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eezus

덤프버전 :

분류

파일:Kanye West Logo.png
Kanye West Discography
[ 정규 ]
1집2집3집4집
파일:칸예의우당탕탕대학탈출갈색.jpg
파일:YELR.jpg
파일:YEG.jpg
파일:YE808.jpg
The College Dropout
(2004)
Late Registration
(2005)
Graduation
(2007)
808s & Heartbreak
(2008)
5집
6
7집8집
파일:YEMBDTF.jpg
파일:YEY.jpg
파일:YETLOP.jpg
파일:YEy.jpg
My Beautiful Dark Twisted Fantasy
(2010)
Yeezus
(2013)
The Life Of Pablo
(2016)
ye
(2018)
9집10집
파일:YEJIK.jpg
파일:black.jpg
JESUS IS KING
(2019)
Donda
(2021)
[ 컬래버레이션 ]
20112018 TBA
파일:JYWTT.jpg
Watch The Throne
(with JAY-Z)
KIDS SEE GHOSTS
(with Kid Cudi)
JESUS IS KING II
(with Dr. Dre)
[ 컴필레이션 ]
2012
파일:GMCS.jpg
Cruel Summer
(GOOD Music)


파일:Kanye West Logo.png
카니예 웨스트의 역대 정규 음반
2010년 11월 22일
5집 My Beautiful Dark
Twisted Fantasy
{{{#000 2013년 6월 18일
6집 [[Yeezus|

Yeezus
]]
2016년 2월 14일
7집 The Life Of Pablo
수상 내역
[ 펼치기 · 접기 ]

파일:external/www.theuncool.com/rs937.jpg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000,#fff 269위
2020년}}}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18904><tablebgcolor=#fff,#191919><width=90><#b18904>
파일:external/www.theuncool.com/rs937.jpg

2020년 269위
"연도3=display:none@"
@연도3@년 @순위3@위
}}}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롤링 스톤 선정 2010년대 최고의 앨범
13위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명반
187위




파일: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jpg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000,#fff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파일:sonemic.pngRate Your Music 전체 앨범 차트
293위




''

Yeezus
''
파일:YEY.jpg
아티스트Kanye West
발매2013년 6월 18일
녹음2012년 ~ 2013년 6월
스튜디오Germano (뉴욕)
Gee Jam (포트 안토니오)
Madpan (뉴욕)
The Mercer Hotel (뉴욕)
No Name Hotel (파리)
Real World (바스)
Shangri-La (말리부)
Studios de la Seine (파리)
장르익스페리멘탈 힙합, 인더스트리얼 힙합, 얼터너티브 힙합, 펑크 랩, 일렉트로인더스트리얼
길이40:01
트랙10
프로듀서 Daft Punk, Hudson Mohawke, Kanye West,
Lunice, Mike Dean, S1, Arca
레이블Roc-A-Fella

1. 개요
2. 상세
3. 평가 및 성적
4. 트랙리스트
4.1. 크레딧
5. 여담



1. 개요[편집]


2013년 6월 18일 데프 잼 레코딩스에서 발매된 카니예 웨스트의 6번째 정규 음반.


2. 상세[편집]


이전의 스타일과는 전혀 다른, 완전히 파격적인 변신을 선보인 앨범이다. 특히 바로 전작인 'My Beautiful Dark Twisted Fantasy'와 완벽한 대척점에 있는 앨범으로, 전작에서는 수없이 많은 샘플들과 중첩된 사운드를 통해 그야말로 '빵빵한' 사운드를 들려주었다면, 이 앨범을 통해서는 간결하되 정제되지 않은 듯한 느낌을 주는 드럼 비트에 한 겹 정도의 멜로디 샘플만을 덧씌였고, 보컬 피쳐링을 없애 멜로디보다는 사운드의 질감을 극도로 강조했다. 또한 음악이 진행되다가 뜬금없이 비트가 뚝 바뀌어버리고, 칸예의 비명소리와 헐떡대는 소리가 튀어나오는 등 예측불허의 곡 진행이 특징이다. 결과적으로 샘플을 엉성하게 덕지덕지 갖다붙인듯한 원초적인 사운드 콜라쥬의 느낌을 주는데, 단순히 들으면 무언가 성의없게 들릴지도 모르나 실제로는 고도의 계산 하에 만들어진 소리이다.

