듄: 파트 2/흥행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듄: 파트 2


1. 개요
2. 월드와이드


1. 개요[편집]


영화 〈듄: 파트 2〉의 흥행을 정리한 문서.


2. 월드와이드[편집]



업계 소식에 의하면, 손익분기점은 약 5억 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

3. 대한민국[편집]




누적관객수 1,282,711명, 누적매출액 14,523,766,943원[1]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8,657명
8,657명
미집계
149,669,630원
149,669,630원
1주차
2024-02-28. 1일차(수)
152,954명
896,803명
2위
1,447,156,430원
9,898,457,176원
2024-02-29. 2일차(목)
106,896명
2위
1,202,156,053원
2024-03-01. 3일차(금)
216,532명
2위
2,424,366,307원
2024-03-02. 4일차(토)
189,750명
2위
2,151,780,134원
2024-03-03. 5일차(일)
145,998명
2위
1,665,387,640원
2024-03-04. 6일차(월)
44,199명
2위
528,604,366원
2024-03-05. 7일차(화)
40,474명
2위
479,006,246원
2주차
2024-03-06. 8일차(수)
45,582명
-명
2위
534,434,770원
-원
2024-03-07. 9일차(목)
39,528명
2위
473,804,695원
2024-03-08. 10일차(금)
58,612명
2위
723,638,562원
2024-03-09. 11일차(토)
126,740명
2위
1,493,086,664원
2024-03-10. 12일차(일)
106,791명
2위
1,250,695,446원
2024-03-11. 13일차(월)
-명
-위
-원
2024-03-12. 14일차(화)
-명
-위
-원
3주차
2024-03-13. 15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24-03-14. 16일차(목)
-명
-위
-원
2024-03-15. 17일차(금)
-명
-위
-원
2024-03-16. 18일차(토)
-명
-위
-원
2024-03-17. 19일차(일)
-명
-위
-원
2024-03-18. 20일차(월)
-명
-위
-원
2024-03-19. 21일차(화)
-명
-위
-원
4주차
2024-03-20. 22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24-03-21. 23일차(목)
-명
-위
-원
2024-03-22. 24일차(금)
-명
-위
-원
2024-03-23. 25일차(토)
-명
-위
-원
2024-03-24. 26일차(일)
-명
-위
-원
2024-03-25. 27일차(월)
-명
-위
-원
2024-03-26. 28일차(화)
-명
-위
-원

