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출 부호/방송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호출 부호

1.1. 일러두기
1.2. HLA국
1.3. HLC국
1.4. HLD국
1.5. HLE국
1.6. HLK국
1.7. HLL국
1.8. HLM국
1.9. HLQ국
1.10. HLS국
1.11. 반납된 호출 부호
2. 일본(JO)
2.1. 일러두기
2.2. 단파
2.3. JO#B국
2.4. JO#C국
2.5. JO#D국
2.6. JO#F국
2.7. JO#G국
2.8. JO#K국
2.9. JO#P국
2.10. JO#Q국
2.11. JO#R국
2.12. JO#S국
2.13. JO#X국
2.14. JO#Z국
2.15. 반납된 호출 부호


1. 대한민국(HL)[편집]


대한민국의 방송 호출 부호는 HL로 시작하며, 이는 1947년 9월 3일 미 군정이 ITU(국제통신전기연합,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로부터 받은 것이다. 9월 3일이 방송의 날인 이유이다.

라디오에서는 호출 부호를 부르지만 TV 방송에서는 쓰지 않는다.(예외적으로 KBS는 FM 방송에서도 호출 부호를 일부 지역국을 제외하고 잘 안 쓴다[1]. 대신 시보 멘트에 '잠시 후'를 붙인다.[2]) 다만 한국 최초의 TV 방송국인 HLKZ-TV는 아예 호출 부호를 방송국명으로 정하기도 했는데, 이 당시는 미국의 영향을 받아 '중앙방송국'도 KBS가 아니라 HLKA라고 부르던 때이기 때문이다.[3]

최근에 없어진 KBS 1라디오의 소규모 중파중계소도 별도의 호출번호를 부여받았다. 과거에 이들 소출력 중계소에도 자체 방송국 기능이 있었던 것이 이유다. 가령 KBS청주 1라디오 보은 중계소(HLQW)는 1992년까지 자체 로컬 프로그램이 있었고, 2000년대 초반 이전에는 시보에서 KBS 보은 라디오라고 공지했다.

한편, 과거에는 호출 부호가 현재와 달랐던 방송국도 있다. 예를 들면, MBC 표준FM 서울 본사는 개국 초기엔 HLCP-FM을 사용하였으나, 1990년대 후반 즈음 중파방송 기준 호출부호인 HLKV-SFM으로 바뀌었다.


1.1. 일러두기[편집]


공통으로 표준FM 방송은 '-SFM', FM 방송은 '-FM' 등의 접미어가 붙으며, FM 방송 중 공동체 라디오 방송(소출력 FM)은 공용 호출 부호 'HLMA'에 'LFM-4자리 식별번호', 제2FM은 '-2FM', TV 방송 중 아날로그 방송은 '-TV', 디지털 방송(HDTV)은 '-DTV', UHDTV 방송은 '-UHDTV, 지상파 DMB(T-DMB) 채널은 '-TDMB'가 붙는다. 한국에서의 아날로그 TV 방송은 2012년 12월 31일부로 종료되었으므로 이 문단에서는 다루지 않으며 현재 반납된 호출 부호는 별도 문단에 기재한다.

동일한 내용을 송출하는 방송은 그 주파수와 채널을 같은 행에 기재한다. 단, AM 호출부호에는 접미어가 붙지 않으나 단파에는 마지막 자리에 숫자가 붙는다. 한국 방송 초창기에 개국한 방송국이 전부 중파방송이었으므로, 그것을 모태로 하는 방송에서 그 부호가 표준이 된 것이다. 이것이 중파방송을 표준방송으로도 칭하는 이유이며 동시에 이를 재송출하는 FM 방송을 표준FM으로 부르는 이유이기도 하다. AM 주파수 열에 기재하는 값은 별도 표기가 없으면 중파 대역이다.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방송국명은 실제 방송에서 고지하는 펫네임과 국명을 기준으로 작성한다.
[ 예시 펼치기 · 접기 ]


라디오 주파수는 메인 주파수, TV 채널은 메인 송신소의 물리채널만 기재하며 중계국의 주파수와 채널은 생략한다.

전국 공통으로 지상파 TV 직접수신용 가상채널은 아래와 같다.[4]

가상채널방송사(국)
6-1SBS/지역민방
7-1KBS 2TV
9-1KBS 1TV
10-1EBS 1TV
10-2EBS 2TV
11-1MBC


1.2. HLA국[편집]


1961년에 HLKV가 개국하면서 HLK국 대역이 포화된 이후 1960~1970년대에 추가로 개국한 방송국이 부여받은 대역이다.
호출 부호방송사(국)주파수
채널번호
비고
HLA한국표준과학연구원
표준주파수국
5000㎑
(단파)
HLAAHLAA-SFMKBS광주 해피FM95.5㎒
HLAA-DTVKBS광주 2TVCH 18
HLAB
HLACHLAC-SFMKBS청주 해피FM90.9㎒
HLAC-FM충북CBS 표준FM91.5㎒
HLADHLAD-FMfebc 대전극동방송93.3㎒
HLAE
HLAFHLAFMBC강원영동 강릉 표준FM1287㎑
HLAF-SFM96.3㎒
HLAF-FMMBC강원영동 강릉 FM4U94.3㎒
HLAF-DTVMBC강원영동 강릉 TVCH 14
HLAF-UHDTVCH 53
HLAG
HLAHHLAH-DTVKBS강릉 2TVCH 17
HLAIHLAI-SFMKBS창원 1라디오91.7㎒구) HLKD-FM
HLAI-FMKBS창원 FM93.9㎒
HLAI-DTVKBS창원 1TVCH 22
HLAJHLAJ-SFM제주MBC 표준FM97.1·97.9㎒허가상 본국) 97.1㎒(서귀포)
실질적 본국) 97.9㎒(북제주)
HLAJ-FM제주MBC FM4U90.1㎒
HLAJ-DTV제주MBC TVCH 31
HLAJ-TDMBJeju MBCCH 13A
HLAKHLAK-SFMMBC경남 진주 표준FM91.1㎒
HLAK-FMMBC경남 진주 FM4U97.7㎒
HLAK-DTVMBC경남 진주 TVCH 21
HLAL
HLAMHLAM-SFM목포MBC 표준FM89.1㎒
HLAM-FM목포MBC FM4U102.3㎒
HLAM-DTV목포MBC TVCH 23
HLANHLAN-SFM춘천MBC 표준FM92.3㎒
HLAN-FM춘천MBC FM4U94.5㎒
HLAN-DTV춘천MBC TVCH 14
HLAN-TDMBMY MBCCH 13A
HLAOHLAO-SFMMBC충북 충주 표준FM96.1㎒
HLAO-FMMBC충북 충주 FM4U88.7㎒
HLAO-DTVMBC충북 충주 TVCH 40
HLAPHLAP-SFMMBC경남 창원 표준FM98.9㎒
HLAP-FMMBC경남 창원 FM4U100.5㎒
HLAP-DTVMBC경남 창원 TVCH 26
HLAQHLAQ-SFMMBC강원영동 삼척 표준FM93.1㎒
HLAQ-FMMBC강원영동 삼척 FM4U99.9㎒
HLAQ-DTVMBC강원영동 삼척 TVCH 42
HLAR
HLASHLAS-SFMKBS전주 해피FM92.9㎒구) KBS군산
HLATHLAT-SFM여수MBC 표준FM100.3㎒
HLAT-FM여수MBC FM4U98.3㎒
HLAT-DTV여수MBC TVCH 26
HLAUHLAU-SFM울산MBC 표준FM97.5㎒
HLAU-FM울산MBC FM4U98.7㎒
HLAU-DTV울산MBC TVCH 34
HLAU-UHDTVCH 29
HLAVHLAV-SFM포항MBC 표준FM100.7㎒
HLAV-FM포항MBC FM4U97.9㎒
HLAV-DTV포항MBC TVCH 46
HLAWHLAW-SFM안동MBC 표준FM100.1㎒
HLAW-FM안동MBC FM4U91.3㎒
HLAW-DTV안동MBC TVCH 22
HLAW-TDMBmyMBCCH 9A
HLAXHLAX-SFMMBC충북 청주 표준FM107.1㎒
HLAX-FMMBC충북 청주 FM4U99.7㎒
HLAX-DTVMBC충북 청주 TVCH 20
HLAYHLAY-DTVKBS경인 1TVCH 42
HLAZHLAZfebc 제주극동방송
VOA 미국의 소리(한국어)
RFA 자유아시아방송(한국어)
1566㎑구) HLDA
HLAZ-SFMfebc 제주극동방송104.7㎒


