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로시마현 제7구

덤프버전 :


주고쿠 지방 국회의원
[ 중의원 의원 ]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히로시마현 제7구>
広島県第7区
파일:shuinsen_Hiroshima7.svg
선거인 수383,772명 (2020)
상위 도도부현히로시마현
하위 행정구역후쿠야마시
국회의원
고바야시 후미아키




1. 개요[편집]


2022년까지 히로시마현후쿠야마시를 관할했던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주고쿠 지방의 선거구들이 대부분 그렇듯, 이 곳도 자민당 강세 지역이며, 미야자와 기이치 전 총리의 지역구였다.

미야자와 총리 은퇴 후 조카인 미야자와 요이치에게 물려줬는데 45회 총선에서 민주당에게 헌납했다. 미야자와 가문은 히로시마에서 백 년 이상 정치를 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1]

46회 총선에서 사카모토 다이스케일본 유신회 소속으로 이 선거구에서 비례대표 당선되었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 소속 고바야시 후미아키. 청년 정치인이지만 흙수저는 아니고 지역에서 큰 기업[2]을 하는 집안의 아들이다.[3]

2022년에 공직선거법 개정안(일명 10증10감법)이 통과되면서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부터 히로시마현 제6구로 명칭이 바뀌어 폐지될 예정이다.


2. 역대 국회의원[편집]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3.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히로시마현 제7구
후쿠야마시, 누마쿠마군, 후카야스군, 아시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미야자와 기이치
(宮澤喜一)
95,0451위

47.33%당선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야나기다 미노루
(柳田稔)
69,6032위

34.66%낙선
파일:신사회당로고.jpg다카하시 신사쿠
(高橋晋作)
21,2403위

10.58%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시미즈 마츠타로
(清水松太郎)
14,9154위

7.43%낙선
유효표 수230,703투표율
58.64%
선거인 수348,738

기존 중선거구였던 히로시마 3구가 소선거구제 개편에 따라 분리되면서 자민당의 당 내 거물 중 한 명인 미야자와 기이치 전 총리가 이 선거구를 선택했다. 본인은 도쿄 태생이지만 본적지로 본인의 정치적 근거지가 된 후쿠야마시가 이 선거구로 포함되었기 때문.

정권교체를 노리는 신진당에서는 민사당 출신으로 舊 히로시마 3구에서 함께 경쟁했던 야니기다 미노루 의원을 공천했다. 다만 신진당에서 선거 개혁 주장의 일환으로 일부 예외를 제외하곤 비례대표 중복 입후보를 허용하지 않으면서 소선거구에만 도전하게 됐다.

전 총리 출신의 거물이 있는 선거구니만큼 자민당이 아무래도 우세한 선거구였지만, 미야자와 전 총리의 총리 시절 이미지가 썩 좋은 편은 아니었고 관료 출신이라 그런지 지역구 관리를 잘하는 편도 아니라 이 점이 야당으로서는 공격 포인트가 되었다.

선거 결과, 자민당의 미야자와 기이치 후보가 47%를 득표해 신진당의 야니기다 미노루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어 11선 고지에 올랐다. 전반적으로 신진당 돌풍이 기대했던만큼의 수준이 아니었고, 신사회당 후보에게 비자민-비공산 야권표가 10%나 분열된 영향으로 미야자와 전 총리의 압승으로 선거가 끝난 것.

선거 이후 미야자와 전 총리는 오부치 게이조 총리의 요청으로 1998년 대장대신을 맡게 되어 각료로 복귀했고, 낙선한 야니기다 후보는 참의원 쪽으로 방향을 튼 뒤 1998년 참원선에서 당선되어 전업하게 되었다.

3.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히로시마현 제7구
{{{#fff
후쿠야마시, 누마쿠마군, 후카야스군, 아시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미야자와 요이치
(宮澤洋一)
112,1451위

55.68%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야마다 도시마사
(山田敏雅)
68,5002위

34.01%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모리카와 미키에
(森川美紀恵)
20,7653위

10.31%낙선
유효표 수230,854투표율
선거인 수

기존 소선거구를 지키던 자민당의 미야자와 기이치 재무대신이 비례 주고쿠 블럭으로 이동하는 대신 조카이자 의원 비서를 지낸 미야자와 요이치 전 총리비서관이 그 소선거구를 물려받게 되었다. 관료 출신인 백부와 마찬가지로 미야자와 요이치 역시 대장성 관료를 지낸 관료 출신 인사다.