  • 개봉 전
    • 흥행에 긍정적인 점으로는 우선 개봉 전주에 개봉하는 〈파묘〉를 제외하면 경쟁작이 없고,[2] 개봉 이후로도 한동안 유의미한 경쟁작이 개봉하지 않으며,[3] 개봉 16일 전부터 예매율 1위를 달성하는 등 높은 사전 관심도를 보여 초기 입지 확보 및 입지 유지에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거기에 드니 빌뇌브의 듄 실사영화 시리즈의 전작 〈〉이 긍정적인 평가 및 입소문으로 팬데믹 시기에 유의미한 흥행 성적을 거뒀으며,[4] 전작과 이어지는 직접적인 속편임에도 전작보다 높은 개봉 전 관심도를 보여 신규 관객의 유입도 기대할 수 있다. 개봉 5주 전 개봉해 좋은 흥행을 보인 〈웡카〉에 출연진 티모시 샬라메가 주연으로 출연해 상승한 배우의 인지도, 특별관의 인기가 굉장히 높은 때에 한동안 특별관을 가져가는 영화의 부재, 높은 사전 평가, 개봉일과 겹친 문화가 있는 날과 주말을 낀 삼일절 연휴의 영향을 받아 개봉 초기에 보다 많은 관객을 확보할 수 있는 일정 역시 흥행의 요소라 볼 수 있다.
    • 그러나 개봉 6일 차서부터 본격적으로 비수기에 들어서는 일정으로 인해 1주 차 이후 흥행의 기대치가 크게 높지는 않아 초기 흥행이 중요한데, 오컬트 공포 영화 특성상 폭넓은 관객층 유입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됐던 〈파묘〉가 사전에 장르 영화로서 큰 관심을 받은 것에 부응하는 좋은 평을 받아낸 결과 높은 초기 흥행을 기록해 장기적인 입지 유지의 가능성이 크게 높아짐에 따라 관객층의 분산이 예정됐다. 이에 더해 속편으로 이야기가 이어지는 구조를 지녀 작품의 인지도가 중요한 와중 전작 〈듄〉이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개봉해 많은 관객을 확보하지 못한 전적이 있어 개봉 이후 긍정적인 입소문이 더욱 요구된다. 한국에서 대체로 흥행이 저조한 스페이스 오페라라는 장르적 한계, 가볍게 보기엔 거리가 있으며 일일 상영횟수에 제한이 있는 다소 긴 상영시간 등의 불안 요소 또한 있다.
    • 예매 추이
      • 개봉 21일 전인 2월 7일 수요일, 용아맥 예매가 풀리자마자 개봉일 3회차까지 전석 매진에 다른 회차들도 개봉일과 시간대를 가리지 않고 정상적인 관람이 가능한 좌석들은 매진되고 있다. 이후 코돌비월수플도 예매가 풀리는 족족 개봉일 매진 또는 준매진 상태를 기록하며 〈오펜하이머〉 개봉 당시와 유사한 특별관 열풍을 보여 주고 있다.
      • 개봉 20일 전인 2월 8일 목요일, 0시경 3만 3천여 명의 예매 관객을 동원해 9.8%의 예매율을 기록하며 〈데드맨〉을 제치고 예매율 2위를 달성했다. 다만 예매율 1위의 〈웡카〉가 설 연휴에 근접한 영향으로 예매 관객을 대거 동원하고 있어 예매율 1위를 달성하기에는 조금의 시일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 개봉 16일 전인 2월 12일 월요일, 13시경 6만 5천여 명의 예매 관객을 동원해 20.1%의 예매율로 설 연휴가 끝나가며 예매 관객 수가 하락한 〈웡카〉를 제치고 예매율 1위를 달성했다.
      • 개봉 11일 전인 2월 17일 토요일, 20시경 10만 명의 예매 관객 수를 돌파했다.
      • 개봉 10일 전인 2월 18일 일요일, 13시 30분경 30%의 예매율을 돌파했다. 이후 20시 30분경 개봉일에 근접해가며 예매 관객 상승 추세를 보인 〈파묘〉에 밀려 예매율 2위로 하락했다.
      • 개봉 8일 전인 2월 20일 화요일, 19시경 개봉 전야 상영회가 열려 용아맥 1회차는 전석 매진 되고, 2회차와 3회차는 거의 매진 되었다. 0시경에는 2주 차 용아맥 예매가 풀려 관람하기 편한 자리는 모두 매진 되었다.
      • 개봉 4일 전인 2월 24일 토요일, 0시 30분경 20만 명의 예매 관객 수를 돌파했다.
      • 개봉 3일 전인 2월 25일 일요일, 11시 30분경 40%의 예매율을 돌파했다. 이후 12시경 〈파묘〉를 제치고 예매율 1위를 탈환했으며, 15시경 처음으로 50%의 예매율을 돌파했다.
      • 개봉 2일 전인 2월 26일 월요일, 23시경 〈파묘〉에게 밀려 재차 예매율 2위로 하락했다.
      • 개봉 하루 전인 2월 27일 화요일, 15시경 30만 명의 예매 관객 수를 돌파했다.
      • 개봉일 자정을 기준으로 32만 3천여 명의 예매 관객을 동원해 39.5%의 예매율로 47.9%의 예매율을 기록한 〈파묘〉에 이어 예매율 2위를 기록했다.

