng 등이 국제전에서 매번 무너지던 것에 비하면, 상체가 뛰어난 활약을 해주면 이를 충분히 뒷받침할 수 있는 원딜러로 보인다. 실제 결승전 3세트 친정팀인 ORDER가 집중견제로 에이스인 료마를 말리는데 성공하였지만, FBI의 칼리스타가 하드캐리를 하면서 Bombers가 셧아웃으로 우승을 달성하였다.

그리고 MSI에서 팀 2승의 주역이 되었는데, 확실히 팀의 보장된 후반 보험이라고 볼 수 있다. 카이팅 성능이 뛰어난 원딜챔프로 한타에서 캐리 능력을 증명했는데 확실히 18년에 Swiffer에 고통받는 과정에서 17년보다 더 성장했다 평할 만하다. 그래서 결승전 자신에게 고통주던 친정팀을 개박살낸 것이었군!

이후 김동준 해설의 "안 믿으셨겠지만 FBI는 잘하는 원딜"이라는 평가에 걸맞게 가능성을 인정받았는지 북미로 넘어왔다.

2019 서머는 비자 문제가 발생한 후히와의 호흡 문제와 본인의 원래 부족했던 한타 결정력이 맞물리면서 애매한 평을 받았다.

이러한 애매한 평은 쓰로잉 대마왕 키이스와 호흡을 맞춘 2020 스프링 초반에도 그대로였으나, 클로저라는 컨트랙츠를 상회하는 기량의 플레이메이커가 생긴 2020 시즌 계속해서 폼이 상승하면서 현재는 즈벤 코비 뱅에 묻힌 북미 원딜계의 숨은 강자라고 볼 수 있다.[2] 지표도르 수상자인 것에 비해 안정적인 코비, 뱅보다도 결정력이 부족한 선수로 평가받긴 했지만, 바프/제이잘이 아닌 키스를 달고 저 지표도르를 찍는 것 자체가 맥스 달고 분전하던 18파일럿 이상으로 존중받을 가치가 있는데다 중반 들어 FBI의 캐리력은 확실히 파일럿, 북미의 아폴로보다는 높은 급에 달하고 있다.

결국 뚜벅이 바루스와 아펠리오스로 마지막 주차 신나게 딜을 박아넣으면서 3연승, 클로저, 골든글루와 함께 팀을 6위 막차에 태웠다. 자신의 OPL 시절 라이벌인 로스트가 워낙 한타를 잘하지만 용병이라는 페널티를 가지고 기용되기에는[3] 애매한 라인전이 끝까지 발목을 잡은 것과 달리, FBI는 키이쓰/후히 데리고도 강력한 라인전에 더해 한타능력이 호주 시절부터 계속 성장하면서 당당히 용병으로 LCS 주전 자리를 차지하였다.

2020 서머는 갈수록 캐리력을 개안하면서 평가가 더 올라갔다. 뱅과 덥맆은 다시 망하고 코비는 유럽으로 리턴한 시점, 즈벤 그리고 택티컬과 함께 북미 3대원딜이라 불릴 수 있다. 실제 클로저와 함께 북미 서드팀에 들어갔고, 서폿빨과 팀빨이 위의 2명에 비해 정말 부실한 것을 감안하면 더욱 고평가하는 여론도 존재한다. 같은 OPL 출신인 션파이어, 데스티니가 주전에서 밀리고 료마도 부진에 빠진 시점, 홀로 OPL의 자존심이라 볼 수 있는 맹활약을 펼치고 있다.

택티컬이 소포모어 징크스를 겪는 2021 스프링 시즌에는 롤계의 천룡인 북미 로컬 자격을 획득하고 즈벤과 택티컬을 능가하는 북체원의 자리를 확고히 하고 있다. 종종 공격적으로 플레이하다 범하는 뇌절은 아쉽지만, 변방 리그 출신이라는 것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그에 상응하는 강력한 라인전과 한타 파괴력을 지닌 선수이다. 전성기 즈벤보다는 못해도 올해 즈벤보다는 잘하는 것 같다는 이야기가 농담만은 아니다. 그리고 결과는 LCS All-Pro 세컨팀. 즈벤과의 격차가 5포지션 중 가장 적었고, 즈벤은 1위팀 FBI는 4위팀 소속인 것을 보면 지난 20 서머보다도 더 위상이 올라갔음을 확인할 수 있는 시즌이었다.

