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군/정치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정선군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동해시·태백시·삼척시·정선군




1. 선거구 정보
2. 개요
2.1. 강원도지사 선거 100% 적중지역
3. 역대 선거 결과
3.1. 지선
3.2. 대선
3.3. 총선
3.3.1. 정선군
3.3.2. 태백시·정선군
3.3.3.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정선군 CI.svg 강원도 정선군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동해시·태백시·삼척시·정선군정선군 전역 + 동해시, 태백시, 삼척시 전역
도의원정선군정선군 전역


2. 개요[편집]


국회의원 선거구는 인구 감소로 인해 15대 총선부터 태백과 세트로 붙어다니고 있는데, 서쪽인 평창, 영월과 한동한 붙다가 21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로는 동쪽인 동해, 삼척과 한 선거구를 이루고 있다.

국회의원 선거 결과만 보면 전형적인 농촌 보수지역이라고 볼 수 있으나, 광업이 흥했던 시절의 사람들이 남아 있기 때문에 민주당계 정당 지지세도 적지 않은 편이다. 군수 선거 결과도 5:3으로 민주당계 정당 후보가 당선된 횟수가 더 많다. 거기에다 2000년대 들어서서 이 지역이 관광지가 개발되며 영동권에서는 태백시와 함께 외지인들의 유입이 지속적으로 있는 곳인데다 민주당계에서 기반을 다진 정치인들이 나오면서 민주당계 지지세가 강해지고 있다. 그 결과 강원도지사선거에서 최문순 후보가 이 지역에서 이겼고, 19대 대선 당시 문재인 후보가 앞서지는 못했지만 크게 선전했으며 홍준표 후보와의 표차는 겨우 53표에 불과했다. 심지어 춘천, 원주와 함께 문재인 후보 득표 TOP5에 들어가기도 했다.

태백, 정선, 영월 등 영서권 동부 지역은 본래 영동권의 영향으로 보수정당 강세 지역이었지만 민주당계가 득표율을 점점 끌어올리는 추세인데 춘천, 원주만큼은 아니지만 강원도 군 지역 중에서는 민주당 득표율이 상당히 나올 때가 있다. 이광재가 이 지역 국회의원과 강원도지사에 출마할 때에는 3분의 2에 가까운 압도적인 지지를 보낸 적도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직 선거에서 최초로 진보정당 소속 당선자를 배출한 지역"이기도 하다. 그 주인공은 1991년 지방선거에서 민중당 소속으로 강원도의회 정선군 제2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된 성희직.


2.1. 강원도지사 선거 100% 적중지역[편집]


1987년 민주화 이후 대한민국 지방선거에서 강원도지사 선거는 총 9회 시행하였다. 8번의 지방선거와 2011년 상반기 재보궐선거까지 총 9회. 이 9회 시행한 강원지사 선거에서 지역 1위가 곧 당선자가 된 100% 적중지역은 딱 한 곳, 바로 정선군이다.

강원도지사 선거 적중지역 결과
연도당선인정선군 1위
1995년최각규
(65.8%)
최각규
(64.8%)
1998년김진선
(39.2%)
김진선
(38.9%)
2002년김진선
(71.1%)
김진선
(76.9%)
2006년김진선
(70.6%)
김진선
(74.1%)
2010년이광재
(54.4%)
이광재
(64.6%)
2011년최문순
(51.1%)
최문순
(51.8%)
2014년최문순
(49.8%)[1]
최문순
(51.0%)
2018년최문순
(64.7%)
최문순
(65.5%)
2022년김진태
(54.1%)
김진태
(50.4%)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정선군 CI.svg 정선군 국회의원 선거 결과
정선군
13대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박우병초선
14대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박우병재선
태백시·정선군
15대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박우병3선
16대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택기초선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
17대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이광재초선
18대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재선[2]
2010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최종원초선
19대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염동열초선
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
20대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염동열재선
동해시·태백시·삼척시·정선군
21대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이철규재선


파일:정선군 CI.svg 역대 정선군수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62010
민주자유당새정치국민회의새천년민주당한나라당민주당
김원창유창식최승준
201420182022
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
전정환최승준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김원창 33.99%

2위:
[[무소속|
무소속
]]
이용운 30.47%
3위:
[[무소속|
무소속
]]
최준규 25.32%
4위:
[[무소속|
무소속
]]
고광운 10.19%
1998년1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김원창 54.19%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최준규 35.51%
3위:
[[국민신당(대한민국)|
파일:국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엄창호 10.29%
2002년1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원창 100.00%[1]
2006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유창식 52.85%

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신선웅 47.14%
2010년1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최승준 56.40%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유창식 43.59%
2014년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전정환 54.48%

2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최승준 45.51%
2018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최승준 57.70%

2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유승근 40.20%
2022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최승준 51.01%

2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홍천식 48.98%
[1]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
[1] 최문순 - 최흥집 두 후보 간 피말리는 접전이 벌어졌던 선거로, 이전까지 강원지사 선거에서 태백시, 삼척시, 동해시 등 강원도지사 선거를 전부 적중하던 지역들이 2014년 선거에서 줄줄이 탈락하고 정선군 하나만 살아남았다.[2] 10.4.28 의원직 사퇴(강원도지사선거 출마)


3.1. 지선[편집]


