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동군

덤프버전 :



벽동군 (평안북도)




/ Pyŏktong County

벽동군
碧潼郡 / Pyŏktong County
국가
북한
광복 당시 면적
1,217㎢
광역시도
평안북도
광복 당시 행정구역
7면
시간대
UTC+9




1. 개요
2. 역사
3. 지리
4. 기후
5. 교통
6. 산업
7. 문화재
8. 기타
9.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1. 개요[편집]


벽동군(碧潼郡)은 평안북도의 군이다. 압록강 수풍호를 건너 중국과 마주보는 국경지역이다. 북한 행정구역상으로는 평안북도의 최북단에 위치한다.


2. 역사[편집]


발해 멸망 이후 오랫동안 여진족의 영토로 있었으나 고려 공민왕 때 수복되어 1356년 벽단(碧團)과 음동(陰潼), 두 고을을 두었고 조선 태종 시기인 1403년에 두 고을이 통합돼 벽동군이 되었다.

광복 후 38선이 그어지면서 북한의 땅이 되었다. 광복 당시 7개 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1952년 북한 행정구역 개편 때 벽동군의 동부에 해당하는 우시면, 오북면, 가별면과 벽동면의 9개 리를 분리하여 우시군을 신설하였고 우시군은 1954년에 자강도로 넘겼다.

1953년에 벽동읍을 동주리로 고치고 송일리(광복 당시 송서면 지역)로 새로운 벽동읍을 만들었다.


3. 지리[편집]


압록강 수풍호를 통해 중국과 마주보고 있는 국경 지역이다. 산지가 85% 이상을 차지하고 삼림이 우거져 있다. 그러나 해발고도 800m 이상인 지역은 약 8%에 불과하며 대부분 지역이 해발고도 200~800m이다. 북부 수풍호 연안을 제외한 외곽지역은 피난덕산맥을 비롯한 산맥들로 둘러싸여 있다. 피난덕산맥은 서쪽 창성군과 경계를 이루면서 남동에서 북서 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 산맥에 비래봉(1,470m) 등 높이 1,000m 이상의 높은 산들이 솟아 있다. 동쪽 우시군과의 사이에는 높이 700~800m 정도의 산들로 이루어진 산맥이 남동에서 북서 방향으로 뻗어 있다. 남쪽 동창군과 사이에는 이 지역 최고봉으로 알려진 단풍덕산(1,159m)이 솟아 있다. 산지가 많아 넓은 평야는 없으며 다만 동천을 비롯한 하천들 연안에 좁은 충적지가 분포한다.

하천들은 모두 압록강 수계에 속한다. 5㎞ 이상인 하천은 12개이며 그중 큰 하천은 압록강과 그 지류인 동천·남천·송계천 등이다. 중국과 경계를 따라 흐르는 압록강의 길이는 군 안에서 31.6㎞이며 동창군 대암산에서 시작하여 군의 동부을 지나 영풍리에서 수풍호로 유입되는 동천의 길이는 군 안에서 34.7㎞이다. 또 남쪽 단풍덕산에서 발원하여 수풍호로 유입되는 남천은 28.7㎞, 서부 비래봉에서 발원하여 벽동읍에서 수풍호로 유입되는 송계천의 총 길이는 18.5㎞이다.

기반암은 연화산암군의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하자원으로는 , 아연, 형석, 석회석 등이 매장되어 있다. 토양은 대부분의 지역에 갈색산림토, 하천 연안에 충적지토양과 논토양이 반점상으로 분포한다. 산림은 군 면적의 80% 이상을 차지하며 숲이 울창하고 산림자원이 풍부한 군이다. 대부분의 산림은 해발고도 200m 이상의 지역에 분포한다. 비래봉과 그 주변은 군 내 다른 지역보다 잣나무와 삼송류를 비롯한 경제적 가치가 높은 나무들이 많다. 특히 이 지역에는 산과일, 산나물, 약초, 송이버섯 등의 임산물도 풍부하다. 또한 산에는 산토끼, 여우, 너구리, 오소리, 노루, 멧돼지 등의 짐승들도 서식한다.


4. 기후[편집]


기후는 냉대기후에 속하며 겨울이 길고 추운 편이다. 최한월인 1월의 평균기온은 무려 -12.5℃이다. 허나 위도는 생각보다 낮은 편인데 벽동군의 위도는 북위 40°34'34"로 그리스테살로니키보다 약간 더 낮은 정도다.[1] 그러나 테살로니키의 1월 평균기온은 부산광역시보다 더 높다. 벽동군이 위도에 비해 매우 추운 이유는 지대가 높고 바다와 멀리 떨어진데다 시베리아에서 불어오는 북서풍을 직접적으로 받기 때문이다.

