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숭훈

덤프버전 :


武崇訓
무숭훈

작호
고양군왕(高陽郡王) → 풍국공(酆國公) → 호국공(鎬國公)노왕(魯王)[a]
시호
충(忠)[a]

무(武)
이름
숭훈(崇訓)
생몰
? ~ 707년
부친
무삼사(武三思)
조부
무원경(武元慶)
증조부
무사확(武士彠)
본적
병주(并州) 문수현(文水縣)
주군
측천무후
중종

1. 개요
2. 생애
3. 가계



1. 개요[편집]


중국 당나라의 외척으로 무삼사의 아들이다. 측천무후에게는 조카증손자가 되는 인물이다.


2. 생애[편집]


무삼사의 차남인 무숭훈은 측천무후가 무주혁명을 일으킨 뒤에 고양군왕(高陽郡王)으로 책봉되었다. 무숭훈은 중종의 딸인 안락공주에게 장가를 들었으며 좌위중랑장을 지냈다.

이후 705년에 장간지, 최현위, 경휘, 원서기, 환언범 등의 신하들이 궁중 쿠데타를 일으켜 장역지, 장창종 형제를 처형하고 측천무후에게 양위를 요구하였다. 측천무후는 장간지 일파의 양위 요구를 수용하여 중종에게 제위를 물려주었고, 측천무후의 시대가 막을 내리며 당나라가 부활하였다. 무숭훈은 작위가 풍국공(酆國公)으로 강등되었고, 부마도위로 임명되었으며, 태상경으로 승진하고 좌위장군을 겸임하였다. 뒤에는 작위가 호국공(鎬國公)으로 고쳐졌다. 무삼사는 쿠데타 일파의 집권을 두려워하여 위황후, 안락공주, 무숭훈과 합작하여 쿠데타 일파는 물론 자신에게 반대하는 세력을 몰아내고 조정의 실권을 장악하면서 중종의 귀를 가렸다.

한편으로 무숭훈은 아버지와 함께 중종의 태자인 이중준을 모함하여 그를 태자 자리에서 쫓아내려고 하였다. 결국 무삼사 일파의 시기를 견디지 못한 이중준은 707년 쿠데타를 일으켰고, 무삼사의 저택으로 들어가서 무삼사 부자를 살해하였다. 하지만 이중준의 쿠데타가 실패로 끝나고 이중준이 부하에게 살해당하자, 위황후와 안락공주는 이중준의 목을 가지고 무삼사와 무숭훈의 무덤에 제사를 올렸다. 중종은 무숭훈의 죽음을 슬퍼하여 무숭훈을 노왕(魯王)으로 추증하고 충(忠)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무삼사, 무숭훈 부자가 죽고 3년 뒤, 위황후와 안락공주는 중종을 독살하고 이중무를 황제 자리에 앉힌 다음 예종을 제거하려고 했다. 하지만 예종의 아들인 임치왕 이융기가 위황후 일파의 음모를 먼저 알아챘고, 결국 궁중 쿠데타를 일으키며 위황후 일파를 처형하여 예종을 복위시켰다. 이융기에 의해 복위한 예종은 무삼사, 무숭훈 부자의 시호를 삭탈하였고 그들의 시체를 관에서 꺼내 부관참시하였으며, 무덤도 깎아서 평평하게 만들었다.


3. 가계[편집]


  • 증조부: 무사확
    • 조부: 무원경
      • 부친: 무삼사
        • 무숭훈
        • 무숭겸(武崇謙)
        • 무숭열(武崇烈)
        • 무숭위(武崇撝)
        • 무숭조(武崇操)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11:39:40에 나무위키 무숭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a] A B 예종이 즉위한 뒤 삭탈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