이렇게 변화된 음악성은 5집을 내고 바뀐 그의 생각에서 왔는데 경이로운 숫자의 피처링, 엄청난 양의 화려한 사운드, 힙합같지 않은 볼륨의 트랙을 통해 힙합의 맥시멀리즘을 원없이 해본 칸예는 르 코르뷔지에가 만든 램프와 건축 디자인, 그리고 그의 미니멀리즘에 푹 빠졌다. 여기에 칸예가 당시 머물렀던 프랑스의 집은 5집처럼 화려한 사운드를 녹여내지 못해서 최대한 심플하게 만들어져야 했다. 생각과 환경 모든 것에서 변화가 생긴 칸예는 전작의 화려함과는 반대로 사운드는 간결하지만 예측할 수 없는 진행, 이전에는 잘 쓰이지 않았던 사운드를 원했다. 그래서 그는 이런 스타일에 이전부터 도가 튼 프로듀서인 릭 루빈에게 도움을 구했고, 릭 루빈도 이 부탁을 받아들였다. 여기에 Stronger로 칸예가 팬심을 드러낸 적이 있는 다프트 펑크도 섭외하는 등 여러 프로듀서와 뮤지션들에게 도움을 받아서 결국 칸예는 의도대로 이전의 자신의 스타일과는 다른 새로운 음악을 대중에게 내놓는데 성공하였다.

다소 호불호가 갈리나, 평단의 평가는 매우 좋다. 대체로 전작 이후로 칸예가 음악적으로 완전 각성했다는 평. 또한 이 앨범의 사운드가 여지껏 존재하지 않았던, 오직 칸예만이 만들어낼 수 있는 새로운 사운드라는 것에는 호불호를 떠나 모두가 동의하는 등[1], 그야말로 칸예 웨스트의 Kid A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힙합 웹진 리드머는 '수정 구슬을 통해 미래의 힙합 사운드를 살짝 엿본 느낌'이라고 한다.

예전부터 칸예는 수많은 아티스트들과 협업하며 음악을 만드는 작법을 써왔는데, 이 앨범 역시 어마어마한 숫자의 아티스트가 참여했던 5집 못지 않게 수많은 아티스트들이 대거 참가했다. 다프트 펑크[2], 본 이베어[3], 아르카[4], Gesaffelstein, Hudson Mohawke, 트래비스 스캇, 치프 키프, 키드 커디, 프랭크 오션, 찰리 윌슨 등 내로라 하는 아티스트들이 참가했으며 특히 릭 루빈, 다프트 펑크와 아르카는 이 앨범의 사운드를 형성하는데 매우 큰 역할을 담당했다.


3. 평가 및 성적[편집]


빌보드 200 역대 1위 앨범
13
Black Sabbath
Yeezus
Kanye West
The Gifted
Wale

파일:RIAA 플래티넘2.png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
Platinum Certification
(2x Platinum)


미국 내 판매량 2,000,000 단위 이상
















'[[Yeezus|

Yeezus
]]의 전문가 평점'
The Daily Telegraph★★★★★
Entertainment WeeklyA-
The Guardian★★★★☆
The Independent★★★★☆
NME9/10
Rolling Stone4.5/5
Spin8/10
The Times★★★★☆
눈에 띄는 히트 싱글이 딱히 없는 등[5] 상업적으로는 전작에 이어 악화일로를 달렸으나 2014년 1월 플래티넘(100만장)을 기어이 찍고만다.[6] 2020년 11월 23일 2×플래티넘을 달성했다. 호불호가 갈리는 앨범이었지만 200만장을 달성했다.[7]

4. 트랙리스트[편집]



파일:YEY.jpg
{{{#000 'Yeezus'}}}

트랙 리스트
[ 펼치기 · 접기 ]

#제목길이비고
1On Sight2:36[Gold]
2Black Skinhead3:08[3xPlatinum]
3I Am A God
(feat. God)
3:51[Gold]
4New Slaves4:16[Gold]
5Hold My Liquor5:26
6I'm In It3:54
7Blood On The Leaves6:00[Platinum]
8Guilt Trip4:03
9Send It Up2:58
10Bound 23:49[5xPlatinum]


4.1. 크레딧[편집]