1997년 해산한 신진당의 뒤를 이어 제1야당이 된 민주당에서도 관료 출신 후보로 맞불을 놓았는데, 후쿠야마시 출신으로 통상산업성에서 관료를 지낸 야마다 도시마사가 공천을 받았다.

3.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히로시마현 제7구
후쿠야마시, 누마쿠마군, 후카야스군, 아시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미야자와 요이치90,487표1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45.69%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와다 타카시73,252표2위

36.99%비례당선
야마다 도시마사23,185표3위

[[무소속|
무소속
]]
11.71%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모리카와 미키에11,100표4위

5.69%낙선
유효표 수230,854표투표율
선거인 수


3.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히로시마현 제7구
후쿠야마시, 누마쿠마군, 후카야스군, 아시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미야자와 요이치122,465표1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50.83%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와다 타카시104,009표2위

43.71%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모리카와 미키에14,444표3위

6.00%낙선
유효표 수264,330표투표율
선거인 수


3.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히로시마현 제7구
후쿠야마시, 누마쿠마군, 후카야스군, 아시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와다 타카시133,871표1위

53.75%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미야자와 요이치111,321표2위

44.69%낙선
파일:행복실현당 로고.svg우에마츠 미츠오3,879표3위

[[행복실현당|
행복실현당
]]
1.56%낙선
유효표 수249,071표투표율
67.86%
선거인 수347,000인


3.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히로시마현 제7구
후쿠야마시, 누마쿠마군, 후카야스군, 아시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고바야시 후미아키93,491표1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47.52%당선[공]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와다 타카시52,543표2위
26.71%낙선[4]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사카모토 다이스케38,919표3위
19.78%비례당선[5]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카미하라 타쿠시11,777표4위
5.99%낙선
유효표 수264,330표투표율
53.49%
선거인 수376,742인


3.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히로시마현 제7구
후쿠야마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고바야시 후미아키101,809표1위
[공]58.24%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무라타 쿄코40,000표2위
22.88%낙선
파일:차세대당_투명.png사카모토 다이스케18,186표3위
10.4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고하마 이치키14,811표4위
8.47%낙선
유효표 수179,448표투표율
47.51%
선거인 수377,412인

3.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히로시마현 제7구
후쿠야마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고바야시 후미아키113,2391위
[공]77.96%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시게무라 코지32,0112위
22.04%낙선
합계유효표 수145,250투표율
45.73%
유권자 수328,214

3.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히로시마현 제7구
후쿠야마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고바야시 후미아키123,396표1위
66.4%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사토 히로노리45,520표2위
24.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무라이 아케미11,580표3위
6.2%낙선
하시모토 가요5,207표4위
2.8%낙선
총 선거인수382,135인투표율
49.35%
유효표185,703표
[1] 미야자와 기이치는 "세계의 미야자와(世界の宮澤)"를 자칭했지만, 정작 지역구 주민들의 요구 사항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태도였다. 해당 지역구 주변의 유력 정치인들은 지역구의 요구 사항을 반영해서 도로망 정비를 했지만, 후쿠야마시는 도로망 정비가 지지부진해서 그 영향이 현재까지 남아있다보니 지역구에서의 평판이 좋지 못했다. 조카에게 지역구를 물려준 이후에도 평판이 이전과 다를게 없다보니 비례부활을 두 번씩이나 허용했고, 결국 45회 총선거에서 민주당 돌풍에 휩쓸리면서 낙선이라는 결과를 초래했다.[2] 어망(漁網) 및 각종 망(網)등을 제조하는 업체이다.[3] 현재 회사 경영은 친형인 고바야시 히로아키(小林宏明)가 맡고 있다. 그리고, 조부 고바야시 마사오(小林政夫)는 1950년부터 1956년까지 참의원의원(전국구)을 지냈다.[공] A B C 추천[4] 추천[5]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