  • 1주 차
    • 이 주 차의 주요 개봉작으로는 〈극장판 브레드 이발소: 셀럽 IN 베이커리타운〉 , 〈막걸리가 알려줄거야〉, 〈아이엠 티라노〉 등이 있으며, 이에 더해 〈중경삼림〉이 메가박스에서 리마스터판으로 재개봉한다.
    • 이 주 차의 타 주요 개봉작들의 인지도가 낮음에 따라 기존 작품과의 경쟁이 예상되는 가운데, 예매율 1위 경합을 벌인 끝에 흥행세가 꺾이지 않은 〈파묘〉에게 예매율 1위를 내준 것에 더해 전술했듯 일일 상영 횟수에 제한점이 있는 긴 상영시간으로 인해 박스오피스 선두를 차지할 수 있을지에 대해선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다만 비관할 수치가 아닌 예매 관객 수를 기록했고,[5] 시사회에서 나온 높은 사전 평가를 그대로 개봉 후 관객들에게서도 받아낼 가능성이 높아 초기 입지 확보 및 유지에 있어서 이전보다 기대치가 낮을지언정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더해 개봉일을 기준으로 주연 티모시 샬라메가 출연한 〈웡카〉가 누적 300만 관객을 돌파하면서 배우의 인지도가 크게 증가했으며, 티모시 샬라메를 포함한 출연진이 유 퀴즈 온 더 블럭 출연을 비롯한 내한 활동을 진행해 마케팅 면에서도 대중들에게 충분한 홍보 효과를 거둘 것으로 여겨짐에 따라 전작 때에 비해 작품에 대한 대중들의 인지도 또한 높다. 이와 같은 사전 추세로 보아 전작보다 상승한 성적을 거둘 가능성이 높으며, 〈파묘〉와의 경쟁에서 어느 정도로 초기 입지를 확보해내느냐, 그리고 〈파묘〉에 밀리지 않는 높은 사전 평가가 담긴 입소문을 얼마나 낼 수 있느냐에 따라 그 흥행 정도가 얼추 가늠잡힐 것으로 보인다.
    • 개봉 첫날인 2월 28일 수요일, 15만 2천여 명의 일일 관객 수를 기록해 같은 날 38만 4천여 명의 일일 관객 수를 기록한 〈파묘〉에 이어 박스오피스 2위를 기록했다. 이 일일 관객 수는 예매 관객 수에 비해 크게 낮은 수치인데, 이는 일일 상영횟수에 제한이 있는 긴 상영시간,[6] 특별관 선호도가 높아 여러 날에 걸쳐 넓게 퍼진 예매 관객 등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다만 이날 문화가 있는 날의 영향을 받았긴 하나 전작 〈듄〉이 기록한 6만 1천여 명의 2배를 상회하고, 최고 일일 관객 수인 11만 7천여 명도 상회하는 개봉일 관객 수를 기록함에 따라 전작보다 상승한 흥행 추세를 보일 가능성은 높다. 즉 위의 상영시간 및 특별관 특수성의 한계에 더해 흥행 역주행까지도 노려볼 수 있을 정도로 큰 관심을 받고 있는 〈파묘〉의 존재까지 감안하면 개봉 첫날 흥행 추세를 긍정적으로 평할 여지는 충분하다 볼 수 있다.

  • 2주 차
    • 이 주 차의 주요 개봉작으로는 〈가여운 것들〉, 〈패스트 라이브즈〉 등이 있으며, 이에 더해 〈비트〉가 CGV에서 재개봉한다.
    • 전작 〈듄〉이 기록한 1주 차 흥행 43만 6천여 명보다 2배 정도 높은 89만 6천여 명의 1주 차 흥행을 기록한 것으로 보아 성공적으로 초기 입지를 확보했다고 평가할 수 있으나, 사전 예매 관객 수의 면으로 평가했을 때는 성공적이라기엔 거리가 있다고 볼 수도 있다.[7] 이와 같이 복합적인 1주 차 흥행을 기록한 와중 1주 차 대비 크게 하락한 예매 관객 수로 보아 전작처럼 역주행 흥행 내지는 안정적인 낙폭을 보이기에는 거리가 있다. 이는 시리즈물이라는 특성, 한국에서 불모지인 장르 중 하나인 스페이스 오페라, IMAX를 필두로 한 특별관 관람이 강제되는 상영 분위기 등이 합쳐져 낮은 대중성이라는 결과를 만들어낸 것이 독으로 작용한 듯하다.[8] 거기에 이 주 차부터 완전히 극장 비수기에 진입하기에 더욱 안정적인 낙폭을 바라기는 어려우며, 최악의 경우 전작보다도 낮은 성적을 기록한 채로 종영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되었다. 때문에 그간 확보한 입지를 토대로 최대한 이 주 차에서의 낙폭을 줄여 장기적인 흥행을 그려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관건으로 여겨진다.
    • 2주 차 첫날이자 개봉 8일 차인 3월 6일 수요일, 전주 대비 약 70% 하락한 4만 5천여 명의 일일 관객 수를 기록했다. 전주의 경우 신규 개봉으로 관객이 몰린 것에 더해 문화가 있는 날의 영향까지 받았기에 실질적으로는 그보다 낮은 수치의 낙폭으로 계산되나, 이를 감안하더라도 안정적인 흥행 추이를 보이기에는 거리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같은 일차에 4만 7천여 명의 일일 관객 수를 기록한 전작 〈듄〉보다 낮은 일일 관객 수를 처음으로 기록했으나, 〈듄〉의 경우 8일 차에 문화가 있는 날이 있었기에 아직까지는 전작보다 높은 흥행 추세를 기록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개봉 10일 차인 3월 8일 금요일, 오전 8시경 누적 관객 수 100만 명을 돌파했다. 전작 〈듄〉이 누적 100만 관객 돌파까지 20일이 걸렸는데, 이보다 2배 빠른 속도다. 또한 2024년 개봉 외화로는 〈위시〉, 〈웡카〉에 이은 세 번째 누적 100만 관객 돌파 기록이다.
    • 개봉 11일 차인 3월 9일 토요일, 12만 6천여 명의 일일 관객 수를 기록했다. 전주 대비 약 33%의 낙폭으로, 주중에서의 낙폭보다는 낮은 수치다. 이는 주말을 맞이해 주중 극장 방문이 어려웠던 관객의 접근성이 용이해진 영향으로 추정된다. 이로 보아 그간 확보한 입지가 크게 사그라들지 않았다고 평가할 수 있으며, 최소 주말 기간 동안은 긍정적인 관객 동원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 7주 차
    • 이 주 차의 주요 개봉작으로는 〈쿵푸팬더 4〉 등이 있다.