2021 서머 시즌은 기어코 즈벤의 부진에 힘입어 올프로 퍼스트팀 수상에 성공했다. 퍼지와 함께 플레이-인 리그 출신으로는 최초일듯. 다만 EG의 대니가 맹추격 중이고 팀의 페이스가 정규시즌 막판 떨어졌다 보니, 롤드컵 진출에 사활을 걸어야 한다.

그리고 팀의 롤드컵 그룹스테이지 직행을 이끌며 새로운 북체원의 클래스를 증명했다. 다만 역대급 하드캐리를 보여준 대니나 뜬금없이 포스트시즌에서 열심히 레고 삼킨 값을 드디어 해내는 택티컬에 비하면, FBI의 소위 딜각 보는 능력이나 외줄타기 딜링은 오히려 좀 떨어지지 않나 하는 평가가 많다. 기본적으로는 월드클래스에 상당히 근접한 원딜러지만, 롤드컵 메타가 불확실하다 보니 이러한 약점이 팀의 전반적으로 강하지 않은 체급과 맞물려 어떻게 작용할지는 상당히 미지수.

롤드컵 1주차를 보면 FBI는 상당히 클래스를 보여주고 있으나, B조의 한국인 원딜러들이 너무 강한데다 무엇보다 아베다게가 우려대로 한국인 미드의 기량 반절도 따라가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고통받고 있다.이게 다 도둑놈 팀에 경찰이 들어갔기 때문이다

하지만 조별 최종전인 EDG전, 중체원을 넘어 세체원을 넘보는 자리까지 올라온 바이퍼의 면전에서 루시안 - 나미의 위력을 제대로 보여주며 라인전을 이기더니 한타 때도 뛰어난 딜링 능력을 뽐내며 팀의 업셋에 이바지하였다. 유종의 미를 제대로 거두었다는 평. 그리고 바이퍼가 이견 없는 세체원에 등극하며 FBI의 평가도 더욱 높아졌다. 승자 결승에서 잠시 자신을 한타력으로 압도했던 택티컬이[4] 최종 결승과 롤드컵에서의 치명적인 부진으로 소포모어 징크스에서 결국 헤어나오지 못한 반면, FBI는 Bombers 당시부터 한국 솔랭을 평정하던 최상급 메카닉을 바탕으로 이제서야 래퍼드가 인정한 S급 원딜러가 되었다는 평가다. TL의 8강 탈락 사유로는 거의 택티컬이 지목되는 반면, 100T 쪽은 대진운과 아베다게가 많이 언급되는 편이다. 아베다게를 제외한 3인도 노쇠화나 경험 부족 등으로 EDG, T1과 대등했다고 보기는 어려운 반면, FBI는 확실한 팀의 에이스였다.

2022년 스프링과 서머에는 기복은 조금 있어도 든든한 모습을 보여주며 팀의 2연 준우승에 기여하였다. 하지만 서머 챔피언십 플레이오프에서부터 눈에 띄게 폼이 저하된 것은 우려스러운 부분.

결국 사전 우려대로 롤드컵 그룹 스테이지에서는 대체로 부진한 모습만 보이며 팀과 함께 침몰했다. 아베다게와 후히가 일년 내내 지지부진했어도 팀이 2연 준우승에 롤드컵 본선을 확정지은 것은 어디까지나 클로저-썸데이-FBI 삼각편대의 위력과 이를 바탕으로 우승팀을 제외한 나머지 북미 팀보다는 나은 경기력을 낼 수 있는 판을 짜는 래퍼드 감독의 위력이었는데, 그 삼각편대의 한 축이던 FBI가 무너지자 하체가 완전히 붕괴하는 것은 우연이 아닌 필연이었다. 99년생이라는 많지도 적지도 않은 나이다 보니 아베다게와 후히를 갈아치웠을 때 부활할 수 있을지는 매우 미묘하다.

