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성군/정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횡성군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홍천군·횡성군·영월군·평창군




1. 선거구 정보
2. 개요
3. 역대 선거 결과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횡성군 CI.svg 강원도 횡성군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홍천군·횡성군·영월군·평창군횡성군 전역 + 홍천군, 영월군, 평창군 전역
도의원횡성군 제1선거구횡성읍, 공근면, 서원면
횡성군 제2선거구우천면, 안흥면, 둔내면, 갑천면, 청일면, 강림면

2. 개요[편집]


13~14대 총선에서는 구 원주군(현 원주시 읍면 지역)과 한 선거구를 이뤘고, 15대 총선부터는 홍천군과 한 선거구를 구성했다. 그러나 인구가 적은 탓인지 지금까지 홍천군 출신이 국회의원에 당선된 케이스는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유재규 전 의원이 유일하다.

강원도 지역의 농촌이 다 그렇듯이 대체로 보수 정당 후보나 보수 성향 무소속 후보들이 당선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대선에서는 노무현 대통령의 손을 들어주기도 했으며, 유재규나 조일현 등 민주당 계열 정당이 국회의원에 당선되며 약간의 이변을 내기도 한다. 특히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전국적인 민주당 강세에 힘입어 도지사(이광재) - 군수 - 도의원 전부 민주당이 차지한 적도 있었다.[1]

이곳은 2016년까지 강원도 내 군 지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홍천군과 함께 선거구를 유지하고 있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헌법재판소가 인구 기준을 3:1에서 2:1로 결정을 내림에 따라 선거구 하한선이 14만명으로 상승함에 따라 홍천-횡성 선거구가 분리되었다. 홍천군은 위쪽의 철원-화천-양구-인제와 합쳐지고 홍천군은 태백시·홍천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으로 합쳐졌다. 기존 태백-영월-평창-정선에서 횡성을 얹은 셈이다.[2] 이로 인해 기존 횡성의 입장을 대변해 줄 후보가 사라짐에 따라, 선거구 개편의 가장 큰 희생양이 되고 말았다.

2002년 대선과 지방선거 도지사 부문을 모두 통틀어서 당선자 100% 적중 지역이다. 그러나 2014년 제6회 지방선거 이후로는 100% 빗나가는 지역이 되었다(...). 당시 지방선거에서는 새누리당 최흥집 후보가 새정치민주연합 최문순 도지사에게 앞섰으면서 처음으로 기록이 깨졌고, 2년 뒤 20대 총선에서는 무소속 김진선 전 도지사가 1위, 새누리당 염동열 후보가 2위, 더불어민주당 장승호 후보가 3위를 기록했고 비례표에선 새누리당이 47.62%, 더불어민주당 18.82%, 국민의당 17.76%로 보수계가 압도적으로 승리했으나 전국 결과는 더불어민주당의 승리였다. 그리고 박근혜 탄핵이 있은 뒤 궐위에 의해 치러진 조기 대선에선 홍준표 후보가 35.59%로 1위를 차지했고, 문재인 후보는 30.16%에 그쳐 5% 이상의 차이가 나면서 3연속 결과가 빗나가게 되었다.

<13대 대선>
(전국) 노태우 36.6%, 김영삼 28.0%, 김대중 27.0%, 김종필 8.1%
(강원) 노태우 59.3%, 김영삼 26.1%, 김대중 8.8%, 김종필 5.4%
(횡성) 노태우 59.7%, 김영삼 24.8%, 김대중 10.8%, 김종필 4.3%

사실 횡성의 대선 투표성향은 설명하기 힘든 측면이 많다. 제6공화국 첫 직선제 선거에서는 특이점 없이 강원도 평균과 비슷한 투표성향을 보여주었다.

