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3년 아키타 지진

덤프버전 :


지진
[ 펼치기 · 접기 ]
최근 발생한 주요 지진
국외지진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발생 시각 (UTC+10:00)규모진원최대 진도
2024년 02월 14일
21시 40분 21초
M 6.0미크로네시아 콜로니아 북북동쪽 172km 해역
쓰나미 여부}}} 쓰나미 미발령
예상 최고높이: m
실측 최고높이: m


1983년 동해 중부 지진
昭和58年日本海中部地震
긴급지진속보
발령지역
미발령[1]
발생일시
(GMT+9)
1983년 5월 26일 11시 59분 27초
진앙일본 아키타현 노시로시 서부 80km 해역
규모Mj 7.7 / Mw 7.7 / Mt 8.1
진원깊이14km
최대진도5[2]
아키타현[3], 아오모리현[4]
해일대해일경보
14m 이상 : 아키타현 야마모토군 미네하마무라
(현 야마모토군 핫포쵸)
4.2m[5] : 강원도 삼척시 임원항
여진최대 여진: M 7.1, 진도 4
일본피해사망자104명
부상자100명
피해액1482억 엔
한국피해
해일 한정
사망자1명
실종자2명
부상자2명
이재민405명
피해액3억 7천만원
각 도도부현의 최대진도 목록
5아키타, 아오모리
4홋카이도, 이와테, 야마가타
3미야기, 후쿠시마, 니가타, 이시카와
2도치기
1이바라키, 사이타마, 치바, 가나가와
시즈오카, 나가노, 후쿠이, 효고, 돗토리

1. 개요
2. 당시 기록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일본 아키타현 서쪽 앞바다 80km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이 지진으로 인해 일본에서 104명의 막대한 사망자가 발생했다. 또한 국내에서 광복 이후 해일로 인한 직간접 사망자가 처음 발생하기도 한 지진이며 당시 발생한 해일이 강원도 동해안으로 몰려와 당시 항구에 있던 주민 3명이 죽거나 실종되었다.[6] 규모 7.7에 14m나 되는 쓰나미가 관측된 것은 일본 서부 해역에 발달되어있는 작은 해구가 역단층 성향을 띄고 있어 수직으로 움직였기 때문이다.

피해자가 많았던 이유 중 하나로 동해에는 해일은 없다라고 하는 속설이 있었던 것이 있어보니 피난이 늦어진 것도 있었다.

2. 당시 기록[편집]



당시 기사
당시 삼척항 사진

지역별 최대파고
삼척군 임원항4.2m
동해시 묵호항3.9m
속초시 속초항1.56m
울릉도1.26m
포항시0.62m
당시에 해일관측 시설이 없었기 때문에
주민 증언과 피해 정도를 토대로 기상청에서 예측한 결과


3. 둘러보기[편집]