1.3. HLC국[편집]


HLA국과 마찬가지로 HLK국 대역이 포화된 이후 1960~1970년대에 추가로 개국한 방송국들에 부여된 호출 부호 대역이다.
호출 부호방송사(국)주파수
채널번호
비고
HLCAKBS 한민족 제1방송972㎑
HLCBHLCB-FM포항CBS 표준FM91.5㎒한국FMKBS대구 FM
구 호출 부호
HLCCHLCC-FM경남CBS 표준FM106.9㎒
HLCDHLCD-FM울산CBS 표준FM100.3㎒구) HLKP-FM
서울FM(현 KBS 쿨FM) 구 호출 부호
(한국 최초의 FM 호출 부호)
HLCEHLCE-SFMKBS춘천 해피FM98.7㎒
HLCE-DTVKBS춘천 2TVCH 17
HLCF
HLCGHLCG-FMG1 프레쉬FM105.1㎒
HLCG-DTVG1 TVCH 40
HLCG-UHDTVCH 34·55
HLCG-TDMBG1 DMBCH 13C
HLCHHLCH-SFMKBS충주 1라디오92.1㎒
HLCH-FMKBS충주 FM100.3㎒구) HLQT-FM
HLCH-DTVKBS충주 1TVCH 39
HLCI
HLCJHLCJKBS진주 1라디오1098㎑
HLCJ-SFM90.3㎒
HLCJ-FMKBS진주 FM89.3㎒구) HLSH-FM
HLCJ-DTVKBS진주 1TVCH 20
HLCK
HLCLHLCL-SFM광주CBS 표준FM103.1㎒
HLCL-FM전남CBS 표준FM102.1㎒
HLCMHLCM-SFM전북CBS 표준FM103.7㎒
HLCM-FMTBN 전북교통방송102.5㎒
HLCNHLCN광주MBC 표준FM819㎑
HLCN-SFM93.9㎒
HLCN-FM광주MBC FM4U91.5㎒
HLCN-DTV광주MBC TVCH 14
HLCN-UHDTVCH 55
HLCN-TDMBHonam MBCCH 8A
HLCOHLCO-FM강원영동CBS 표준FM91.5㎒
HLCPHLCP-SFMKBS포항 1라디오95.9㎒구) HLSZ-FM
HLCP-DTVKBS포항 1TVCH 42
HLCQHLCQ-SFM대전MBC 표준FM92.5㎒
HLCQ-FM대전MBC FM4U97.5㎒
HLCQ-DTV대전MBC TVCH 17구) HLAZ-TV
(대전TV)
HLCQ-UHDTVCH 55
HLCQ-TDMBMY MBCCH 11A
HLCRHLCRKBS안동 1라디오963㎑
HLCR-SFM90.5㎒
HLCR-DTVKBS안동 1TVCH 32
HLCSHLCS-FMWBS 대구원음방송98.3㎒
HLCTHLCT-SFM대구MBC 표준FM96.5㎒
HLCT-FM대구MBC FM4U95.3㎒
HLCT-DTV대구MBC TVCH 17
HLCT-UHDTVCH 55
HLCUHLCU-SFMKBS울릉 1라디오89.3㎒
HLCVHLCV-FMTBN 울산교통방송104.1㎒
HLCWHLCWKBS원주 1라디오1152㎑
HLCW-SFM97.1㎒
HLCW-FMKBS원주 FM89.5㎒구) HLQX-FM
HLCW-DTVKBS원주 1TVCH 44
HLCW-UHDTVCH 19
HLCXHLCX전주MBC 표준FM855㎑
HLCX-SFM94.3㎒
HLCX-FM전주MBC FM4U99.1㎒
HLCX-DTV전주MBC TVCH 41
HLCYHLCYKBS순천 1라디오630㎑구) KBS여수
HLCY-SFM95.7㎒
HLCY-FMKBS순천 FM94.5㎒
HLCY-DTVKBS순천 1TVCH 44
HLCZ


1.4. HLD국[편집]


1, 2차 지역 민영방송1995년 이후 추가로 개국한 방송국이 부여받은 호출부호 대역이다.[5] 원래는 경기방송에서 사용하고 있었던 HLDS도 있었으나 2020년 3월 30일 자정을 기해 폐국되면서 호출부호 역시 말소, 반납되었다.

호출 부호방송사(국)주파수
채널번호
비고
HLDAHLDA-FMBBS 부산불교방송89.9㎒
HLDBHLDB-FMBBS 광주불교방송89.7㎒
HLDCHLDC-FM강원CBS 표준FM93.7㎒
HLDDHLDD-FMfebc 창원극동방송98.1㎒
HLDEHLDE-FMTBC 드림FM99.3㎒
HLDE-DTVTBC TVCH 15
HLDE-UHDTVCH 53
HLDE-TDMBTBC DMBCH 7C
HLDFHLDF-FMTJB 파워FM95.7㎒
HLDF-DTVTJB TVCH 15
HLDF-UHDTVCH 53
HLDF-TDMBTJB uCH 11C
HLDGHLDG-FMKNN 파워FM99.9㎒
HLDG-2FMKNN 러브FM105.7㎒최초의 -2FM 호출 부호
HLDG-DTVKNN TVCH 15
HLDG-UHDTVCH 53
HLDG-TDMBKNN DMBCH 12C
HLDHHLDH-FMkbc 마이FM101.1㎒
HLDH-DTVkbc TVCH 15
HLDH-UHDTVCH 53
HLDH-TDMBkbcCH 8C
HLDIHLDI-FMBBS 대구불교방송94.5㎒
HLDJHLDJ-FMBBS 청주불교방송96.7㎒
HLDKHLDK-FMcpbc 대구가톨릭평화방송93.1㎒
HLDLHLDL-FMcpbc 광주가톨릭평화방송99.9㎒
HLDMHLDM-FMTBN 광주교통방송97.3㎒
HLDNHLDN-FMTBN 부산교통방송94.9㎒
HLDOHLDO-FM경인방송90.7㎒
HLDPHLDP-FMubc 그린FM92.3㎒
HLDP-DTVubc TVCH 30
HLDP-UHDTVCH 39
HLDQHLDQ-FMJTV 매직FM90.1㎒
HLDQ-DTVJTV TVCH 33
HLDRHLDR-FMCJB 조이FM101.5㎒
HLDR-DTVCJB TVCH 24
HLDS
HLDTHLDT-FMTBN 대전교통방송102.9㎒
HLDUHLDU-FMTBN 대구교통방송103.9㎒
HLDVHLDV-FMWBS 전북원음방송97.9㎒
HLDWHLDW-FMcpbc 부산가톨릭평화방송101.1㎒
HLDXHLDX-FM대전CBS 표준FM91.7㎒
HLDYHLDY-FMfebc 영동극동방송90.1㎒
HLDZHLDZ-FMfebc 포항극동방송90.3㎒

1.5. HLE국[편집]


HLD국이 포화된 뒤 추가로 개국한 방송국이 부여받은 대역이다.
호출 부호방송사(국)주파수
채널번호
비고
HLEAHLEA-BS1KT스카이라이프 제1위성방송방송위성: 무궁화 위성
HLEA-BS2KT스카이라이프 제2위성방송
HLEA-BS3KT스카이라이프 제3위성방송
HLEA-BS4KT스카이라이프 제4위성방송
HLEA-BS5KT스카이라이프 제5위성방송
HLEA-BS6KT스카이라이프 제6위성방송
HLEA-CS1KT스카이라이프 제7위성방송
HLEA-CS2KT스카이라이프 제8위성방송
HLEA-CS3KT스카이라이프 제11위성방송
HLEA-CS4KT스카이라이프 제10위성방송
HLEA-CS16KT스카이라이프 제16위성방송
HLEA-CS17KT스카이라이프 제17위성방송
HLEA-CS37KT스카이라이프 제9위성방송
HLEB
HLEC
HLEDHLED-FMfebc 광주극동방송93.1㎒
HLEEHLEE-FMTBN 경남교통방송95.5㎒
HLEFHLEF-FMTBN 경북교통방송103.5㎒
HLEGHLEG-FM광주국악방송99.3㎒
HLEHHLEH-FMTBN 제주교통방송105.5㎒
HLEIHLEI-FMfebc 전남동부극동방송97.5㎒
HLEJ
HLEKHLEK-FM대전국악방송90.5㎒
HLELHLEL-FM제주불교방송94.9㎒
HLEMHLEM-FM광주CBS 음악FM98.1㎒전남CBS 표준FM
HLCL-FM 부호 사용에 따른
신규 호출 부호
HLENHLEN-FMfebc 전북극동방송91.1㎒
HLEOHLEO-FMTBN 충북교통방송103.3㎒
HLEP
HLEQ
HLER
HLES
HLET
HLEU
HLEV
HLEW
HLEX
HLEY
HLEZ


1.6. HLK국[편집]


KBS 및 산하 지역(총)국, MBC, CBS, FEBC 등 1947년에 HL 호출부호를 배정받은 뒤로 1960년대까지 개국한 방송국이 부여받은 대역이다. HLKF, HLKG, HLKH, HLKI, HLKL, HLKM, HLKN, HLKO, HLKQ, HLKR는 일제강점기 때 썼던 호출부호(JB#K)를 뒤집어서 재활용한 것이다. 1947년 호출부호 HL를 부여하면서 당시 남한 지역에 남아있던 각 지역 조선방송협회 방송국의 호출부호를 변경할 때 JODK를 썼던 서울(경성)은 HLKA를, JBAK를 썼던 부산은 HLKB를 새로 배정받고 나머지 방송국은 기존 호출부호 뒷자리의 알파벳 자리를 바꿔서 재활용한 것이 지금에 이르고 있다. 나머지는 전부 방송국이 생기면서 새로 배정한 것이다. 참고로 현재도 JO#K는 NHK 전용 호출부호로 자세한 내용은 밑의 JO#K국 문단 참조.