최난월인 8월의 평균기온은 23℃로 생각보다 높은 편이며 연 평균강수량은 1,017mm로 북한 내에서는 다우지에 속하는 편이다. 물론 남한에 비하면 강수량이 적은 편이다. 연 평균기온은 7.1℃이다. 첫 서리는 수풍호 연안에서 10월 중순에, 마지막 서리는 4월 말에 내린다.


5. 교통[편집]


도로는 10번 국도가 있다. 철도는 없다. 수풍호를 이용한 수상교통도 활발하다.


6. 산업[편집]


농업은 기후관계상 농사를 주로 한다. 이 곳의 는 크고 억세서 이웃 창성군과 함께 '벽창우'로 유명했으며, '벽창호'의 어원이 되었다.


7. 문화재[편집]


벽동면(북한 행정구역상 동주리)에 15세기초에 건립된 벽동읍성이 있다. 동문과 남문, 성벽이 남아 있으며 남문에는 완월루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한편 읍성에는 사방에 장대(將臺)가 남아 있었으나, 지금은 오사헌이라는 남장대가 남아있다.


8. 기타[편집]


세벌식 자판을 고안한 것으로 유명한 안과의사 공병우 박사가 이 지역 출신이며 1970~1990년대 MBC의 간판 아나운서로 활동했던 차인태 교수 역시 이 지역이 고향이다.

9.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편집]




파일:벽동군.jpg
7면. 철도가 전혀 지나지 않는다.

  • 벽동면(碧潼面)
    • 관할 동 : 일(一), 동상(東上), 동하(東下), 상서(上西), 상평(上平), 이(二), 평내(平內), 평외(平外), 하서(下西), 하평(下平)
    • 면사무소가 일동, 군청이 이동에 있었다. 벽동군의 중부 국경지대. 1940년 수풍댐 건설로 인해 읍내 주변이 수몰됐으며(읍내 시가지는 수몰을 면했다), 이와 동시에 대평면(大平面 : 상평동, 평내동, 평외동, 하평동)을 흡수하였다.

  • 가별면(加別面)
    • 관할 동 : 별하(別下), 가상(加上), 가중(加中), 가하(加下), 별상(別上)
    • 벽동군의 남부 산악지대(3).

  • 권회면(鸛會面)
    • 관할 동 : 권하(鸛下), 권상(鸛上), 사상(社上), 사하(社下), 회상(會上), 회하(會下)
    • 벽동군의 남부 산악지대(2). 고개 넘어 창성군과 연결된다.

  • 성남면(城南面)
    • 관할 동 : 남상(南上), 남중(南中), 남하(南下), 성상(城上), 성중(城中), 성하(城下)
    • 벽동군의 남부 산악지대(1). 본래 성면(城面)과 남면(南面) 지역이었으나 1914년 두 면을 합치면서 성남면으로 개칭되었다.
    • 남상동에 김포 공씨 집성촌이 있으며 공병우 박사가 이 곳 출신이다.

  • 송서면(松西面)
    • 관할 동 : 송일(松一), 남(南), 송사(松四), 송삼(松三), 송이(松二), 연수(連水), 이서(二西)
    • 벽동군의 서부 국경지대. 수몰된 북쪽 지역(옛 삼서동, 사서동, 오서동 일대)은 벽동군의 전신인 벽단(碧團) 고을이 있던 곳이며 통칭 '벽단'이라 불렸다. 1940년 수풍댐 건설로 창성군 창주면의 월경지가 된 연수동을 편입하였고, 송사동에 있던 면사무소를 송일동으로 이전하였다. 북한 행정구역상 벽동군 소재지.

  • 오북면(吾北面)
    • 관할 동 : 북하(北下), 북상(北上), 오상(吾上), 오하(吾下)
    • 벽동군의 동부 국경지대. 오상동에 오북광산이 있다.

  • 우시면(雩時面)
    • 관할 동 : 우하(雩下), 발은(發銀), 성남(城南), 성북(城北), 시상(時上), 시하(時下), 우상(雩上), 우중(雩中)
    • 1914년 우면(雩面)과 시면(時面)을 병합하여 신설된 면으로[2] 1940년 초산군 남면 발은동을 편입하였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14:50:46에 나무위키 벽동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테살로니키의 위도는 북위 40°39'이다.[2] 우면의 우(雩)는 '기우제 우'로 기우제를 지내던 곳이었고, 시면의 시(時)는 '때 시'로 시제를 지내던 곳이라 이런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