<14대 대선>
(전국) 김영삼 42.0%, 김대중 33.8%, 정주영 16.3%, 박찬종 6.4%
(강원) 김영삼 41.5%, 김대중 15.5%, 정주영 34.1%, 박찬종 6.8%
(횡성) 김영삼 32.1%, 김대중 17.8%, 정주영 41.7%, 박찬종 5.8%

14대 대선에서는 강원도 전체로 보면 도 출신 후보인 정주영 후보의 득표가 높게 나왔다. 그러나 정주영 후보가 이북 통천군 출신이라 홍천군에 연고가 없고 또 대선 8개월 전에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춘천시, 원주시, 동해시, 홍천군과 달리 횡성은 정주영의 국민당이 아닌 민자당 후보를 당선시켰다. 왜 횡성에서 유달리 정주영 후보의 지지율이 높았는지 확실한 이유를 추론하긴 어렵지만, 정주영 후보의 고향이 강원도[3]라는 점이 작용하지 않았나 싶다.

<15대 대선>
(전국) 김대중 40.3%, 이회창 38.7%, 이인제 19.2%
(강원) 김대중 23.8%, 이회창 43.2%, 이인제 30.9%
(횡성) 김대중 26.7%, 이회창 29.2%, 이인제 41.6%

15대 대선에서는 14대 대선과 마찬가지로 제3지대 후보의 지지율이 매우 높게 나왔다. 이인제 후보는 도 평균보다 10.7% 높은 득표율을 보여, 도 평균보다 7.6% 앞선 정주영 후보보다도 더 좋은 성과를 거뒀다. 김대중 후보도 강원도 평균득표율 보다 3%정도 앞서며 선전했고, 반면 이회창 후보는 참패에 가까운 성적표를 받았다.

<16대 대선>
(전국) 노무현 48.9%, 이회창 46.6%, 권영길 3.9%
(강원) 노무현 41.5%, 이회창 52.5%, 권영길 5.1%
(횡성) 노무현 48.6%, 이회창 43.1%, 권영길 6.9%

30년만에 양자대결로 치러진 16대 대선에서 횡성은 노무현 후보의 손을 들어줬다. 노무현-이회창 격차는 5.5%로 전국 평균인 2.3%를 상회했고, 진보후보인 권영길 후보도 엄청난 선전을 거뒀다. 강원도에서 노무현 후보가 앞선 지역은 햇볕정책으로 인한 대북사업에 기대를 품었던 접경 지역이 대부분이나[4], 횡성은 여기에 속하지 않는다. 인근 영월과 평창도 이회창 후보가 승리했고, 11사단이 있는 홍천에서도 초접전이었는데 유독 홍천군만 튀는 결과가 나왔다.

<17대 대선>
(전국) 이명박 48.7%, 정동영 26.1%, 이회창 15.1%
(강원) 이명박 52.0%, 정동영 18.9%, 이회창 17.6%
(횡성) 이명박 48.6%, 정동영 22.5%, 이회창 16.4%

17대 대선에서는 강원도 평균 득표율에 더 가까워졌다. 즉, 횡성 지역의 보수화가 진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회창 후보는 이번에도 강원도 평균에 못 미치는 득표를 했으나, 전국 평균보다는 많은 지지를 받았다.

<18대 대선>
(전국) 박근혜 51.6%, 문재인 48.0%
(강원) 박근혜 62.0%, 문재인 37.5%
(횡성) 박근혜 64.8%, 문재인 34.5%

횡성은 전국 평균은 물론이고, 강원도 평균보다도 더 높은 지지를 박근혜 후보에게 보냈다. 도 내 평균보다 10%나 낮은 득표를 했던 16대 대선의 이회창 후보와 비교하면 상전벽해다. 세 가지 이유를 꼽자면 1) 평창올림픽에서 남북공동개최 등 도민의 의사에 반하는 정책을 제시한 민주당에 대한 반감이 있고, 2) 지역이 고령화되며, 3) 농업 개방이 이미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되어 대선의 주요 이슈가 되지 못하고, 결국 자유 무역을 강력히 지지하는 새누리당에게 악재가 하나 제거되었다.