트랙리스
#보컬 참프로듀샘플
1On SightChoir[8] West, Daft Punk, Dean, Benji BHoly Name of Mary Choral Family -
Sermon (He'll Give Us What We
Really Need)
2:36
2Black SkinheadWest, Daft Punk, Gesaffelstein,
Dean, Lupe Fiasco,
Jack Donoghue,
Noah Goldstein, Brodinski
3:08
3I Am A GodJustin VernonWest, Dean, Daft Punk,
Hudson Mohawke
Capleton - Forward Inna Dem Clothes3:51
4New SlavesFrank OceanWest, Dean,
Travis Scott, Goldstein,
Shama Joseph, Che Pope,
Bronfman
Omega - Gyöngyhajú lány4:16
5Hold My LiquorChief Keef, Justin Vernon West, Dean, Arca, Goldstein5:26
6I'm In ItJustin Vernon, AssassinWest, Dean, Arca, Evian Christ, Dom Solo, Goldstein Lattimore - Lately3:54
7Blood On The Leaves{{{-3 West, Hudson Mohawke,
Dean, Arca,
Lunice, Carlos Broady,
88-Keys}}}
Nina Simone - Strange Fruit6:00
8Guilt TripKid CudiWest, Dean, Travis Scott, S1,
Ackee Juice Rockers
Lords of the Underground - Chief Rocka,
Pusha T - Blocka (Ackeejuice Rockers
Remix)
4:03
9Send It UpKing LWest, Dean, Arca, Daft Punk,
Gesaffelstein, Brodinski
Beenie Man - Memories 2:58
10Bound 2Charlie WilsonWest, Dean, Pope,
Eric Danchick, Goldstein,
No I.D.
Wee - Aeroplane (Reprise),
Ponderosa Twins Plus One - Bound,
Brenda Lee - Sweet Nothin's
3:49

5. 여담[편집]



  • 후보 커버 [ 펼치기 · 접기 ]
    파일:D9XMt6uWsAANyTU.jpg
    파일:D9XMt6sXkAM5CkS.jpg

  • Black Skinhead에서 "Keep it 300 like the Romans, 300 bitches, where's the Trojans?"라는 라인이 쓰였는데, 해외 웹에서는 앨범 발매 직후부터 5년이 넘게 이 문장을 두고 온갖 병림픽이 벌어진다. 이 문구는 누가 봐도 영화 300을 의도한 라인인데, 문제는 영화 300에 나오는게 '로마와 트로이'가 아니라 '스파르타와 페르시아'라는 것. 이 때문에 '라임을 위한 억지 문장'이라는 디스부터, 300영화에 나오는게 로마와 트로이인줄 알고 '니네 300 영화 개유명한데 그것도 모르냐'는 식의 헛소리와 '라임만 맞추면 되지 그딴 역사 뭐시기를 누가 신경 쓰냐'와 같은 별의 별 소리가 다 나온다. 대개 중론은 칸예가 역알못이라는 쪽. 펀치라인이기도 하다. 300명의 여자들과 성관계를 하는데 이때 언급하는 트로이는 미국 유명 콘돔 회사 trojans를 의미한다.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5 20:06:08에 나무위키 Yeezus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비슷한 맥락의 앨범으로 3년 이른 2010년에 나온 M.I.A.의 ΛΛ Λ Y Λ가 있는데 이저스와 똑같이 전작과 180도 달라진 인더스트리얼이 가미된 힙합을 시도했으나 퀄리티의 차이였는지 너무 시대를 앞선 시도였는지 서서히 재평가를 받고는 있지만 당대에는 칭찬보다 욕을 많이 먹고 묻히고 말았다. 사실 인더스트리얼 힙합/글리치 합은 2000년대 초부터 인디에서 (안티팝 컨소시움, 프리퓨즈 73) 알음알음 진행되어왔으나, 그야말로 마이너였다. 2010년대 들어 Death Grips 등에 의해 메인스트림화가 진행되었을 뿐이고, 그마저도 데스 그립스는 힙합과 일렉트로니카, 하드코어 펑크를 섞은 음악을 들려주고 있다.[2] 1,2,3,9번 트랙[3] A B
파일:RIAA 플래티넘3.png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
Platinum Certification
(3x Platinum)


미국 내 판매량 3,000,000 단위 이상


[4] 5,6,7,9번 트랙[5] A B
파일:RIAA 플래티넘5.png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
Platinum Certification
(5x Platinum)


미국 내 판매량 5,000,000 단위 이상


[6] 파일:external/hiphople.com/cc2d6f9688ec17b6ab86faae324fdda6.jpg[7] 영문위키에 표기된 판매량은 750,000장으로 나와있다. RIAA에서는 스트리밍 1500회당 1회 판매로 환산되기에 이러한 차이가 생긴다. 이 앨범의 실제 판매량만 본다면 “골드”에 해당하는 수치이다.[Gold] A B C
파일:RIAA 골드.png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
Gold Certification


미국 내 판매량 500,000 단위 이상


[Platinum]
파일:RIAA 플래티넘1.png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
Platinum Certification
(1x Platinum)


미국 내 판매량 1,000,000 단위 이상


[8] Carmen Roman, K. Nita ,John Morgan, Jessenia Pena, Ronnie Artis, Crystal Brun,
Sean Drew, Natalis Ruby Rubero, Lorraine Berry, Gloria Ryann, Timeka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