호출 부호방송사(국)주파수
채널번호
비고
HLK2KBS 한민족 제1방송6015㎑
(단파)
HLK20KBS 월드 라디오7275㎑
(단파)
HLKAHLKAKBS 1라디오711㎑구) JODK
(조선방송협회)
HLKA-SFM97.3㎒구) HLCK-SFM
HLKA-FMKBS 클래식FM93.1㎒구) HLQK-FM
HLKA-DTVKBS 1TVCH 15구) HLCK-TV
HLKA-UHDTVCH 52
HLKA-TDMBU-KBSCH 12B
HLKBHLKBKBS부산 1라디오891㎑구) JBAK
(조선방송협회)
HLKB-SFM103.7㎒
HLKB-FMKBS부산 FM92.7㎒구) HLKK-FM
KBS부산 해피FM
구 호출 부호[출처1]
HLKB-DTVKBS부산 1TVCH 14구) HLAB-TV
HLKB-UHDTVCH 52
HLKCHLKCKBS 3라디오1134㎑전국 공용, 구) HLKA-SFM
(KBS 1라디오 SCA 방송),
동양라디오KBS 제3방송
구 호출 부호
HLKC-SFM104.9㎒
HLKDHLKD-SFMKBS창원 해피FM106.1㎒
HLKD-DTVKBS창원 2TVCH 25
HLKEHLKE-FMKBS부산 해피FM97.1㎒구) HLKB-FM[출처1]
(KBS 제3방송)
HLKE-DTVKBS부산 2TVCH 16구) 부산동양TV
HLKFHLKFKBS전주 1라디오567㎑구) JBFK
(조선방송협회)
HLKF-SFM96.9㎒
HLKF-FMKBS전주 FM100.7㎒구) HLSR-FM
HLKF-DTVKBS전주 1TVCH 27
HLKGHLKGKBS대구 1라디오738㎑구) JBGK
(조선방송협회)
HLKG-SFM101.3㎒
HLKG-FMKBS대구 FM89.7㎒구) HLCB-FM
(한국FM)
HLKG-DTVKBS대구 1TVCH 14
HLKG-UHDTVCH 52
HLKHHLKHKBS광주 1라디오747㎑구) JBHK
(조선방송협회)
HLKH-SFM90.5㎒
HLKH-FMKBS광주 FM92.3㎒구) HLKL-FM
HLKH-DTVKBS광주 1TVCH 17
HLKH-UHDTVCH 52
HLKIHLKIKBS대전 1라디오882㎑구) JBIK
(조선방송협회)
HLKI-SFM94.7·89.9㎒
HLKI-FMKBS대전 FM98.5㎒구) HLQS-FM
HLKI-DTVKBS대전 1TVCH 26
HLKI-UHDTVCH 52
HLKI-TDMBU-KBS 비수도권CH 11B비수도권 공용
HLKJHLKJ-DTVJIBS TVCH 33
HLKJ-TDMBJIBSCH 13C
HLKKHLKK-FMfebc 대구극동방송91.9㎒KBS부산 FM
구 호출 부호
HLKL
HLKMHLKMKBS춘천 1라디오657㎑구) JBMK
(조선방송협회)
HLKM-SFM99.5㎒구) HLSS-SFM
HLKM-FMKBS춘천 FM91.1㎒
HLKM-DTVKBS춘천 1TVCH 15
HLKNHLKNKBS목포 1라디오1467㎑구) JBNK
(조선방송협회)
HLKN-SFM105.9㎒
HLKN-FMKBS목포 FM98.3㎒구) HLSL-FM
HLKN-DTVKBS목포 1TVCH 34
HLKOHLKO-FM제주CBS 표준FM93.3㎒
HLKPHLKP-SFM부산CBS 표준FM102.9㎒
HLKP-FM부산CBS 음악FM102.1㎒울산CBS 표준FM
구 호출 부호
HLKQHLKQKBS청주 1라디오1062㎑구) JBQK
(조선방송협회)
HLKQ-SFM89.3㎒
HLKQ-FMKBS청주 FM94.1㎒구) HLQW-FM
HLKQ-DTVKBS청주 1TVCH 23
HLKRHLKRKBS강릉 1라디오864㎑구) JBRK
(조선방송협회)
HLKR-SFM98.9㎒
HLKR-FMKBS강릉 FM89.1㎒구) HLQD-FM
HLKR-DTVKBS강릉 1TVCH 15
HLKR-UHDTVCH 52
HLKSHLKSKBS제주 1라디오963㎑
HLKS-SFM99.1㎒
HLKS-FMKBS제주 FM96.3㎒구) HLQC-FM
HLKS-DTVKBS제주 1TVCH 27
HLKTHLKT-SFM대구CBS 표준FM103.1㎒
HLKT-FM대구CBS 음악FM97.1㎒
HLKUHLKU-SFM부산MBC 표준FM95.9㎒구 ) HLSX-FM
HLKU-FM부산MBC FM4U88.9㎒
HLKU-DTV부산MBC TVCH 17구) HLAD-TV
HLKU-UHDTVCH 55
HLKU-TDMBBusan MBCCH 12A
HLKVHLKV-SFMMBC 표준FM95.9㎒구 ) HLCP-FM
HLKV-FMMBC FM4U91.9㎒
HLKV-DTVMBC TVCH 14구) HLAC-TV
HLKV-UHDTVCH 55
HLKV-TDMBMBC DMBCH 12A
HLKWHLKW-FMfebc 목포극동방송100.5㎒
HLKXHLKXfebc 극동방송
VOA 미국의 소리(한국어)
RFA 자유아시아방송(한국어)
1188㎑
HLKX-SFMfebc 극동방송106.9㎒
HLKYHLKYCBS 표준FM837㎑
HLKY-SFM98.1㎒
HLKY-FMCBS 음악FM93.9㎒
HLKZ


1.7. HLL국[편집]


호출 부호방송사(국)주파수
채널번호
비고
HLL2기상청 해양기상방송5857.5㎑
(단파, SSB)
홈페이지


1.8. HLM국[편집]


공동체 라디오, 독립 DMB 방송사 등 독립방송국이 주로 부여받는 대역이다.
호출 부호방송사(국)주파수
채널번호
비고
HLMAHLMA-LFM관악FM100.3㎒공동체 라디오
(소출력 FM)
마포FM100.7㎒
서대문FM91.3㎒홈페이지
성남FM90.7㎒
수원공동체라디오
SoneFM
96.3㎒블로그
영월FM
(시험방송 중)
99.1㎒
광주FM88.9㎒
남해FM91.9㎒
HLMA-LFM-5001금강FM104.9㎒
HLMA-LFM-5002옥천FM
HLMA-LFM-5003세종FM98.9㎒
HLMA-LFM-5004GBS고려방송93.5㎒
HLMA-LFM-5005한밭FM93.7㎒
HLMA-LFM-6001영주FM89.1㎒
HLMA-LFM-6002SCN 성서공동체FM
HLMA-LFM-6003성주FM92.7㎒
HLMA-TDMBYTN DMBCH 8B
HLMBHLMB-TDMBQBSCH 8C
HLMC
HLMDHLMD-FMOBS 라디오99.9㎒전신) KFM 경기방송


