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G the1

덤프버전 :

분류

[ 펼치기 · 접기 ]
도급순위가 산정되는 민간 건설사의 브랜드
파일:래미안 로고.svg파일:힐스테이트 BI_상하.svg파일:자이 심볼.svg파일:더샵 BI_2020.svg파일:푸르지오 심볼(2019.3).svg
파일:롯데캐슬 BI_상하.svg파일:e편한세상 BI.svg파일:아이파크 BI_2021.svg파일:SK뷰 BI_2010.svg파일:포레나 BI.svg
파일:베르디움 BI(2019).svg파일:데시앙 로고.svg파일:디에트르 BI(1).png파일:코오롱하늘채 BI_2018.svg파일:중흥S-클래스 심볼.svg
파일:리슈빌 BI.png파일:한신더휴 리뉴얼 BI.png파일:센트레빌 BI_상하.svg파일:어울림 BI.svg파일:서희스타힐스로고.png
파일:풍경채현로고.png파일:우미 린 심볼.svg파일:동원로얄듀크 BI_상하.svg파일:사랑으로부영 BI(상하)_2015.svg파일:두산위브 BI.svg
파일:한라비발디 국문 BI(2012).svg파일:쌍용 더 플래티넘 BI.svg파일:스위첸 BI.svg파일:해링턴플레이스 심볼.svg파일:반도유보라 BI_상하.svg
파일:금강펜테리움 BI 심볼.png파일:신세계 빌리브.png파일:수자인 BI.png파일:에일린의 뜰 로고.png파일:양우내안에 BI.png
공기업의 브랜드
파일:안단테 BI.svg



파일:이지더원 BI.svg




1. 개요[편집]


EG the1(이지)라인건설과 EG건설(동양건설산업)의 공동 아파트 브랜드로, 주로 신도시와 택지지구에 분양 및 시공하고 있다.

구조를 상당히 잘 뽑는 브랜드로 알려져 있는데, 전용 84㎡ 기준 6m가 넘는 광폭 거실[1][2], 복도처럼 길고 선반이 마련된 대형 다용도실[3], 층별 세대창고[4] 호텔식 1층 로비[5] 등의 다양한 특화설계, 품목을 내세우고 있으며 이에 대한 수요자들의 반응이 매우 좋은 편이다. 또한 1군 건설사들조차 지방엔 거의 사용하지 않는 입면분할창을 전국 대부분의 단지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2017년 EG건설이 동양건설산업과 합병하고 EG건설이라는 이름이 공식적으로 사라지면서 브랜드에 붙은 ‘EG’의 의미가 사라진 셈이지만 여전히 “EG” the1으로 사용 중이다.

최근에는 라인건설이 EG the1 대신 동양건설산업의 파라곤 브랜드를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중이다.


2. 지역별 단지 현황[편집]


EG건설과 라인건설 구분 없이 EG the1(이지더원) 브랜드를 사용한 아파트만 기재하도록 하고, 파라곤 브랜드를 사용한 아파트는 해당 문서에 기재할 것.


2.1. 부산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부산정관지구 EG the1 1차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978세대2011년 11월
부산정관지구 EG the1 2차756세대2012년 11월
부산정관지구 EG the1 3차1,035세대2015년 3월
부산정관지구 EG the1 5차426세대2015년 11월
일광 EG the1 1차 오션포레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읍653세대2020년 4월
일광신도시 EG the1 2차 포레온786세대2022년 5월
일광신도시 EG the1 3차 메르센포레412세대
당감 EG the1 아너뷰[지역주택조합]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816세대미정


2.2. 광주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소촌동 스위트밸리 1차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동140세대2001년 3월
소촌동 스위트밸리 2차266세대2001년 10월
금호동 종원팰리스빌[6]광주광역시 서구 금호동1,600세대2002년 5월
금호동 EG스위트밸리270세대2003년 11월
소촌동 EG스위트밸리 3차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동372세대2004년 6월
금호동 이지더원광주광역시 서구 금호동106세대2006년 6월
수완지구 이지더원광주광역시 광산구 흑석동568세대2012년 8월
봉선 이지더원 2단지광주광역시 남구 봉선동[7]52세대2012년 11월
봉선 이지더원 3단지115세대2012년 11월
주월동 이지더원 1단지광주광역시 남구 주월동177세대2012년 12월
선운지구 EG the1 1단지광주광역시 광산구 선암동310세대2014년 5월
선운지구 EG the1 2단지378세대2014년 7월
선운지구 EG the1 3단지562세대2016년 3월
위파크 마륵공원[8]광주광역시 서구 금호동917세대2026년 1월 (예정)
위파크 더 센트럴[9]광주광역시 서구 풍암동695세대2026년 2월 (예정)
위파크 일곡공원광주광역시 북구 삼각동1,004세대2026년 6월 (예정)

2.3. 세종특별자치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가락마을 4단지 EG the1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305세대2014년 11월
도램마을 4단지 EG the1세종특별자치시 도담동159세대
가락마을 10단지 EG the1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900세대2015년 6월
호려울마을 4단지 EG the1 센트럴파크세종특별자치시 보람동649세대2017년 2월


2.4. 경기도[편집]



2.4.1. 고양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도래울 센트럴파크[LH][10]고양시 덕양구 도내동598세대2013년 12월