다행히도 2023 스프링에는 작년의 부진은 미드에 살고 있던 금수 때문이라고 외치기라도 하는 것처럼(...) 상당히 준수한 기량을 회복했다. 옆에 붙은 파트너가 북미 기준으로는 퍼스트급 서포터인 벌컨이라는 점도 한몫했을 것으로 보이나 FBI 본인의 안정성도 상당히 돌아왔다.

그러나 라인전에서 듀오킬은 심심치 않게 뽑아내지만 정작 원딜의 임무인 한타 캐리를 전혀 하지 못했고 조조편을 비롯한 다른 팀원들의 부진까지 겹치며 팀은 2라운드를 말아먹었다.

결국 플레이오프에서도 GG에게 0:3으로 관광당하면서 광탈하였고, 4월 말에 계약 종료로 조기에 팀을 나오게 되었다.

그 이후 새로 리뉴얼된 NRG Esports에 입단할 것이라는 썰이 나왔다. 마침내 5월 26일, NRG의 공식 SNS를 통해 입단 소식이 공지되었다. 새로운 파트너로 베테랑 이그나를 맞이한 것은 덤.

이적 후 첫 주차 때는 최악의 모습을 보여주며 팀의 연패를 이끌었다. 특히 IMT전에서 다 잡은 경기를 놓친 쓰로잉은 팬들의 악평을 받기에 충분했다. 그러나 2주차부터는 어느 정도 정신을 차려서 팀의 연승에 조력하였다.

5. 여담[편집]


  • 굉장한 닉네임 덕분에 많은 밈을 몰고 다닌다. 2019 MSI 당시에도 한국 해설진이 검거 드립을 열심히 쳤으며 베트콩남미 마피아를 검거하는 정의의 FBI 북미로 넘어간 뒤에는 레딧과 트위치에서 FBI 오픈 업 밈의 희생양이 되고 있다. 케이틀린만 픽하면 뜨거운 반응은 덤. 오죽하면 더블리프트도 팀원인 임팩트가 이걸로 노잼드립을 너무 친다며 GGS와 그만 스크림하고 싶다고 농을 칠 정도. 그리고 TSM으로 이적해서 삼대떡으로 검거당했다 여담이지만 이 닉네임은 우리가 아는 그 FBI에서 따온 게 아니고 호주 시절 자주 가던 PC방 이름[5]에서 따왔다고 한다.출처 유래야 어쨌건 원딜러에게 딱 어울리는 아이코닉한 닉네임이라 앞으로도 닉네임과 관련된 밈은 평생 따라다닐 듯.

  • LCS 최초의 호주인 선수이다. 이전에 OPL 출신으로 한국계 뉴질랜드인 Keane과 그냥 뉴질랜드인 로스트, 역수입 망한 탑솔러 도클라 등이 있었으나 정작 호주인은 19 서머의 FBI가 처음이었다. 이후 그의 영혼의 파트너였던 료마도 넘어오면서 OPL이 LCS의 위성리그가 되어가고 있다.

  • 롤드컵 때 개인화면을 보면 GSS의 탑 크레이지 처럼 굉장히 정신없는걸 볼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1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1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22:39:40에 나무위키 빅터 후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KR]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 한국 서버 슈퍼계정[1] 만약 100이 C조나 D조에 들어갔다면 8강 진출도 가능했을 것이라는 평이 나올 정도였다.[2] 레딧에서도 GGS가 기적같은 6위 턱걸이에 성공하자 당연히 에이스인 클로저와 로컬인 골든글루에 포커스가 먼저 갔지만, FBI가 저평가의 아이콘이라는 이야기가 상당히 많이 나오고 있다.[3] 로스트가 이견 없는 스니키/알텍의 상위호환이자 젊은 애로우라는 점에서 로컬 원딜러였으면 무조건 주전 한 자리 먹었을 것이다.[4] 다만 이 당시에도 택티컬과 FBI의 딜링 차이보다는 두 팀의 한타 합 차이가 많이 난다는 아쉬운 여론이 컸다. 그야 택티컬이 1년간 레고를 좀 삼켰어야 말이지[5] Fast-Best Inter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