1.9. HLQ국[편집]


호출 부호방송사(국)주파수
채널번호
비고
HLQAHLQA-FM국악방송99.1㎒본사 산하 보조국 포함
HLQBHLQBKBS울산 1라디오1449㎑
HLQB-SFM90.7㎒
HLQB-FMKBS울산 FM101.9㎒
HLQB-DTVKBS울산 1TVCH 28
HLQB-UHDTVCH 49
HLQCHLQC-SFMKBS제주 해피FM91.9㎒
HLQC-DTVKBS제주 2TVCH 29
HLQC-FMJIBS 뉴파워FM101.5㎒KBS제주 FM
구 호출 부호
HLQD
HLQEHLQE-DTVKBS울산 2TVCH 40
HLQE-FM아리랑 라디오88.7㎒
HLQFHLQF-DTVKBS청주 2TVCH 34[출처2]
HLQG
HLQHHLQHKBS대구 해피FM558㎑
HLQH-SFM102.3㎒
HLQH-DTVKBS대구 2TVCH 16
HLQIHLQI-DTVKBS전주 2TVCH 44[출처2]
HLQJHLQJ-FMWBS 부산원음방송104.9㎒
HLQKHLQK-FMWBS 원음방송89.7㎒KBS 클래식FM
구 호출 부호
HLQLHLQL-FMEBS FM104.5㎒전국 공용, 전신) KBS 교육FM
HLQL-DTVEBS TV
(1TV, 2TV)
CH 18전국 공용, 전신) KBS 3TV
(HLQK-TV)
HLQL-UHDTVEBS TV
(1TV, 2TV)
CH 54개국 예정, 전국 공용
HLQMHLQM-FMBBS 춘천불교방송100.1㎒대전엑스포 FM
구 호출 부호
HLQNHLQN-FMWBS 광주원음방송107.9㎒
HLQOHLQO-FMcpbc 대전가톨릭평화방송106.3㎒
HLQPHLQP-FMcpbc 가톨릭평화방송105.3㎒
HLQQHLQQ-FMfebc 부산극동방송93.3㎒
HLQRHLQR-FMfebc 울산극동방송107.3㎒
HLQSHLQS-DTVOBS경인TVCH 25
HLQTHLQT-SFMKBS대전 해피FM100.9㎒
HLQT-DTVKBS대전 2TVCH 32
HLQUHLQU-FMBBS 울산불교방송88.3㎒
HLQVHLQV-FMYTN 라디오94.5㎒
HLQW
HLQX
HLQY
HLQZ

1.10. HLS국[편집]


호출 부호방송사(국)주파수
채널번호
비고
HLSAHLSAKBS 해피FM603㎑
HLSA-SFM106.1㎒
HLSA-FMKBS 쿨FM89.1㎒구) HLCD-FM → HLKC-FM
(서울FM → 동양FM)
HLSA-DTVKBS 2TVCH 17구) HLKC-TV
(동양TV)
HLSA-UHDTVCH 56전국 공용
HLSBHLSB-SFM원주MBC 표준FM92.7㎒
HLSB-FM원주MBC FM4U98.9㎒
HLSB-DTV원주MBC TVCH 46
HLSB-UHDTVCH 22
HLSC
HLSD
HLSEHLSE-FM국방FM96.7㎒구/허가 명칭) KBS 군FM[출처3]
운영 주체) 국방홍보원
HLSF
HLSGHLSG-FMBBS 불교방송101.9㎒
HLSH
HLSI
HLSJ
HLSK
HLSL
HLSM
HLSN
HLSO
HLSP
HLSQHLSQ-SFMSBS 러브FM103.5㎒
HLSQ-FMSBS 파워FM107.7㎒
HLSQ-DTVSBS TVCH 16
HLSQ-UHDTVCH 53
HLSQ-TDMBSBS uCH 12C
HLSRKBS 한민족 제2방송1170㎑
HLSS
HLSTHLST-FMTBS FM95.1㎒
HLSUHLSU-FMTBN 경인교통방송100.5㎒
HLSVHLSV-FMTBN 강원교통방송105.9㎒
HLSWHLSW-FMTBS eFM101.3㎒
HLSXHLSX-FMBeFM 부산영어방송90.5㎒부산MBC 표준FM
구 호출 부호
HLSYHLSY-FMGFN 광주영어방송98.7㎒
HLSZ

1.11. 반납된 호출 부호[편집]


비고에 나온 시기는 해당 호출 부호가 사용된 시기로 사용 중 언론통폐합 등으로 방송사가 바뀐 경우 이전 방송사 시기도 포함한다. 방송국 명칭과 채널은 해당 호출 부호의 반납 당시 명칭, 채널로 수록하였다.