2.4.2. 김포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고창마을 EG the1김포시 장기동290세대2008년 4월
고창마을 이니스 the1315세대2008년 5월
김포마송 B3블록[LH]김포시 통진읍498세대2022년 11월

2.4.3. 남양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덕소5B구역[A]남양주시 와부읍529세대미정

2.4.4. 성남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봇들마을2단지 EG the1성남시 분당구 삼평동721세대2009년 3월

2.4.5. 시흥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시흥배곧신도시 EG the1 1차 더 퍼스트시흥시 배곧동840세대2017년 7월
시흥배곧신도시 EG the1 2차 에듀그린900세대2017년 10월

2.4.6. 양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양주 옥정 the1 파크빌리지양주시 옥정동930세대2023년 1월
양주 회천지구 A-10블록양주시 회정동898세대미정


2.4.7. 평택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평택 청북지구 EG the1평택시 청북읍513세대2016년 10월

2.4.8. 화성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능동 EG the1화성시 능동542세대2008년 5월
동탄 파크 EG the1화성시 영천동642세대2015년 1월
송산그린시티 EG the1 레이크뷰화성시 새솔동782세대2018년 1월
남수원 EG the1 파크뷰[지역주택조합]화성시 배양동1,014세대미정


2.5. 강원특별자치도[편집]



2.5.1. 원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원주기업도시 EG the1원주시 지정면1,430세대2019년 1월
원주기업도시 EG the1 더 그레이스776세대2020년 6월
원주기업도시 EG the1 3차1,516세대2024년 5월 (예정)
원주기업도시 EG the1 4차839세대미정

2.5.2. 춘천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춘천 우두 EG the1 시그니처춘천시 우두동916세대2021년 12월
춘천 우두지구 EG the1 2차402세대2023년 4월


2.6. 경상남도[편집]



2.6.1. 양산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양산 EG the1 1차 에듀파크양산시 물금읍415세대2016년 11월
양산 EG the1 2차 그랜드파크1,768세대2017년 4월
양산 EG the1 5차 프라임가든625세대2017년 7월
양산 EG the1 3차 리버포레양산시 동면1,083세대

2.6.2. 진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진주 초장지구 EG the1진주시 초전동543세대2018년 11월

2.6.3. 창원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부산신항만 EG the1 1단지창원시 진해구 용원동340세대2014년 10월
부산신항만 EG the1 2단지452세대


2.7. 경상북도[편집]



2.7.1. 김천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경북 김천혁신도시 EG the1김천시 율곡동486세대2016년 10월
김천삼락 LH[LH]김천시 교동410세대2018년 12월


2.8. 전라남도[편집]



2.8.1. 나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빛가람 EG the1나주시 빛가람동293세대2017년 5월


2.9. 충청남도[편집]



2.9.1. 아산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아산테크노밸리 EG the1 1단지아산시 둔포면471세대2015년 9월
아산테크노밸리 EG the1 2단지542세대2015년 9월
아산테크노밸리 EG the1 3단지589세대2016년 12월
아산테크노밸리 EG the1 4단지665세대
아산테크노밸리 EG the1 5단지534세대2017년 2월
아산테크노밸리 EG the1 6단지650세대
아산테크노밸리 EG the1 7단지422세대2017년 11월
아산테크노밸리 EG the1 8단지929세대2017년 12월
아산풍기 EG the1아산시 풍기동1,120세대2017년 8월
아산풍기 2차 EG the1182세대2018년 3월
아산테크노벨리 EG the1 6차아산시 둔포면822세대2023년 9월
천안아산역 EG the1[오피스텔]아산시 배방읍780실2024년 12월 (예정)
아산테크노밸리 EG the1 7차아산시 둔포면622세대미정
아산테크노밸리 EG the1 8차1,054세대미정
아산 배방 월천지구 EG the1아산시 배방읍581세대미정

2.9.2. 당진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석문국가산업단지 A4블록[LH]당진시 고대면200세대2022년 9월


2.9.3. 예산군[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내포신도시 EG the1 1차예산군 삽교읍892세대2017년 12월
내포신도시 EG the1 2차817세대2022년 9월
내포신도시 EG the1 3차954세대2024년 3월 (예정)


3. 외부 링크[편집]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4 08:42:06에 나무위키 EG the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참고로 전용 84㎡ 아파트의 평균 거실 폭은 4.5m이다.[2] 거실에 가벽을 설치해서 작은방을 하나 더 만들 수도 있는데(방 4개), 분양 계약때 선택할 수 있다.[3] 웬만한 아파트의 두배에 달하는 크기이다.[4] 세대창고는 보통 지하의 잉여 공간에 만들어놓는게 일반적인데, 이지더원은 현관문 앞 공용복도 쪽에 만들어서 접근성이 뛰어나다.[5] 1층 공동 현관의 층고가 매우 높고 출입구쪽을 유리로 마감해서 채광이 좋고 개방감있다.[지역주택조합] A B [6] (유)종원건설이 시행하고 (주)레이크건설, (주)바우건설과 공동 시공[7] 원래 1단지와 같은 주월동 소속이었으나, 2021년 경계조정으로 봉선동으로 편입되었다.[8] 호반건설, 해동건설과 공동 시공[9] 호반건설과 공동 시공[LH] A B C D [10] 반도건설과 공동 시공[A] [오피스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