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오도마의 정규 1집에 대한 내용은 밭(앨범) 문서
밭(앨범)번 문단을
밭(앨범)#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external/ojsfile.ohmynews.com/IE001069541_STD.jpg


파일:강릉 중국 평지.png

田 / field

농사(농업)를 짓는 으로 된 땅으로, 물을 채운 은 제외된다. 신석기 시대부터 했던 가장 기본적인 농업이다.[1]

앞에 작물의 이름을 붙여 부르기도 한다. 논과 함께 '논밭', '전답', '농지'라고도 하며 법적으로 논과 밭은 토지 등록상 별개로 되어 있다. 채소를 심는 때에는 고랑을 파서 튀어나온 곳 이랑에다가 심는다.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제58조 제1호는 "물을 상시적으로 이용하지 않고 곡물·원예작물(과수류는 제외한다)·약초·뽕나무·닥나무·묘목·관상수 등의 식물을 주로 재배하는 토지와 식용(食用)으로 죽순을 재배하는 토지"라고 하고 있다.

가끔 작물로서 재배하지 않더라도 어떤 식물종만 가득할 때 '쑥대밭'처럼 밭으로 일컫기도 한다. 굳이 식물이 아니고도 국어학적으로는 'XX투성이'라는 은유적 표현으로도 사용된다.

자가경작을 위한 조그만 밭은 '텃밭'이라 한다.

밭을 뜻하는 한자는 '田'이지만, 일본어로는 이라는 뜻으로 'た'(경우에 따라서는 'だ')로 읽고, 밭은 '畑·畠(はたけ)'이라는 일본제 한자를 쓴다[2]. '畓(논 답)'이라는 한국제 한자를 쓰는 우리나라와는 정반대인 셈. 이는 비가 자주, 그리고 많이 오고 따라서 논농사의 비중이 높아 채소밭[3]화전농법[4] 밖에는 밭농사가 드물던 탓으로 추정된다. 다만 한자음인 'でん'은 논과 밭 둘 다 가리킨다.

우리나라(남한)의 밭면적은 1970년에는 102만 5천 헥타르로 최대를 기록하였으나, 산업화에 따라 주택, 공장, 도로 등으로 전용되면서 22년이 지난 1992년에는 75만 5천 헥타르로 크게 감소했다. 하지만 2022년의 밭 면적은 75만 3천 헥타르로 30년 전과 거의 변화가 없다. #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5:28:42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물을 다스리는 치수가 필요한 논농사는 좀 더 늦은 청동기 시대에 시작했고, 본격적으로 발달하는 것은 수리시설 축조와 관리가 본격화되는 삼국시대 중후반부였다.[2] 원래 일본제 한자이므로 한국 한자음이 없어야 원칙이지만 형성자로 여겨 '화전 전(畑)'·'밭 전(畠)'이라는 훈음(訓音)을 붙였다.[3] 위의 '白'+'田'은 배추밭이 유래인 듯 하다.[4] 현대 일본어로는 '焼き畑'(야키바타)라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