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영운수(서울)

덤프버전 : (♥ 0)



파일:금천구 CI.svg 서울특별시 금천구 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시내버스범일운수보영운수[a]신인운수
마을버스경성운수금천운수대상운수
범일운수이삭운수우리마을버스
없어진 버스 회사
시내버스남부운수시흥교통아시아상운흥기운수
[a] 주사무소를 경기도에 둔 회사. 경기도 안양시 면허 시내버스 회사인 보영운수와는 별개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보영운수 주식회사
寶榮運輸 株式會社
Boyeong Transport Corp.
설립일1970년 10월 2일
업종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서경찬
주요 주주조수영: 12.37%
류진연: 9.28%
(2022년 12월 31일 기준)
기업구분중소기업
상장여부비상장기업
직원 수220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12억 6,100만원(2022년 기준)
매출액204억 1,282만 7,601원(2022년 기준)
영업이익1,031만 2,796원(2022년 기준)
순이익8,362만 262원(2022년 기준)
자산총액81억 663만 5,275원(2022년 기준)
부채총액48억 7,775만 1,940원(2022년 기준)
부채비율151.07%(2022년 기준)
소재지본사 - 경기도 광명시 범안로 966 (하안동, 광명공영차고지)
면허등록지 -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56길 76 (가산동)[1]

1. 개요
2. 운행 노선
3. 면허 체계
3.1. 타 회사 출신 면허
4. 보유차량
5. 갤러리
6. 지배구조
7. 여담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광명시에 연고를 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업체로, 옆동네 안양시의 동명 버스회사인 보영운수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2] 지금은 광명시 하안동에 있는 광명공영차고지에 위치하고 있다. 원래의 차고지는 광명실내체육관[3] 옆 광명 자동차등록사업소 자리이며, 차량등록사업소 건물은 보영운수 사옥을 리모델링한 건물이다. 더 옛날에는 철산4단지 위치에 차고지가 있었다고 한다. 1980년대에 하안동으로 들어오기 전에는 구로동에 본사가 있었다.

1970년 영등포합승자동차(훗날 영일교통, 현 보성운수)에서 구로동영업소를 분리독립하여 설립했다.

참고로 이 회사의 115번은 1979년 철산리에 처음으로 들어온 시내버스였다.[4]

면허등록지는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56길 76(가산동 29-6)의 한남여객운수 가산동영업소(구 흥기운수 차고지)로 되어 있다.

전국 최후의 구형 BS106 로얄시티를 5714번에서 정규차량으로 굴렸던 회사로, 마지막까지 굴렸던 3대의 차량들은 2019년 8월 29일~31일 사이에 전부 대차작업에 들어가 9월 2일에 신차로 대차가 완료되어 노선에 투입되었다. 대차 차종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개선형 초저상버스.

또한 서울에서 수평와이퍼 옵션의 BS110CN F/L을 마지막까지 운용했다. 2019년 8월 1일에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초저상버스 개선형 차량으로 대차하여 투입했다.[5]

승차문 맨 위와 운전석 맨 위에 차량번호를 표기를 한다.단,다른 회사들과는 달리 이 회사는 표기방식을 스티거로 붙이는 것이 아니라 독자적인 방식인 검정색으로 표기를 한다.간선버스도 마찬가지인데 일부차량은 하얀색으로도 표기하는 차량도 있다.

2023년 12월 4일부터 현금승차 폐지 일부노선운영 업체로 선정되었다. 그래서 2023년 12월 4일부터 이 회사에서 운영하는 8552은 교통카드가 있어야 승차 가능하며, 교통카드가 없으면 승차할 수 없다.


2. 운행 노선[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
503광명공영차고지하안사거리 - 광명종합운동장 - 광명경찰서 - 금천패션아울렛사거리 - 구로시장 - 구로역 - 영등포역 - 여의도역 - 샛강역 - 원효로2.3가 - 남영역 → 청파동 → 서울역서부 → 서울역버스환승센터숙대입구역남영역서울역11~18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
5630광명공영차고지(← 밤일마을 ←) - 하안사거리 - 독산주공14단지 - 금천우체국 - 디지털단지오거리 - 구로시장 - 구로역 - 갈산초등학교 - (← 양천구청 ← 목동9~12단지 ←) - 서울남부지법 → 목동역 → 신서고등학교 → 서울남부지법목동역12~18
5634하안119안전센터 - 금천우체국 - 구로지털단지역 - 대림동우체국 - 대림동우성아파트 - 신풍역 - 보라매역 - 공군호텔 - 샛강역- 여의도성모병원 - 여의나루역 → 순복음교회 → 여의나루역여의도10~17
5714하안사거리 - 광명종합운동장 - 광명경찰서 - 금천패션아울렛사거리 - 구로시장 - 구로역 - 경방타임스퀘어 - 신화병원 - 당산역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신촌오거리 → 이대입구 → 대흥역서강대학교 → 신촌오거리이대입구5~11
8552[맞춤1]신림복지관우림시장 → 난곡우체국사거리 → 호림박물관신림역9~11
8561[맞춤2]신림동별빛거리롯데백화점관악점 - 신대방삼거리 - 서울지방병무청 - 샛강역.여의도자이 - 여의도역여의도환승센터10~15


3. 면허 체계[편집]


  • 서울 71 사 1423 ~ 1426
    • 금천구 소재 시내버스 증차 면허. 모두 5714번에 있다.
  • 서울 74 사 2892 ~ 2950
    • 보영운수 주 면허.
  • 서울 75 사 1271 ~ 1275호, 2301 ~ 2310호, 2785 ~ 2789
    • 보영운수 증차 면허. 2785 ~ 2789호는 구.718번 좌석 증차분이다.