4. 북미[편집]


북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24년 8주차

2024년 9주차

2024년 10주차
밥 말리: 원 러브
듄: 파트 2
쿵푸팬더 4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개봉 전
    • 2024년 2월 1일, 박스오피스 프로에서 개봉주 성적을 5,000만~7,500만 달러, 최종 성적을 1억 2,500만~1억 9,500만 달러로 예측했다.
      • 코로나19 회복 초기인 2021년 10월 개봉한 드니 빌뇌브 감독의 첫 번째 듄 시리즈 실사영화 〈〉이 HBO Max에서의 동시 스트리밍이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4,100만 달러의 개봉주 성적을 거둔 전적, 높은 초기 사전 판매 추세 및 작년인 2023년에 개봉한 주요 작품들을[9] 앞서는 특별관 판매 추세, 〈듄〉의 개봉 이후 상승한 출연진 티모시 샬라메, 젠데이아의 밀레니얼 및 Z세대 사이에서의 인기,[10] 오스틴 버틀러, 플로렌스 퓨 등 새로운 출연진의 출연으로 젊은 관객층의 관심을 끌 수 있을 가능성, 주요 텐트폴 영화의 결핍으로 텐트폴 영화의 관람을 원하는 관객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 가능성, 개봉 이후 한동안 직접적인 경쟁작이 없는 일정을 흥행의 요소로 보았다.
      • 그러나 높은 특별관 선호도로 인해 사전 판매 성적이 높게 집계된다는 점에서 개봉 이후의 흥행 추세는 아직 보다 정확하게 추산하기 어려움에 더해 작년인 2023년 당시 여러 프랜차이즈 작품들의 흥행 성적에서 나타난 것처럼 최근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한 작품의 흥행 추세는 변동성이 심하므로 10대 및 여성 관객의 중요도가 높음을 언급했으며, 온라인 상에서의 높은 입소문과 비평가들의 높은 평가에도 불구하고 일반 관객들에게는 흥행하기 어려운 SF 장르라는 한계를 불안 요소로 보았다. #
    • 2월 15일, 박스오피스 프로에서 개봉주 성적을 6,000만~8,000만 달러, 최종 성적을 1억 5,100만~2억 800만 달러로 이전 예측보다 상향한 수치로 재예측했다. #
    • 2월 22일, 박스오피스 프로에서 개봉주 성적을 6,500만~8,000만 달러, 최종 성적을 1억 6,400만~2억 1,300만 달러로 이전 예측보다 상향한 수치로 재예측했다. #
    • 2월 28일, 박스오피스 프로에서 개봉주 성적을 7,100만~8,600만 달러로 이전 예측보다 상향한 수치로 재예측했다. #

  • 1주 차
    • 개봉주 주말까지 8,250만 달러의 흥행을 기록해 같은 기간 743만 달러의 흥행을 기록한 〈밥 말리: 원 러브〉를 제치고 주말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했다. 이는 전작 〈듄〉이 기록한 개봉주 성적 4,101만 달러의 두 배를 상회하는 성적으로, 시작이 매우 순조롭다 볼 수 있다. 다만 2주 차에 〈쿵푸팬더 4〉, 4주 차에 〈고스트버스터즈: 오싹한 뉴욕〉, 5주 차에 같은 배급사 영화 〈고질라 X 콩: 뉴 엠파이어〉라는 경쟁작들이 개봉하는 일정으로 인해 이후의 흥행은 이들의 공세를 얼마나 버텨내느냐에 따라 그 정도가 갈릴 것으로 예상된다.[11]


5. 중국[편집]




6. 일본[편집]




7. 영국[편집]