<19대 대선>
(전국) 문재인 41.1%, 홍준표 24.0%, 안철수 21.4%, 유승민 6.8%, 심상정 6.2%
(강원) 문재인 34.2%, 홍준표 30.0%, 안철수 21.8%, 유승민 6.9%, 심상정 6.6%
(횡성) 문재인 30.2%, 홍준표 35.6%, 안철수 22.1%, 유승민 5.7%, 심상정 5.5%

탄핵의 여파로 강원도에서도 63년 윤보선 후보 이후 무려 54년만에 첫 민주당계 정당이 승리를 거두었으나 횡성만큼은 예외였다. 홍준표 후보는 도내 평균보다 5.6% 더 앞서며 도내 평균보다 2.8% 더 앞선 박근혜 후보보다도 선전했다. 전국에서 6.2%를 득표한 심상정 후보의 횡성 지지율이 3.9%를 득표한 권영길 후보의 지지율보다도 낮은 것도 특이하다. (권영길 6.9%, 심상정 5.5%) 민주노총이나 전농등 조직표에 기대했던 권영길 후보와 달리 심상정 투표는 세대투표, 특히 20대 여성의 지지에 의존했기 때문에, NL에 가까운 전농 조직이 심상정에게 지지를 보내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횡성군 CI.svg 역대 횡성군수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62010
무소속한나라당한나라당민주당
조태진한규호고석용
201420182020 재보궐2022
새누리당무소속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
한규호[5]장신상김명기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무소속|
무소속
]]
조태진 54.20%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유재규 45.79%
1998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조태진 45.25%

2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김세기 34.02%
3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유재규 20.72%
2002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조태진 43.97%

2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고석용 39.28%
3위:
[[무소속|
무소속
]]
정우철 16.73%
2006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한규호 43.56%

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고석용 38.01%
3위:
[[무소속|
무소속
]]
전인택 18.41%
2010년1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고석용 51.71%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한규호 48.28%
2014년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한규호 61.15%

2위:
[[무소속|
무소속
]]
김명기 30.83%
2018년1위:
[[무소속|
무소속
]]
한규호 47.03%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장신상 40.93%
3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명기 12.03%
2020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장신상 52.28%

2위: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박명서 47.71%
2022년1위: 김명기 50.35%
2위: 장신상 48.54%
[1] 교육감까지 포섭한다면 진보성향의 민병희 교육감도 있다. 그러나 민주당 소속의 고석용 前 군수는 선거법 위반으로 다음 선거에서 공천을 받는 데 실패했다.[2] 사족으로 이광재 전 도지사도 해당 선거구 출신이다.[3] 통천군은 북한 강원도에 속했고, 분단 이전에도 강원도였다. 또한 통일 이슈에 민감한 지역 + 강원도 인물론이라는 점에서 지역 정서가 작용했으리라 보인다.[4] 접경 지역에서는 이회창 후보가 아들의 병역 문제로 추가적인 손해를 보았다.[5] 19.6.13 군수직 상실(뇌물수수)


3.1. 지선[편집]


8회 지선 횡성군 개표 결과
강원도지사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이광재김진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1,750
(43.25%)
15,412
(56.74%)
- 3,662
(▼13.48)
27,750
(66.42%)
횡성읍46.90%53.09%▼6.1962.70
우천면38.29%61.70%▼23.4163.25
안흥면37.33%62.66%▼25.3266.19
둔내면43.23%56.76%▼13.5262.59
갑천면34.06%65.93%▼31.8665.03
청일면36.79%63.20%▼26.4164.64
공근면43.03%56.96%▼13.9268.67
서원면42.11%57.88%▼15.7768.05
강림면37.85%62.14%▼24.2867.50
후보이광재김진태격차
거소투표40.42%59.57%▼19.14
관외사전투표47.98%52.01%▼4.02
국회의원
선거구
이광재김진태격차투표율
홍천·횡성·
영월·평창
[6]
44.95%55.04%▼10.0962.20
후보이광재김진태격차투표율
읍 지역[A]46.90%53.09%▼6.1962.70
면 지역[B]39.77%60.22%▼20.4565.19
횡성군수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장신상김명기(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3,169
(48.54%)
13,659
(50.35%)
- 490
(▼1.80)
27,752
(66.42%)
횡성읍51.33%47.70%△3.6262.76
우천면39.17%59.83%▼20.6663.22
안흥면45.87%53.45%▼7.5866.15
둔내면48.16%51.09%▼2.9262.57
갑천면42.77%55.74%▼12.9764.99
청일면42.70%54.77%▼12.0764.69
공근면56.45%42.79%△13.6568.61
서원면47.48%50.94%▼3.4668.05
강림면45.73%53.76%▼8.0267.50
후보장신상김명기격차
거소투표50.00%47.82%△2.17[7]
관외사전투표49.19%48.88%△0.31[8]