3.1. 타 회사 출신 면허[편집]


  • 서울 74 사 1923, 1925, 1927, 1968, 1971 ~ 1974호
    • 남성버스 면허. 구.36번의 단축 과정에서 넘어왔다.
  • 서울 74 사 2507 ~ 2508, 2514, 2520, 2550호
    • 구.범양여객 면허. 구.146번의 단축 과정에서 넘어왔다.

4. 보유차량[편집]



4.1. 현재 보유차량[편집]



4.1.1. 현대자동차[편집]



4.1.2. 자일대우버스[편집]




4.2. 과거 보유차량[편집]



4.2.1. 현대자동차[편집]



4.2.2. 자일대우버스[편집]



4.2.3. 기아[편집]




5. 갤러리[편집]


파일:503_2305.png파일:보영5714번_뉴비저상.png
간선버스지선버스


6. 지배구조[편집]


2022년 12월 기준
주주명지분율비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수영12.3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류진연9.28%[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진욱8.2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진수5.98%사내이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재익5.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류기홍5.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류기문5.15%
기타48.67%21인


7. 여담[편집]


  • 기본적으로 버스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기사 명패 외에도 버스 기사 운전석 뒤편에 A4 종이 크기로 운전기사의 사진과 이름, 간단한 인사가 적힌(반갑습니다, 아무개입니다.) 종이를 인쇄해 배치한 실명제를 실시하기도 했다. 하지만 2012년 이후로는 폐지되었다.


  • 에어컨은 두원공조, 자동변속기는 ZF를 사용한다.


  • 5634번을 제외한 모든 노선이 디지털단지오거리~구로역 구간이 겹친다. 그래서 배차간격이 안 좋은 편인 503번이나 5630번5714번에 팀킬 당하는 것에 모자라 6613번을 제외한 모든 구로동로를 다니는 노선에 밀린다.


8. 둘러보기[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강남구도선여객정평운수
강동구서울승합
강북구동아운수선일교통삼양교통
영신여객한성운수
강서구공항버스김포교통영인운수
정평운수다모아자동차
관악구관악교통보성운수한남여객운수
광진구신흥운수
구로구군포교통보성운수서울매일버스
태진운수
금천구범일운수보영운수신인운수
노원구삼화상운진아교통태릉교통
한성여객흥안운수
도봉구서울교통네트웍아진교통
마포구다모아자동차유성운수
서대문구서부운수신촌교통원버스
현대교통
서초구대흥교통삼성여객우신운수
우신버스
성동구태진운수대원교통대원여객
성북구대진여객도원교통동성교통
상진운수성원여객
송파구남성버스동성교통대성운수
서울버스송파상운진화운수
한국brt한서교통
양천구관악교통도원교통세풍운수
신길교통양천운수중부운수
은평구보광교통신수교통선진운수
원버스유성운수제일여객
종로구동해운수
중랑구경성여객대원교통메트로버스
보광운수북부운수
시내버스 업체가 없는 자치구의 버스 회사 목록
동대문구동작구영등포구용산구
서울특별시 관외에 영업소를 둔 시내버스 회사
광명시범일운수보영운수세풍운수
한성운수
고양시동해운수서울매일버스선진운수
신촌교통제일여객신수교통
부천시신길교통
안양시서울매일버스
군포시·의왕시군포교통대원여객우신버스
성남시남성버스동성교통
의정부시·양주시대원여객제일여객
파주시신수교통제일여객






[1] 상법상 본점[2] 이쪽은 삼영운수 창업주의 아들(現 삼영운수 대표 신보영) 이름에서 따 왔으며 寶永運輸로 한자도 다르다.[3] 현재는 광명시민체육관으로 이름이 바뀐 상태다.[4] 이 당시 화영운수는 시내버스 회사가 아니었고 철산리에는 노선도 없었다. 상신교통 30번 종점이 철산리라면 철산리이긴 했다.[5] 2008년 2월 22일에 등록, 2019년 8월 1일에 대차되었다.[맞춤1] 맞춤버스. 보성운수와 공동배차.[맞춤2] 맞춤버스. 군포교통, 한성운수와 공동배차.[6] 일부차량은 1998년 7월에 폐선된 승원여객 좌석 63-1번 출신과 2001년에 폐선된 삼성여객 좌석 46번 출신이다.[7] 전 대표이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보영운수 문서의 r16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보영운수 문서의 r16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6 14:47:16에 나무위키 보영운수(서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