[1] ~ 2024/03/10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2] 2월 1주 차에 개봉한 영화들은 전부 저조한 관객 수로 빠르게 상영 종료 수속에 들어갔으며, 〈웡카〉는 개봉 5주 차의 장기 상영, 〈귀멸의 칼날: 인연의 기적, 그리고 합동 강화 훈련으로〉는 일본 애니메이션 총집편이라는 특성상 팬층의 영향으로 초기에 강하나 유입을 통한 장기 상영은 어려워 후기에 약한 흥행 추세가 예상된다는 점이 발목을 잡는다.[3] 3주 차에 개봉하는 〈마담 웹〉은 선개봉한 해외에서의 평가가 좋지 않기에 흥행 기대치가 낮고, 한국에서는 IMAX 포맷 개봉을 하지 않는다. 4주 차에 개봉하는 〈극장판 스파이 패밀리 코드: 화이트〉는 IMAX로 개봉하지만 일본 애니메이션이라는 특성상 앞선 〈귀멸의 칼날: 인연의 기적, 그리고 합동 강화 훈련으로〉와 같은 이유로 교차상영할 가능성이 크므로 〈고질라 X 콩: 뉴 엠파이어〉의 개봉 시기인 5주 차까지 남아 있는 2D관과 IMAX관으로 입지를 유지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특별관 포맷을 빼앗을 수도 있기에 장기 흥행도 가능하다. 다만 낮은 낙폭을 보였음에도 〈듄: 파트 2〉에게 완전히 IMAX 특별관을 내준 같은 배급사 영화 〈웡카〉의 선례가 있는데, 낮은 낙폭에 더해 높은 특별관 선호 현상이 지속되지 않는 이상 전술한 선례처럼 같은 배급사 영화 〈고질라 X 콩: 뉴 엠파이어〉에게 특별관을 완전히 내줄 가능성이 크다.[4] 높은 축은 아닌 154만여 명의 성적을 기록했지만 당시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였음을 감안해야 하며, 2021년 개봉작 중 손에 꼽힐 정도의 흥행 성적은 아니지만 한국에서 흥행성이 낮은 스페이스 오페라라는 장르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낙폭이 낮은 흥행 추이를 보이며 2021년 개봉작 흥행 13위를 달성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5] 작년인 2023년 개봉작 중 개봉일 자정을 기준으로 30만 명의 예매 관객 수를 돌파한 영화는 31만여 명의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31만 4천여 명의 〈노량: 죽음의 바다〉, 30만 3천여 명의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63만여 명의 〈범죄도시3〉, 57만여 명의 〈오펜하이머〉 뿐이며, 이 중 호불호가 갈리는 평을 들은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를 제외한 모든 영화가 누적 300만 관객 돌파에 성공했다.[6] 이날까지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했던 2024년 개봉 영화들이 개봉일에 기록한 상영관 수와 상영횟수를 개봉순으로 나열하면 〈위시〉가 1,157개와 4,338회, 〈외계+인 2부〉가 1,268개와 5,147회, 〈시민덕희〉가 1,136개와 4,709회, 〈웡카〉가 1,717개와 7,405회, 〈파묘〉가 1,944개와 7,535회로, 대체적으로 상영관 수의 4배 정도의 상영횟수를 기록했다. 반면 〈듄: 파트 2〉의 경우 이날 1,554개의 상영관 수와 5,047회의 상영횟수로, 상영관 수의 3배를 소폭 상회하는 상영횟수를 기록했다.[7] 전술한 사전 예매 관객 수 비교작들 중 106만여 명으로 가장 낮은 1주 차 흥행을 보인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보다 낮은 흥행 추세를 보였다.[8] 같은 시기에 흥행중인 〈파묘〉의 경우, 역시 한국에서는 불모지나 다름없는 오컬트 장르임에도 불구하고 일반관에서 봐도 상관 없는 상영 분위기나 한국적인 요소와 대중성을 잘 잡아 4배 이상 높은 일일 관객 수를 기록한 것과는 대조된다.[9]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 〈플래시〉.[10] 이 중 티모시 샬라메의 경우 최근 개봉한 〈웡카〉의 흥행 성공으로 더욱 높은 인기를 얻고 있음을 덧붙였다.[11] 〈쿵푸팬더 4〉의 경우 IMAX 개봉을 하지 않는 데다가 관객층도 다르기에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나머지 작품의 경우 관객층도 비슷하고 IMAX 상영을 하기에, 유독 듄 시리즈가 IMAX 특화 영화라는 입소문이 퍼질 정도로 특별관 비중이 높아 IMAX 특별관을 양분할 경우 상당한 낙폭이 있으리라 예상되는 입장에서 저 둘의 개봉으로 인해 적지 않은 타격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6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10;"
, 10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6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10;"
, 10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3-11 01:23:49에 나무위키 듄: 파트 2/흥행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