8회 지선 정선군 개표 결과
강원도지사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이광재김진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570
(49.53%)
10,767
(50.46%)
- 197
(▼0.92)
22,082
(69.00%)
정선읍53.29%46.70%△6.5870.88
고한읍[A]47.17%52.82%▼5.6558.86
사북읍[B]46.61%53.38%▼6.7761.33
신동읍51.85%48.14%△3.7170.10
화암면[C]45.35%54.64%▼9.2866.20
남면47.91%52.08%▼4.1765.11
여량면[D]39.43%60.56%▼21.1272.68
북평면47.34%52.65%▼5.3170.97
임계면47.03%52.96%▼5.9268.82
후보이광재김진태격차
거소투표57.14%42.85%△14.28
관외사전투표57.39%42.60%△14.79
국회의원
선거구
이광재김진태격차투표율
동해·삼척·
태백·정선
[3]
43.58%56.41%▼12.8358.99
후보이광재김진태격차투표율
읍 지역[E]53.29%46.70%△6.5870.88
면 지역[F]47.02%52.97%▼5.9565.85
정선군수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최승준홍천식(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901
(51.01%)
10,469
(48.98%)
+ 432
(△2.02)
22,082
(69.00%)
정선읍51.25%48.74%△2.5070.88
고한읍[A]50.42%49.57%△0.8458.86
사북읍[B]52.75%47.25%△5.5061.33
신동읍53.33%46.66%△6.6770.10
화암면[C]47.03%52.96%▼5.9366.13
남면55.05%44.94%△10.1065.11
여량면[D]42.91%57.08%▼14.1772.68
북평면47.28%52.71%▼5.4270.97
임계면47.01%52.98%▼5.9768.85
후보최승준홍천식격차
거소투표76.66%23.33%△53.33
관외사전투표57.56%42.43%△15.13


3.2. 대선[편집]


20대 대선 정선군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103
(40.95%)
13,643
(55.31%)
- 3,540
(▼14.36)
24,898
(77.56%)
정선읍44.57%51.48%▼6.9175.53
고한읍[A]43.79%52.74%▼8.9671.28
사북읍[B]40.61%56.08%▼15.4872.22
신동읍40.43%55.30%▼14.8777.25
화암면[C]37.58%58.35%▼20.7775.05
남면39.74%57.49%▼17.7574.01
여량면[D]31.36%64.89%▼33.5379.15
북평면38.22%58.44%▼20.2176.97
임계면34.85%62.52%▼27.6779.71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44.28%45.71%▼1.43
관외사전투표44.03%50.98%▼6.94
재외투표63.15%28.94%△34.21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동해·삼척·
태백·정선
[4]
39.01%57.39%▼18.3974.04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읍 지역[E]44.57%51.48%▼6.9175.53
면 지역[F]38.91%57.69%▼18.7875.23


3.3. 총선[편집]



3.3.1. 정선군[편집]



3.3.2. 태백시·정선군[편집]



3.3.3.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편집]



3.3.4. 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편집]



3.3.5. 동해시·태백시·삼척시·정선군[편집]


21대 총선 정선군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동해시·삼척시·태백시·정선군)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김동완이철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9,632
(44.87%)
11,147
(51.93%)
- 1,515
(▼7.06)
21,795
(65.58%)
[ 펼치기 · 접기 ]
정선읍47.72%48.74%▼1.0264.73
고한읍[*A ]47.38%49.88%▼2.5055.85
사북읍[*B ]43.83%53.78%▼9.9561.12
신동읍41.03%55.84%▼14.8163.24
화암면[*C ]45.63%52.59%▼6.9665.45
남면44.96%52.57%▼7.6164.54
여량면[*D ]38.59%58.09%▼19.5070.29
북평면41.94%54.34%▼12.3965.62
임계면35.14%62.03%▼26.8866.74
후보김동완이철규격차
거소·선상투표40.00%52.22%▼12.22
관외사전투표56.24%38.57%△17.67
재외투표61.53%38.46%△23.08

비례대표 선거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8,597
(41.89%)
6,088
(29.67%)
1,526
(7.43%)
808
(3.93%)
860
(4.19%)
+ 2,509
(△12.23)
21,796
(65.57%)
[ 펼치기 · 접기 ]
정선읍38.75%31.98%8.00%3.76%4.40%△6.7764.73
고한읍[*A ]40.47%31.54%7.74%4.22%4.75%△8.9355.85
사북읍[*B ]45.62%28.75%7.39%4.27%3.76%△16.8761.15
신동읍43.78%26.23%7.17%4.56%3.31%△17.5463.24
화암면[*C ]44.63%30.22%5.63%2.49%3.03%△14.4165.45
남면42.79%29.30%6.07%3.67%4.96%△13.4964.54
여량면[*D ]46.86%25.79%7.05%3.35%3.26%△21.0770.29
북평면44.57%29.06%6.48%3.05%3.35%△15.5165.62
임계면47.47%24.47%6.40%3.83%3.15%△23.0066.74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42.52%33.33%5.74%2.29%2.29%△9.20
관외사전투표31.97%33.89%10.16%5.37%6.87%▼1.91
재외투표38.46%38.46%23.07%00=동률
[A] A B C 하이원리조트 및 강원랜드 사원아파트가 있는 동네[B] A B C 강원랜드가 있는 동네[C] A B C =구 동면[D] A B C =구 북면[3] 지역구 국회의원 : 이철규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재선)[E] A B 정선읍 (인구 1만명 이상 읍 지역)[F] A B 고한읍, 사북읍, 신동읍, 화암면, 남면, 여량면, 북평면, 임계면 (인구 1만명 이하 읍·면지역)[4] 지역구 국회의원 : 이철규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재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정선군 문서의 r61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정선군 문서의 r61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1:42:12에 나무위키 정선군/정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