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 가고시마현 사쓰마 지방 지진

덤프버전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지진
[ 펼치기 · 접기 ]
최근 발생한 주요 지진
국외지진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발생 시각 (UTC+10:00)규모진원최대 진도
2024년 02월 14일
21시 40분 21초
M 6.0미크로네시아 콜로니아 북북동쪽 172km 해역
쓰나미 여부}}} 쓰나미 미발령
예상 최고높이: m
실측 최고높이: m


1997년 가고시마현 사쓰마 지방 지진
파일:20240109_104127_1.jpg
1차 지진 정보(3월 26일)
파일:20240109_103821_1.jpg
2차 지진 정보(5월 13일)
발생일시
(UTC+9)
1997년 3월 26일 17시 31분 47.9초(1차)
1997년 5월 13일 14시 38분 27.5초(2차)
진앙지일본 가고시마현 사쓰마 지방
진원의 깊이12km(1차)
9km(2차)
규모Mj 6.6/ Mw 6.1(1차)
Mj 6.4/ Mw 6.1(2차)
최대 진도5강(1차)[1]
가고시마현 사쓰마초, 사쓰마센다이시, 아쿠네시
6약(2차)[2]
가고시마현 사쓰마센다이시
해일여부미발령
여진 횟수최대 여진 : M 5.7, 진도 5강
진도 1 이상 최소 550회
피해상황사망자 0명
부상자 111명
건물파손 73개 동[3]
피해총액 -달러
각 도도부현의 최대진도 목록(1차)
5+가고시마
4구마모토, 나가사키, 미야자키
3사가, 후쿠오카, 오이타
2야마구치, 에히메, 히로시마
1고치, 도쿠시마, 가가와, 시마네, 돗토리, 효고
각 도도부현의 최대진도 목록(2차)
6-가고시마
4구마모토, 미야자키
3나가사키, 후쿠오카, 오이타
2사가, 에히메
1야마구치, 히로시마, 돗토리, 효고
1. 개요
2.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지진 발생 당시를 기록한 영상
1997년 3월 26일 오후 5시 31분, 5월 13일 14시 38분에 걸쳐 가고시마현 사쓰마 지방에서 발생한 강진이다. 1차 강진의 규모는 6.6, 진도는 5강으로 측정되었고, 2차 강진의 규모는 6.4, 진도는 6약으로 측정되었다. 미 지질조사국(USGS)에서는 두 강진 모두 규모 6.1, 진도 VIII로 해석하고 있다.

2차 강진의 규모가 더 작고 감진 반경 역시 더욱 좁았으나, 진원지의 깊이가 얕아 진도가 더욱 높게 책정된 것으로 보인다.

평소 큰 지진이 잦지 않은 가고시마현 본토(토카라 열도 제외)에서 발생한 강진이며, 이후 20년만에 가고시마현 본토에서 진도 5강 이상을 관측하는 사례가 등장한다. 여진은 최소 550회에 걸쳐 발생했으며, 단층을 따라 여진이 발생한 모습을 지도로 확인 가능하다. 두 지진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단층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 두 지진은 각기 다른 단층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2. 둘러보기[편집]


문서가 존재하는 20세기 지진
[[틀:지진/19세기|

19세기
]]
>
20세기
[[틀:지진/2000년대|
>
2000년대
]]
[ ~1950년대 ]
발생일규모지진명
1906. 4. 18.
M8.3샌프란시스코 지진
1909. 6. 11.
M6.21909년 프로방스 지진
1920. 12. 16.
M8.71920년 간쑤성 대지진
1921. 3. 20.
M4.21921년 경주 지진
1923. 9. 1.
M8.31923년 관동대지진
1925. 12. 9.
M4.41925년 홍성 지진
1936. 7. 4.
M5.3지리산 쌍계사 지진
1939. 1. 24.
M8.31939년 치얀 지진
1939. 12. 26.
M7.8에르진잔 대지진
1944. 12. 7.
M7.91944년 도난카이 대지진
1944. 12. 19.
M6.8조선-중국 국경 지진
1946. 4. 1.
M8.61946년 알류샨 열도 지진
1946. 12. 21.
M8.01946년 난카이 대지진
1948. 6. 28.
M7.11948년 후쿠이 지진
1950. 8. 15.
M8.71950년 아삼 지진
1952. 3. 19.
M6.41952년 강서 지진
1952. 4. 24.
M5.61952년 은천 지진
1952. 11. 5.
M9.0세베로쿠릴스크 지진
1959. 5. 4.
M8.31959년 캄차카 지진
[ 1960년대~ ]
발생일규모지진명
1960. 2. 29.
M5.81960년 아가디르 지진
1960. 5. 2.
M9.5칠레 대지진
1960. 10. 8.
M6.81960년 길주 해역 지진
1963. 9. 6.
M6.31963년 영덕-포항 해역 지진
1963. 9. 7.
M6.6
1964. 3. 27.
M9.2알래스카 지진
1964. 6. 16.
M7.51964년 니가타 지진
1965. 8. 3.
~1970. 6. 5.
M6.4마츠시로 군발지진
1973. 9. 29.
M7.81973년 나진 해역 지진
1975. 2. 4.
M7.01975년 하이청 지진
1975. 6. 29.
M7.31975년 속초 해역 지진
1976. 7. 27.
M7.81976년 탕산 대지진
1976. 7. 28.
M7.4
1976. 8. 16.
M8.01976년 필리핀 모로 만 지진
1978. 9. 16.
M5.2속리산 지진
1978. 10. 7.
M5.0홍성 지진
1980. 1. 8.
M5.3의주 지진
1982. 2. 14.
M5.61982년 사리원 지진
1983. 5. 26.
M8.11983년 아키타 지진
1985. 9. 19.
M8.0멕시코시티 대지진
1988. 12. 7.
M6.8아르메니아 대지진
1989. 10. 17.
M7.2샌프란시스코 지진
1990. 6. 21.
M7.41990년 이란 지진
1990. 7. 16.
M7.81990년 필리핀 루손 지진
1992. 4. 13.
M5.81992년 루르몬트 지진
1993. 7. 12.
M7.81993년 홋카이도 해역 지진
1994. 4. 22.
M5.31994년 울산 해역 지진
1994. 7. 26.
M5.91994년 홍도 해역 지진
1995. 1. 17.
M7.3효고현 남부 지진
1996. 12. 13.
M5.61996년 영월 지진
1997. 6. 26.
M5.01997년 경주 지진
1999. 8. 17.
M7.61999년 이즈미트 대지진
1999. 9. 21.
M7.7921 대지진
2000. 6. 17.
~21.
M6.5아이슬란드 지진
2000. 6. 6.
~9. 28.
~ M6.5이즈 제도 군발지진(2000년 7월)A
2000. 10. 6.
M7.32000년 돗토리 지진
A:해당 군발지진의 시작일은 위의 아이슬란드 지진보다 먼저이지만, 가장 큰 지진인 이 문서에 집중적으로 서술된 규모 6.5의 지진은 2000년 7월 1일에 발생함을 고려하여 2000년 7월 1일 지진을 본진으로 분류하여 위의 문서인 아이슬란드 지진 뒤에 기록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2-11 21:34:58에 나무위키 1997년 가고시마현 사쓰마 지방 지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계측진도 5.4[2] 계측진도 5.9[3] 전괴 8개 동, 반괴 65개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