3.2. 대선[편집]


20대 대선 횡성군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2,557
(38.82%)
18,546
(57.34%)
- 5,989
(▼18.52)
32,625
(78.26%)
횡성읍41.59%54.34%▼12.7573.85
우천면35.98%59.56%▼23.5876.40
안흥면36.94%60.23%▼23.2979.20
둔내면37.67%58.40%▼20.7376.40
갑천면33.52%62.92%▼29.4077.03
청일면33.19%63.38%▼30.1975.88
공근면34.90%61.37%▼26.4778.67
서원면35.72%61.07%▼25.3479.38
강림면37.65%60.21%▼22.5680.35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38.00%60.00%▼22.00
관외사전투표41.51%54.36%▼12.86
재외투표72.47%25.68%△46.79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홍천·횡성·
영월·평창
[9]
39.10%56.97%▼17.8775.42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읍 지역[A]41.59%54.34%▼12.7573.85
면 지역[B]35.93%60.47%▼24.5577.56

3.3. 총선[편집]



3.3.1. 홍천군·원성군[편집]



3.3.2. 홍천군·홍천군[편집]



3.3.3. 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편집]



3.3.4. 홍천군·횡성군·영월군·평창군[편집]



21대 총선 횡성군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홍천군·횡성군·영월군·평창군)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무소속격차투표율
후보원경환유상범조일현(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982
(38.89%)
14,156
(50.13%)
2,715
(9.61%)
- 3,174
(▼11.24)
28,911
(69.86%)
[ 펼치기 · 접기 ]
횡성읍40.30%47.82%10.37%▼7.5266.37
우천면37.29%52.18%9.39%▼14.8966.17
안흥면37.03%54.51%7.31%▼17.4869.46
둔내면36.64%54.27%7.90%▼17.6366.98
갑천면31.56%58.35%8.83%▼26.8070.64
청일면33.97%56.19%8.83%▼22.2268.22
공근면36.19%48.42%13.78%▼12.2370.44
서원면37.79%49.73%10.65%▼11.9473.03
강림면32.76%57.73%8.64%▼24.9871.86
후보원경환유상범조일현격차
거소·선상투표41.66%40.00%13.33%△1.67
관외사전투표50.63%40.55%7.53%△10.08
재외투표61.53%38.46%0△23.08

비례대표 선거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11,420
(42.14%)
7,351
(27.12%)
2,339
(8.63%)
1,283
(4.73%)
1,003
(3.70%)
+ 4,069
(△15.01)
28,909
(69.82%)
[ 펼치기 · 접기 ]
횡성읍40.68%27.86%9.44%4.78%3.77%△12.8266.36
우천면45.55%25.81%7.58%3.30%3.26%△19.7466.15
안흥면43.89%24.90%8.44%3.82%3.57%△18.9969.43
둔내면44.31%25.52%7.93%4.85%3.85%△18.7966.98
갑천면50.72%23.37%6.58%4.41%2.82%△27.3570.64
청일면44.27%24.66%8.00%4.25%3.30%△19.6068.22
공근면40.93%29.77%6.74%4.94%2.23%△11.1570.47
서원면41.42%29.13%7.98%3.27%3.27%△12.2973.03
강림면49.01%22.00%7.56%4.91%4.02%△27.0171.86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32.75%29.31%3.44%10.34%1.72%△3.45
관외사전투표34.01%30.93%11.16%7.10%5.64%△3.08
재외투표25.00%37.50%12.50%6.25%18.75%▼12.50
[6] 지역구 국회의원 : 유상범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A] A B 횡성읍[B] A B 우천면, 안흥면, 둔내면, 갑천면, 청일면, 공근면, 서원면, 강림면[7]1표차였다.[8]8표차였다.[9] 지역구 국회의원: 유상범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홍천군 문서의 r54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홍천군 문서의 r54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2:02:30에 나무위키 횡성군/정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