호출 부호방송사(국)주파수
채널번호
현 호출 부호비고
HLAAKBS광주 2라디오1224㎑중계소로 격하
→ 폐국
1971~2002, 구) 전일방송
KBS 3라디오로 이관하면서
호출 부호 변경 후 폐국
HLABHLAB-TVKBS부산 1TVCH 9HLKB-DTV
HLACHLAC-TVMBC TVCH 11HLKV-DTV
HLADHLAD-TV부산MBC TVCH 11HLKU-DTV
HLAGKBS안동 1라디오
영주 중계소
594㎑폐국
HLAJ제주MBC 표준FM774㎑폐국1968~2023
HLAKMBC경남 진주 표준FM1215㎑폐국1968~2022
HLAM목포MBC 표준FM1386㎑폐국1968~2023
HLAN춘천MBC 표준FM774㎑폐국1968~2023
HLAOMBC충북 충주 표준FM1332㎑폐국1970~2021
HLAPMBC경남 창원 표준FM990㎑폐국1969~2023
HLAQMBC강원영동 삼척 표준FM1350㎑폐국1971~2023
HLARHLAR-FM삼척MBC 표준FM93.1㎒HLAQ-SFM현) MBC강원영동 삼척 표준FM
HLASKBS군산 2라디오675㎑중계소로 격하
(HLKC)
1969~2002, 구) 서해방송
KBS 3라디오로 이관하면서
호출 부호 변경
HLAT여수MBC 표준FM1080㎑폐국1970~2023
HLAU울산MBC 표준FM846㎑폐국1968~2023
HLAV포항MBC 표준FM1107㎑폐국1971~2023
HLAW안동MBC 표준FM1017㎑폐국1970~2022
HLAXMBC충북 청주 표준FM1287㎑폐국1970~2023
HLAYKBS청주 1라디오
영동 중계소
621㎑폐국
HLAZHLAZ-TV대전TVCH 8HLCQ-DTV현) 대전MBC TV
HLCAHLCA-SFMKBS 한민족 제1방송103.7㎒폐국소출력 FM
HLCCKBS원주 1라디오
평창 중계소
1233㎑폐국
HLCDKBS충주 1라디오
제천 중계소
1044㎑폐국
HLCFKBS제주 1라디오
서귀포 중계소
621㎑폐국
HLCGKBS춘천 1라디오
화천 중계소
1026㎑폐국1961~2008,
KBS 최초의 라디오 중계소 호출 부호
HLCHKBS충주 1라디오1089㎑폐국KBS 1라디오 AM 키 스테이션 중
최초 폐국
HLCIKBS강릉 1라디오
삼척 중계소
1044㎑폐국1962~2018
HLCKHLCK-TVKBS 1TVCH 9HLKA-DTV
HLCM전북CBS 표준FM1314㎑폐국1961~2023,
폐국 직전 정규 출력(10kW)보다
저출력(3kW)으로 송출
HLCOKBS 1라디오
철원 중계소
1395㎑폐국
HLCPHLCP-FMMBC 표준FM95.9㎒HLKV-SFM
HLCQ대전MBC 표준FM765㎑폐국1964~2023
HLCSHLCSKBS속초 2라디오1008㎑중계소로 격하
→ 폐국
1961~2002, KBS 3라디오로 이관하면서
호출 부호 변경 후 폐국
HLCS-SFMKBS속초 해피FM102.1㎒중계소로 격하
(HLCE-SFM)
2000~2004,
현) KBS춘천 해피FM
HLCT대구MBC 표준FM810㎑폐국1963~2021
HLCUKBS울릉 1라디오1323㎑폐국1975~2019,
최후의 자체 방송 실시 AM 중계소
HLCVKBS원주 1라디오
영월 중계소
783㎑폐국구) KBS영월 1라디오
HLCZKBS대전 1라디오
홍성 중계소
540㎑폐국
HLDAfebc 제주극동방송1566㎑HLAZ구) 아세아방송
HLDDHLDD-SFM제주MBC 표준FM97.1·97.9㎒HLAJ-SFM허가상 본국) 97.1㎒(서귀포)
실질적 본국) 97.9㎒(북제주)
HLDKKBS충주 1라디오
단양 중계소
1584㎑HLQT → 폐국
HLDOHLDO-TViTV 경인방송CH 21폐국1997~2004, 후신) OBS경인TV[6]
HLDO-DTV-개국 무산
HLDSHLDS-FMKFM 경기방송99.9㎒폐국1997~2020, 후신) OBS 라디오[7]
HLKCHLKC-TVKBS 2TVCH 7HLSA-TV1966~1997?, 전신) 동양TV
HLKC-FMKBS 2FM89.1㎒HLSA-FM1966~1997?, 구) HLCD-FM
(서울FM → 동양FM)
HLKDHLKDKBS창원 2라디오936㎑중계소로 격하
(HLKC)
1959~2002, 구) JBOK → HLKO
(조선방송협회KBS마산 1라디오)
KBS 3라디오로 이관하면서
호출 부호 변경
HLKD-FMKBS창원 1라디오91.7㎒HLAI-SFM
HLKD-TVKBS창원 1TVCH 6HLAI-DTV
HLKJHLKJKBS 라디오서울792㎑HLSQ → 폐국1963~1991, 전신) DBS 동아방송
SBS 러브FM으로 이관하면서
호출 부호 변경 후 폐국
HLKJ-FMJBC 세계잼버리 방송95.9㎒폐국1991, 소출력 FM
HLKLHLKLKBS전주 1라디오
남원 중계소
1260㎑폐국~2009, 구) KBS남원 1라디오
HLKL-FMKBS광주 FM92.3㎒HLKH-FM현재에도 시보에서 고지
HLKOKBS마산 1라디오1430㎑HLKD
→ 중계소로 격하
(HLKC)
1947~1959, 구) JBOK
(조선방송협회)
이후 KBS창원 2라디오로 이관
현) KBS 3라디오(936㎑)
KBS전주 1라디오
무주 중계소
1368㎑폐국
HLKP부산CBS 표준FM1404㎑폐국1959~2023
HLKT대구CBS 표준FM1251㎑폐국1959~2022,
한국 최초의 지역 민영방송 호출 부호
HLKU부산MBC 표준FM1161㎑폐국1959~2023
HLKVMBC 표준FM900㎑폐국1961~2023
HLKWKBS진주 1라디오
거창 중계소
1026㎑폐국
HLKZHLKZKBS순천 2라디오576㎑중계소로 격하
(HLKC)
1976~2002, 구) KBS순천 1라디오
KBS 3라디오로 이관하면서
호출 부호 변경
HLKZ-SFMKBS순천 해피FM102.7㎒중계소로 격하
(HLAA-SFM)
2003~2005
HLKZ-TVHLKZ-TVCH 9폐국1956~1961, 후신) KBS 1TV
(한국 최초의 TV 호출 부호)
HLMCHLMC-TDMBU1CH 8A폐국2005~2021
HLQAKBS대전 1라디오
부여 중계소
927㎑폐국구) KBS공주 1라디오
HLQCKBS제주 1라디오
고산 중계소
1539㎑폐국
HLQDHLQDKBS춘천 1라디오
홍천 중계소
927㎑폐국~2008
HLQD-FMKBS강릉 FM89.1㎒HLKR-FM
HLQEKBS강릉 1라디오
사북 중계소
1602㎑폐국구) KBS태백 1라디오
HLQGKBS안동 1라디오
영양 중계소
1233㎑폐국~2008
HLQIHLQI-FM충주MBC 표준FM96.1㎒HLAO-SFM현) MBC충북 충주 표준FM
HLQJKBS광주 1라디오
영광 중계소
1323㎑폐국
HLQKHLQK-TVEBS TVCH 13HLQL-DTV구) KBS 3TV, 전국 공용
현) EBS 1TV
HLQRKBS안동 1라디오
청송 중계소
1206㎑폐국
HLQSHLQSKBS대전 1라디오
공주 중계소
1485㎑폐국구) KBS공주 1라디오
HLQS-FMKBS대전 FM98.5㎒HLKI-FM
HLQTKBS충주 1라디오
단양 중계소
1584㎑폐국구) HLDK
HLQUKBS순천 1라디오
고흥 중계소
1485㎑폐국
HLQVKBS창원 1라디오
합천 중계소
1278㎑폐국1975~2019,
국내 최후의 AM 중계소 호출 부호
HLQWHLQWKBS청주 1라디오
보은 중계소
945㎑폐국~2016
HLQW-FMKBS청주 FM94.1㎒HLKQ-FM
HLQXHLQXKBS강릉 1라디오
진부 중계소
675㎑폐국~2006
HLQX-FMKBS원주 FM89.5㎒HLCW-FM
HLQYKBS대구 1라디오
구미 중계소
909㎑폐국1978~2017
HLQZKBS대전 1라디오
금산 중계소
1584㎑폐국
HLSB원주MBC 표준FM1242㎑폐국1970~2023
HLSCKBS대구 1라디오
점촌 중계소
540㎑폐국~2017
HLSDKBS안동 1라디오
봉화 중계소
1458㎑폐국
HLSEKBS춘천 1라디오
인제 중계소
630㎑폐국
HLSHHLSHKBS진주 1라디오
함양 중계소
1458㎑폐국
HLSH-FMKBS진주 FM89.3㎒HLCJ-FM
HLSIKBS광주 1라디오
구례 중계소
1269㎑폐국
HLSLHLSLKBS순천 1라디오
보성 중계소
648㎑폐국
HLSL-FMKBS목포 FM98.3㎒HLKN-FM
HLSJKBS강릉 1라디오
태백 중계소
621㎑폐국구) KBS태백 1라디오
HLSKKBS대구 1라디오
김천 중계소
1503㎑폐국1965~2012
HLSMHLSMKBS광주 1라디오
장흥 중계소
540㎑폐국
HLSM-FM광주MBC 표준FM93.9㎒HLCN-SFM
HLSNKBS전주 1라디오
장수 중계소
540㎑폐국
HLSOHLSO-FM안동MBC 표준FM100.1㎒HLAW-SFM
HLSPHLSP-FM여수MBC 표준FM100.7㎒HLAT-SFM현) 100.3㎒
HLSQSBS 러브FM792㎑폐국1991~2023, 구) HLKJ
(DBS 동아방송KBS 라디오서울)
HLSRHLSR-FMKBS전주 FM100.7㎒HLKF-FM
HLSR-TV호남TVCH 9HLCN-DTV
HLSSHLSS-SFMKBS춘천 1라디오99.5㎒HLKM-SFM
HLSUKBS진주 1라디오
하동 중계소
927㎑폐국
HLSVKBS포항 1라디오
울진 중계소
1305㎑폐국1967~2013
HLSWKBS강릉 1라디오
정선 중계소
1206㎑폐국~2017
HLSYKBS춘천 1라디오
양구 중계소
846㎑폐국
HLSZHLSZ-FMKBS포항 1라디오95.9㎒HLCP-SFM


2. 일본(JO)[편집]



2.1. 일러두기[편집]


일본은 ITU으로부터 호출 부호 접두사를 JA~JS, 7A~7N, 8J~8N으로 부여받았으며 방송 호출 부호는 JO로 시작한다.[8] 한국과 똑같이 중파방송에는 접미어가 없으며 FM 방송에는 -FM, 디지털 TV 방송에는 -DTV를 부여받는다. 또한 단파방송에는 마지막 자리에 1~2자리 번호가 붙고 한국의 공동체 라디오에 해당하는 커뮤니티 방송은 공용 호출 부호 'JOZZ'에 '1자리 관할 종합 통신국 번호+2자리 일련 로마자-FM'으로 부여되며 FM 방송 내 문자 다중 방송에는 '-FCM', 임시목적(재해, 이벤트)의 방송국에는 'JOYZ'라는 공용 호출 부호를 부여한다. 자세한 사항은 일본어 위키백과의 일본의 호출 부호 개요목록 또한 참조하는 것이 좋다.


2.2. 단파[편집]


NHK 월드 라디오 일본은 JOB+방송 주파수의 MHz 단위 번호로 부여받았으며 라디오 닛케이는 JOZ+번호 1자리로 부여받았으나 JOZ1은 1과 I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서인지 부여되어 있지 않다. 또한 시오카제는 법령상 일반적인 기간 방송국이 아닌 특별업무의 국으로 규정되어 있어서인지 JO 접두사가 아닌 JS 접두사로 부여받았다.

