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티베트 관계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6자회담 당사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아시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망명 정부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유럽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Flag_of_the_Chechen_Republic.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Flag_of_Ingushetia.svg.png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1280px-Flag_of_Adygea.svg.png
아디게야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북오세티야 국기.png
북오세티야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Flag_of_Karachay-Cherkessia.svg.png [[파일:Flag_of_Kabardino-Balkaria.svg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파일:다게스탄 국기.png
다게스탄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_of_Gagauzia.svg.png
가가우지아
파일:몰도바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터키 국기.svg
터키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아메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아프리카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다자관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대만 국기 대각선 병합.pn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조선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청나라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소련





1. 개요
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2.2. 21세기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러시아티베트 망명정부의 관계를 정리한 문서.


2. 역사적 관계[편집]



2.1. 20세기[편집]


20세기 초 달라이 라마 13세의 지원으로 러시아 제국의 수도였던 상트페테르부르크에 티베트 불교 사원이 건립되었다.# 만주족들의 몽골 부족들을 통제하기 위해서 티베트 달라이 라마를 지원했던 것과 같은 맥락에서, 러시아 제국 또한 칼미크인, 부랴트인, 투바인 등등 자국 영내 몽골계 소수민족 집단들을 달래기 위해서 티베트 왕국과 접촉하였던 것이다.출처

현재의 러중 밀월관계와 달리, 같은 공산주의 국가였음에도 불구하고 소련과 중국의 관계는 그리 좋지 못했으며, 따라서 티베트와의 관계는 긍정적이지도 않지만, 그렇다고 부정적이지도 않은 관계를 유지했다. 물론 소련이 마음만 먹으면 중국에 대항하여 티베트 망명 정부를 지원할 수도 있었겠지만, 이미 소련 정부는 스탈린 시절에 불교도를 박해했을 뿐만 아니라, 소련 전역의 승려를 숙청하고 절에는 불을 지르는 만행을 저지른 바 있기 때문에 그렇게 하지는 않았다.[1] 다만, 흐루쇼프 이후 스탈린 격하 운동이 일어나고 강압적 통치가 비교적 누그러지면서, 러시아의 티베트 불교 지도자인 함보 라마가[2] 부활하였으며, 이들은 모두 달라이 라마에게 인정받았다. 심지어 1976년에는 달라이 라마 14세가 소련을 방문하기도 했다.

소련 해체 직전인 1991년달라이 라마 14세는 소련을 방문하여 칼미키야 공화국, 투바 공화국, 부랴티야 공화국에서 법회를 열었다. 소련 해체 이후 1993년에는 모스크바에 티베트 망명정부의 대표 사무소가 개설되어, 같은 해 6월 16일부로 승인받았다.


2.2. 21세기[편집]


21세기 들어서 신냉전이 시작되고 중러관계가 회복되었지만, 반대로 종교의 자유 역시 회복되어 시베리아를 중심으로 티베트 불교 신자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어 러시아 입장에서는 국민감정을 고려했을 때 마냥 대립하기 어려운 특수한 관계에 있다. 일단 러시아 중앙정부와는 사이가 좋지 않다. 2004년 칼미키야 공화국 대통령[3] 키르산 일륨지노프의 초청으로 달라이 라마가 러시아를 방문하려 했을때 러시아 정부에서 비자를 내주지 않아 무산될 뻔했다. 이 당시 일륨지노프 대통령은 친정부 성향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례적으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에게 직접적으로 항의했으며, 수도인 엘리스타에서는 항의시위가 일어났다. 결국 러시아 정부는 달라이 라마의 칼미키야 방문을 허용했다. 또한, 부랴티야 공화국, 투바 공화국, 칼미키야 공화국 등에 티베트 불교를 믿는 소수민족들이 많이 살고 있으며, 길거리에서 달라이 라마의 사진을 보기 쉽다.

2019년, 부랴티야 공화국 국가수반 알렉세이 츠데노프와 러시아 불교의 수장인 함보 라마 담바 아유예프 큰스님이 달라이 라마 14세의 방러를 건의하자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달라이 라마는 입국금지가 되어있지 않으며, 러시아의 불자들이 원하는 적절한 시기에 언제든지 방문할 수 있다는 발언을 했다.


3.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09:21:24에 나무위키 러시아-티베트 관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소련에 다시 사찰이 건립된 것은 제2차 세계대전 직후인 1945년이며, 이마저도 소련 공산당의 관리를 받는 선전용에 불과했다.[2] 이 역시도 환생제로 이어진다.[3] 현재는 '수반'이지만 당시에는 대통령으로 불렸다. 2010년부터 타타르스탄을 제외한 다른 공화국들은 대통령에서 '수반'으로 직책을 바꾸어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다. 유일하게 '대통령' 직함을 유지해오던 타타르스탄은 러시아 연방 정부와 의회의 압박으로 결국 2023년 2월 6일부터 '수반' 직함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