문서가 존재하는 20세기 지진
[[틀:지진/19세기|

19세기
]]
>
20세기
[[틀:지진/2000년대|
>
2000년대
]]
[ ~1950년대 ]
발생일규모지진명
1906. 4. 18.
M8.3샌프란시스코 지진
1909. 6. 11.
M6.21909년 프로방스 지진
1920. 12. 16.
M8.71920년 간쑤성 대지진
1921. 3. 20.
M4.21921년 경주 지진
1923. 9. 1.
M8.31923년 관동대지진
1925. 12. 9.
M4.41925년 홍성 지진
1936. 7. 4.
M5.3지리산 쌍계사 지진
1939. 1. 24.
M8.31939년 치얀 지진
1939. 12. 26.
M7.8에르진잔 대지진
1944. 12. 7.
M7.91944년 도난카이 대지진
1944. 12. 19.
M6.8조선-중국 국경 지진
1946. 4. 1.
M8.61946년 알류샨 열도 지진
1946. 12. 21.
M8.01946년 난카이 대지진
1948. 6. 28.
M7.11948년 후쿠이 지진
1950. 8. 15.
M8.71950년 아삼 지진
1952. 3. 19.
M6.41952년 강서 지진
1952. 4. 24.
M5.61952년 은천 지진
1952. 11. 5.
M9.0세베로쿠릴스크 지진
1959. 5. 4.
M8.31959년 캄차카 지진
[ 1960년대~ ]
발생일규모지진명
1960. 2. 29.
M5.81960년 아가디르 지진
1960. 5. 2.
M9.5칠레 대지진
1960. 10. 8.
M6.81960년 길주 해역 지진
1963. 9. 6.
M6.31963년 영덕-포항 해역 지진
1963. 9. 7.
M6.6
1964. 3. 27.
M9.2알래스카 지진
1964. 6. 16.
M7.51964년 니가타 지진
1965. 8. 3.
~1970. 6. 5.
M6.4마츠시로 군발지진
1973. 9. 29.
M7.81973년 나진 해역 지진
1975. 2. 4.
M7.01975년 하이청 지진
1975. 6. 29.
M7.31975년 속초 해역 지진
1976. 7. 27.
M7.81976년 탕산 대지진
1976. 7. 28.
M7.4
1976. 8. 16.
M8.01976년 필리핀 모로 만 지진
1978. 9. 16.
M5.2속리산 지진
1978. 10. 7.
M5.0홍성 지진
1980. 1. 8.
M5.3의주 지진
1982. 2. 14.
M5.61982년 사리원 지진
1983. 5. 26.
M8.11983년 아키타 지진
1985. 9. 19.
M8.0멕시코시티 대지진
1988. 12. 7.
M6.8아르메니아 대지진
1989. 10. 17.
M7.2샌프란시스코 지진
1990. 6. 21.
M7.41990년 이란 지진
1990. 7. 16.
M7.81990년 필리핀 루손 지진
1992. 4. 13.
M5.81992년 루르몬트 지진
1993. 7. 12.
M7.81993년 홋카이도 해역 지진
1994. 4. 22.
M5.31994년 울산 해역 지진
1994. 7. 26.
M5.91994년 홍도 해역 지진
1995. 1. 17.
M7.3효고현 남부 지진
1996. 12. 13.
M5.61996년 영월 지진
1997. 6. 26.
M5.01997년 경주 지진
1999. 8. 17.
M7.61999년 이즈미트 대지진
1999. 9. 21.
M7.7921 대지진
2000. 6. 17.
~21.
M6.5아이슬란드 지진
2000. 6. 6.
~9. 28.
~ M6.5이즈 제도 군발지진(2000년 7월)A
2000. 10. 6.
M7.32000년 돗토리 지진
A:해당 군발지진의 시작일은 위의 아이슬란드 지진보다 먼저이지만, 가장 큰 지진인 이 문서에 집중적으로 서술된 규모 6.5의 지진은 2000년 7월 1일에 발생함을 고려하여 2000년 7월 1일 지진을 본진으로 분류하여 위의 문서인 아이슬란드 지진 뒤에 기록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20:59:15에 나무위키 1983년 아키타 지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당시에는 긴급지진속보가 존재하지 않았다. 긴급지진속보가 신설된 것은 1983년 아키타 지진이 발생한 해로부터 무려 24년 후인 2007년 10월 1일이다. 만일 발령되었다면 홋카이도 도난 지방, 아키타현, 야마가타현, 아오모리현, 이와테현에 내려졌을 것이다.[2] 이때는 긴급지진속보와 함께 진도 5,6의 강/약 구분도 없었다. 진도 5, 6의 강/약 구분이 추가된 것은 11년이나 지난 1996년이다.[3] 아키타시[4] 니시쓰가루군 후카우라마치, 무츠시[5] 김민규, 최인길 and 강금석. (2010). 경험자료에 의한 동해안의 지진해일 재해도 평가.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14(4), 17-22.[6] 해일이 상륙한 임원항에서는 무려 4m의 거대해일이 관측되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