호출 부호방송사(국)주파수
채널번호
비고
JOB6NHK 월드 라디오 일본6㎒ 대역야마타 송신소 송출 한정
JOB77㎒ 대역
JOB99㎒ 대역
JOB1111㎒ 대역
JOB1313㎒ 대역
JOB1515㎒ 대역
JOB1717㎒ 대역
JOB2121㎒ 대역
JOZ라디오 닛케이 제1방송3925㎑송출 휴지
(비상시 운영)
JOZ2라디오 닛케이 제1방송6055㎑
JOZ3라디오 닛케이 제1방송9595㎑송출 휴지
(비상시 운영)
JOZ4라디오 닛케이 제1방송3925㎑
JOZ5라디오 닛케이 제2방송3945㎑송출 휴지
(비상시 운영)
JOZ6라디오 닛케이 제2방송6115㎑
JOZ7라디오 닛케이 제2방송9760㎑송출 휴지
(비상시 운영)
JSR시오카제5~7㎒ 대역


2.3. JO#B국[편집]


NHK 제2방송 계열 중 초기에 개국한 지역국들이 부여받은 대역이다. B는 로마자의 2번째 문자이기에 제2방송 계열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대역을 부여받은 NHK 지역국들의 제1방송 계열은 JO#K국이다.

호출 부호방송사(국)주파수
채널번호
비고
JOABJOABNHK 라디오 제2방송693㎑
JOAB-DTVNHK 교육TVCH 26
JOBBJOBBNHK 오사카 제2방송828㎑
JOBB-DTVNHK 오사카 교육TVCH 13
JOCBJOCBNHK 나고야 제2방송909㎑
JOCB-DTVNHK 나고야 교육TVCH 13
JODB
JOEB
JOFBJOFBNHK 히로시마 제2방송702㎑
JOFB-DTVNHK 히로시마 교육TVCH 15
JOGBJOGBNHK 구마모토 제2방송873㎑
JOGB-DTVNHK 구마모토 교육TVCH 24
JOHBJOHBNHK 센다이 제2방송1089㎑
JOHB-DTVNHK 센다이 교육TVCH 13
JOIBJOIBNHK 삿포로 제2방송747㎑
JOIB-DTVNHK 삿포로 교육TVCH 13
JOJBJOJBNHK 가나자와 제2방송1386㎑
JOJB-DTVNHK 가나자와 교육TVCH 13
JOKBJOKBNHK 오카야마 제2방송1386㎑
JOKB-DTVNHK 오카야마 교육TVCH 45
JOLBJOLBNHK 후쿠오카 제2방송1017㎑
JOLB-DTVNHK 후쿠오카 교육TVCH 22
JOMB
JONBJONBNHK 나가노 제2방송1467㎑
JONB-DTVNHK 나가노 교육TVCH 13
JOOB
JOPBJOPBNHK 시즈오카 제2방송639㎑
JOPB-DTVNHK 시즈오카 교육TVCH 13
JOQBJOQBNHK 니가타 제2방송1593㎑
JOQB-DTVNHK 니가타 교육TVCH 13
JORBJORBNHK 고치 제2방송1152㎑
JORB-DTVNHK 고치 교육TVCH 13
JOSBJOSBNHK 기타규슈 제2방송1602㎑
JOSB-DTVNHK 기타규슈 교육TVCH 42
JOTBJOTBNHK 마츠에 제2방송1593㎑
JOTB-DTVNHK 마츠에 교육TVCH 19
JOUBJOUBNHK 아키타 제2방송774㎑
JOUB-DTVNHK 아키타 교육TVCH 50
JOVBJOVBNHK 하코다테 제2방송1467㎑
JOVB-DTVNHK 하코다테 교육TVCH 14
JOWB
JOXBJOXB-DTVNHK 도쿠시마 교육TVCH 40
JOYB
JOZBJOZBNHK 마츠야마 제2방송1512㎑
JOZB-DTVNHK 마츠야마 교육TVCH 13


2.4. JO#C국[편집]


NHK 제2방송 계열 중 JO#B국 다음으로 개국한 지역국들이 부여받은 대역으로 C는 JO#B국 다음으로 개국한 NHK 제2방송 계열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대역을 부여받은 NHK 지역국들의 제1방송 계열은 JO#G국이다.

호출 부호방송사(국)주파수
채널번호
비고
JOACJOACNHK 나가사키 제2방송1377㎑
JOAC-DTVNHK 나가사키 교육TVCH 13
JOBC
JOCCJOCCNHK 아사히카와 제2방송1602㎑
JOCC-DTVNHK 아사히카와 교육TVCH 13
JODC
JOEC
JOFCJOFCNHK 후쿠이 제2방송1521㎑
JOFC-DTVNHK 후쿠이 교육TVCH 21
JOGC
JOHCJOHCNHK 가고시마 제2방송1386㎑
JOHC-DTVNHK 가고시마 교육TVCH 18
JOICJOICNHK 도야마 제2방송1035㎑
JOIC-DTVNHK 도야마 교육TVCH 24
JOJCJOJCNHK 야마가타 제2방송1521㎑
JOJC-DTVNHK 야마가타 교육TVCH 13
JOKCJOKCNHK 고후 제2방송1602㎑
JOKC-DTVNHK 고후 교육TVCH 23
JOLCJOLCNHK 돗토리 제2방송1125㎑
JOLC-DTVNHK 돗토리 교육TVCH 20
JOMCJOMCNHK 미야자키 제2방송1467㎑
JOMC-DTVNHK 미야자키 교육TVCH 13
JONC
JOOCJOOCNHK 오비히로 제2방송1125㎑
JOOC-DTVNHK 오비히로 교육TVCH 13
JOPCJOPCNHK 구시로 제2방송1152㎑
JOPC-DTVNHK 구시로 교육TVCH 29
JOQCJOQCNHK 모리오카 제2방송1386㎑
JOQC-DTVNHK 모리오카 교육TVCH 13
JORC
JOSC
JOTCJOTCNHK 아오모리 제2방송1521㎑
JOTC-DTVNHK 아오모리 교육TVCH 13
JOUCJOUCNHK 야마구치 제2방송1377㎑
JOUC-DTVNHK 야마구치 교육TVCH 13
JOVC
JOWC
JOXC
JOYC
JOZC


2.5. JO#D국[편집]


NHK 제2방송 계열 중 JO#C국 다음으로 개국한 지역국들이 부여받은 대역으로 D는 JO#C국 다음으로 개국한 NHK 제2방송 계열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대역을 부여받은 NHK 지역국들의 제1방송 계열은 JO#P국이다. 다만 방송대학학원은 예외로 JOUD를 부여받았으나 2018년 폐국하였다. NHK 제2방송 계열과 방송 목적이 비슷하여 NHK 제2방송 대역과 같이 묶어놓았던 것으로 보인다.

호출 부호방송사(국)주파수
채널번호
비고
JOADJOADNHK 오키나와 제2방송1125㎑
JOAD-DTVNHK 오키나와 교육TVCH 13
JOBD
JOCD
JODD
JOED
JOFDJOFDNHK 후쿠시마 제2방송1602㎑
JOFD-DTVNHK 오키나와 교육TVCH 14
JOGD
JOHDJOHDNHK 다카마츠 제2방송1035㎑
JOHD-DTVNHK 다카마츠 교육TVCH 13
JOIDJOIDNHK 오이타 제2방송1467㎑
JOID-DTVNHK 오이타 교육TVCH 14
JOJD
JOKDJOKDNHK 기타미 제2방송702㎑
JOKD-DTVNHK 기타미 교육TVCH 13
JOLD
JOMD
JOND
JOOD
JOPD
JOQD
JORD
JOSDJOSD-DTVNHK 사가 교육TVCH 25
JOTD
JOUD
JOVD
JOWD
JOXD
JOYD
JOZD


2.6. JO#F국[편집]


AM 방송으로 최초 개국한 민영방송 중 JO#R국 다음으로 개국한 방송국들이 부여받은 대역이다.

호출 부호방송사(국)주파수
채널번호
비고
JOAFJOAF난카이 방송 라디오1116㎑
91.7㎒
JOAF-DTV난카이 방송CH 20
JOBFJOBF구마모토 방송1197㎑
91.4㎒
JOBF-DTVCH 41
JOCFJOCF미나미니혼 방송1107㎑
92.8㎒
JOCF-DTVCH 40
JODFJODFIBC 라디오684㎑
90.6㎒
JODF-DTVIBC 테레비CH 16
JOEFJOEF야마가타 방송918㎑
92.4㎒
JOEF-DTVCH 16
JOFF
JOGFJOGF오이타 방송1098㎑
93.3㎒
JOGF-DTVCH 22
JOHFJOHFBSS 산인 방송900㎑
87.1㎒
JOHF-DTVCH 45
JOIFJOIF규슈 아사히 방송1413㎑
90.2·93.0㎒
JOIF-DTVCH 31
JOJFJOJFYBS 라디오765㎑
90.9㎒
JOJF-DTV야마나시 방송CH 25
JOKFJOKF니시닛폰 방송1449㎑
90.3㎒
JOKF-DTVCH 20
JOLF닛폰 방송1242㎑
93.0㎒
JOMF나가사키 방송
사세보 중계소
1098㎑구) 라디오 사세보
JONFJONFmrt 라디오936㎑
90.4㎒
JONF-DTVmrt 미야자키 방송CH 15
JOOFJOOF-DTV오키나와 TV 방송[9]구) KSDW-TV
JOPFJOPF야마구치 방송765㎑
92.3㎒
JOPF-DTVCH 20
JORFRF 라디오 일본1422㎑
92.4㎒
JOSF도카이 라디오1332㎑
92.9㎒
JOTF
JOUFOBC 라디오 오사카1314㎑
91.9㎒
JOVF와카야마 방송1431㎑
94.2㎒
JOWFSTV 라디오1440㎑
90.4㎒
JOXF도치기 방송1530㎑
94.1㎒
JOYFIBS 이바라키 방송1197㎑
94.6㎒
JOZFJOZF기후 방송1431㎑
90.4㎒
JOZF-DTVCH 30



2.7. JO#G국[편집]


NHK 제1방송 계열 중 JO#K국 다음으로 개국한 지역국들이 부여받은 대역으로 G는 NHK 제1방송 계열 중 NHK 종합TV(NHK G)가 있는 것을 보면 NHK G와 똑같이 종합(General)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대역을 부여받은 NHK 지역국들의 제2방송 계열은 JO#C국이다.

호출 부호방송사(국)주파수
채널번호
비고
JOAGJOAGNHK 나가사키 제1방송684㎑
JOAG-FMNHK 나가사키 FM84.5㎒
JOAG-DTVNHK 나가사키 종합TVCH 15
JOBG
JOCGJOCGNHK 나가사키 제1방송621㎑
JOCG-FMNHK 아사히카와 FM85.8㎒
JOCG-DTVNHK 아사히카와 종합TVCH 15
JODG
JOEG
JOFGJOFGNHK 후쿠이 제1방송927㎑
JOFG-FMNHK 후쿠이 FM83.4㎒
JOFG-DTVNHK 후쿠이 종합TVCH 19
JOGG
JOHGJOHGNHK 가고시마 제1방송576㎑
JOHG-FMNHK 가고시마 FM85.6㎒
JOHG-DTVNHK 가고시마 종합TVCH 34
JOIGJOIGNHK 도야마 제1방송648㎑
JOIG-FMNHK 도야마 FM81.5㎒
JOIG-DTVNHK 도야마 종합TVCH 27
JOJGJOJGNHK 야마가타 제1방송540㎑
JOJG-FMNHK 야마가타 FM82.1㎒
JOJG-DTVNHK 야마가타 종합TVCH 14
JOKGJOKGNHK 고후 제1방송927㎑
JOKG-FMNHK 고후 FM85.6㎒
JOKG-DTVNHK 고후 종합TVCH 21
JOLGJOLGNHK 돗토리 제1방송1368㎑
JOLG-FMNHK 돗토리 FM85.6㎒
JOLG-DTVNHK 돗토리 종합TVCH 29
JOMGJOMGNHK 미야자키 제1방송540㎑
JOMG-FMNHK 미야자키 FM86.2㎒
JOMG-DTVNHK 미야자키 종합TVCH 14
JONG
JOOGJOOGNHK 오비히로 제1방송603㎑
JOOG-FMNHK 오비히로 FM87.5㎒
JOOG-DTVNHK 오비히로 종합TVCH 15
JOPGJOPGNHK 구시로 제1방송585㎑
JOPG-FMNHK 구시로 FM88.5㎒
JOPG-DTVNHK 구시로 종합TVCH 33
JOQGJOQGNHK 모리오카 제1방송531㎑
JOQG-FMNHK 모리오카 FM83.1㎒
JOQG-DTVNHK 모리오카 종합TVCH 14
JORG
JOSG
JOTGJOTGNHK 아오모리 제1방송963㎑
JOTG-FMNHK 아오모리 FM86.0㎒
JOTG-DTVNHK 아오모리 종합TVCH 16
JOUGJOUGNHK 야마구치 제1방송675㎑
JOUG-FMNHK 야마구치 FM85.3㎒
JOUG-DTVNHK 야마구치 종합TVCH 16
JOVG
JOWG
JOXG
JOYG
JOZG


2.8. JO#K국[편집]


NHK 제1방송 계열 중 초기에 개국한 지역국들이 부여받은 대역으로 K는 협회(協会, Kyōkai)를 의미한다. 이 대역을 부여받은 NHK 지역국들의 제2방송 계열은 JO#B국이다. 한국에서도 일제 강점기에 이 대역이 조선방송협회의 JODK를 통해 부여됐던 적이 있으나 현재 해당 부호는 결번이다.

호출 부호방송사(국)주파수
채널번호
비고
JOAKJOAKNHK 라디오 제1방송594㎑
JOAK-FMNHK-FM82.5㎒
JOAK-DTVNHK 종합TVCH 27
JOBKJOBKNHK 오사카 제1방송666㎑
JOBK-FMNHK 오사카 FM88.1㎒
JOBK-DTVNHK 오사카 종합TVCH 24
JOCKJOCKNHK 나고야 제1방송729㎑
JOCK-FMNHK 나고야 FM82.5㎒
JOCK-DTVNHK 나고야 종합TVCH 20
JODK
JOEK
JOFKJOFKNHK 히로시마 제1방송1071㎑
JOFK-FMNHK 히로시마 FM88.3㎒
JOFK-DTVNHK 히로시마 종합TVCH 14
JOGKJOGKNHK 구마모토 제1방송756㎑
JOGK-FMNHK 구마모토 FM85.4㎒
JOGK-DTVNHK 구마모토 종합TVCH 28
JOHKJOHKNHK 센다이 제1방송891㎑
JOHK-FMNHK 센다이 FM82.5㎒
JOHK-DTVNHK 센다이 종합TVCH 17
JOIKJOIKNHK 삿포로 제1방송567㎑
JOIK-FMNHK 삿포로 FM85.2㎒
JOIK-DTVNHK 삿포로 종합TVCH 15
JOJKJOJKNHK 가나자와 제1방송1224㎑
JOJK-FMNHK 가나자와 FM82.2㎒
JOJK-DTVNHK 가나자와 종합TVCH 15
JOKKJOKKNHK 오카야마 제1방송603㎑
JOKK-FMNHK 오카야마 FM88.7㎒
JOKK-DTVNHK 오카야마 종합TVCH 32
JOLKJOLKNHK 후쿠오카 제1방송612㎑
JOLK-FMNHK 후쿠오카 FM84.8㎒
JOLK-DTVNHK 후쿠오카 종합TVCH 28
JOMK
JONKJONKNHK 나가노 제1방송819㎑
JONK-FMNHK 나가노 FM84.0㎒
JONK-DTVNHK 나가노 종합TVCH 17
JOOKJOOK-FMNHK 교토 FM82.8㎒구) JOTP-FM
JOOK-DTVNHK 교토 종합TVCH 25
JOPKJOPKNHK 시즈오카 제1방송882㎑
JOPK-FMNHK 시즈오카 FM88.8㎒
JOPK-DTVNHK 시즈오카 종합TVCH 20
JOQKJOQKNHK 니가타 제1방송837㎑
JOQK-FMNHK 니가타 FM82.3㎒
JOQK-DTVNHK 니가타 종합TVCH 15
JORKJORKNHK 고치 제1방송990㎑
92.8㎒NHK 최초의 키 스테이션 와이드FM
JORK-FMNHK 고치 FM87.5㎒
JORK-DTVNHK 고치 종합TVCH 15
JOSKJOSKNHK 기타규슈 제1방송540㎑
JOSK-FMNHK 기타규슈 FM85.7㎒
JOSK-DTVNHK 기타규슈 종합TVCH 40
JOTKJOTKNHK 마츠에 제1방송1296㎑
JOTK-FMNHK 마츠에 FM84.5㎒
JOTK-DTVNHK 마츠에 종합TVCH 21
JOUKJOUKNHK 아키타 제1방송1503㎑
JOUK-FMNHK 아키타 FM86.7㎒
JOUK-DTVNHK 아키타 종합TVCH 48
JOVKJOVKNHK 하코다테 제1방송675㎑
JOVK-FMNHK 하코다테 FM87.0㎒
JOVK-DTVNHK 하코다테 종합TVCH 18
JOWK
JOXKJOXKNHK 도쿠시마 제1방송945㎑
JOXK-FMNHK 도쿠시마 FM83.4㎒
JOXK-DTVNHK 도쿠시마 종합TVCH 34
JOYK
JOZKJOZKNHK 마츠야마 제1방송963㎑
JOZK-FMNHK 마츠야마 FM87.7㎒
JOZK-DTVNHK 마츠야마 종합TVCH 16


2.9. JO#P국[편집]


NHK 제1방송 계열 중 JO#G국 다음으로 개국한 지역국들이 부여받은 대역으로 P는 공영방송(Public Broadcasting)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대역을 부여받은 NHK 지역국들의 제2방송 계열은 JO#D국이다.

호출 부호방송사(국)주파수
채널번호
비고
JOAPJOAPNHK 오키나와 제1방송549㎑
JOAP-FMNHK 오키나와 FM88.1㎒NHK 마에바시 FM
구 호출 부호
JOAP-DTVNHK 오키나와 종합TVCH 17구) KSGB-TV
(오키나와방송협회)
JOBPJOBP-FMNHK 우츠노미야 FM80.3㎒
JOBP-DTVNHK 우츠노미야 종합TVCH 47
JOCP
JODP
JOEPJOEP-FMNHK 미토 FM83.2㎒
JOEP-DTVNHK 미토 종합TVCH 20
JOFPJOFPNHK 후쿠시마 제1방송1323㎑
JOFP-FMNHK 후쿠시마 FM85.3㎒
JOFP-DTVNHK 후쿠시마 종합TVCH 15
JOGPJOGP-FMNHK 요코하마 FM81.9㎒
JOHPJOHPNHK 다카마츠 제1방송1368㎑
JOHP-FMNHK 다카마츠 FM86.0㎒
JOHP-DTVNHK 다카마츠 종합TVCH 24
JOIPJOIPNHK 오이타 제1방송639㎑
JOIP-FMNHK 오이타 FM88.9㎒
JOIP-DTVNHK 오이타 종합TVCH 15
JOJP
JOKPJOKPNHK 기타미 제1방송1188㎑
JOKP-FMNHK 기타미 FM86.0㎒
JOKP-DTVNHK 기타미 종합TVCH 18
JOLPJOLP-FMNHK 사이타마 FM85.1㎒
JOMPJOMP-FMNHK 지바 FM80.7㎒
JONPJONP-FMNHK 쓰 FM81.8㎒
JONP-DTVNHK 쓰 종합TVCH 28
JOOPJOOP-FMNHK 기후 FM83.6㎒
JOOP-DTVNHK 기후 종합TVCH 29
JOOPJOOP-FMNHK 기후 FM83.6㎒
JOOP-DTVNHK 기후 종합TVCH 29
JOPPJOPP-FMNHK 고베 FM86.5㎒
JOPP-DTVNHK 고베 종합TVCH 22
JOQPJOQPNHK 오쓰 제1방송945㎑
JOQP-FMNHK 오쓰 FM84.0㎒
JOQP-DTVNHK 오쓰 종합TVCH 26
JORPJORP-FMNHK 와카야마 FM84.7㎒
JORP-DTVNHK 와카야마 종합TVCH 23
JOSPJOSPNHK 사가 제1방송963㎑
JOSP-FMNHK 사가 FM81.6㎒
JOSP-DTVNHK 사가 종합TVCH 33
JOTPJOTP-FMNHK 마에바시 FM81.6㎒구) JOAP-FM
NHK 교토 FM
구 호출 부호
JOTP-DTVNHK 마에바시 종합TVCH 37
JOUPJOUP-FMNHK 나라 FM87.4㎒
JOUP-DTVNHK 나라 종합TVCH 31
JOVP
JOWP
JOXP
JOYP
JOZP


2.10. JO#Q국[편집]


NHK 제1방송 계열 중 JO#G국 다음으로 개국한 지역국들이 부여받은 대역으로 현재 무로란(JOIQ)만 사용하고 있다. 이 대역을 부여받은 NHK 지역국들의 제2방송 계열은 JO#Z국이다.

호출 부호방송사(국)주파수
채널번호
비고
JOIQJOIQNHK 무로란 제1방송945㎑
JOIQ-FMNHK 무로란 FM88.0㎒
JOIQ-DTVNHK 무로란 종합TVCH 24


2.11. JO#R국[편집]


AM 방송으로 최초 개국한 민영방송 중 초기(1951~1953년)에 개국한 방송국들이 부여받은 대역이다. 본래 AM방송으로 부여한 대역이기에 R은 라디오(Radio)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2.12. JO#S국[편집]







2.13. JO#X국[편집]


TV 방송으로 최초 개국한 민영방송 중 초기(1953~1964년)에 개국한 방송국들이 부여받은 대역이다.

호출 부호방송사(국)주파수
채널번호
비고
JOAXJOAX-DTV닛폰 테레비CH 25
JOBXJOBX-DTV오이타 아사히 방송CH 32오사카 TV 방송
구 호출 부호
JOCXJOCX-DTV후지TVCH 21
JODXJODX-DTV간사이 테레비CH 17
JOEXJOEX-DTVtv asahiCH 24
JOFXJOFX-DTV도카이 테레비CH 21
JOGXJOGX-DTVCBC테레비CH 18구) JOAR-DTV
서부 마이니치 TV
구 호출 부호
JOHX
JOIXJOIX-DTV요미우리 테레비CH 14
JOJXJOJX-DTV니혼카이 TV 방송CH 38
JOKXJOKX-DTV삿포로 테레비CH 21
JOLXJOLX-DTV나고야 테레비CH 22
JOMXJOMX-DTVTOKYO MXCH 16
JONXJONX-DTV히로시마 테레비CH 19
JOOXJOOX-DTV센다이 방송CH 21
JOPXJOPX-DTV후쿠시마 TVCH 25
JOQXJOQX-DTV고치 선선 TVCH 21
JORXJORX-DTVTBS 테레비CH 22구) JOKR-TV
JOSXJOSX-DTVDaiichi-TVCH 19
JOTXJOTX-DTV테레비 도쿄CH 23
JOUXJOUX-DTV니가타 TV 21
JOVXSTV 라디오
아바시리 중계소
909㎑JO#X국 유일의
라디오 방송국
JOWXJOWX-DTV테레비 가나자와CH 17
JOXXJOXX-DTV아키타 아사히 방송CH 29
JOYXJOYX-DTV야마구치 아사히 방송CH 26
JOZX


2.14. JO#Z국[편집]


본래 NHK 제2방송 계열 중 JO#D국 다음으로 개국한 지역국들이 부여받은 대역이나 현재 NHK는 무로란(JOIZ)만 사용하고 있으며 커뮤니티 FM 등 소출력 방송국도 사용하고 있다. 이 대역을 부여받은 NHK 지역국들의 제1방송 계열은 JO#Q국이다.

호출 부호방송사(국)주파수
채널번호
비고
JOIZJOIZNHK 무로란 제2방송1125㎑
JOIZ-DTVNHK 무로란 교육TVCH 16
JOYZJOYZnxx-FM임시목적 FM 공용
(재해, 이벤트)
76.1~89.9㎒JOYZ+지역번호 1자+일련 1~2문자-FM
JOZZJOZZnxx-FM커뮤니티 FM 공용76.1~89.9㎒JOZZ+지역번호 1자+일련 2문자-FM


2.15. 반납된 호출 부호[편집]


비고에 나온 시기는 해당 호출 부호가 사용된 시기로 사용 중 방송사가 바뀐 경우 이전 방송사 시기도 포함한다. 방송국 명칭과 채널은 해당 호출 부호의 반납 당시 명칭, 채널로 수록하였다.

호출 부호방송사(국)주파수
채널번호
비고
JOUDJOUD-FM방송대학학원77.1㎒1984~2018
JOUD-DTVCH 282006~2018
현재 위성방송으로 전환
JOFF라디오 도카이1460㎑1955~1960, 구) 기후 방송(GHK)
현) 도카이 라디오
JOOF극동방송(영어)1020㎑1972~1977, 구) KSAB
JOTF극동방송(일본어)1251㎑1972~1984, 구) KSDX
현) FM 오키나와(JOIU-FM)
후신) febc 제주극동방송
JOOKNHK 교토 제1방송621㎑1932~2015
JOARJOAR-DTVCBC테레비CH 181956~2013
현) JOGX-DTV
JOKRJOKR-TVTBS 테레비CH 61955~2001
현) JORX-DTV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5 13:48:20에 나무위키 호출 부호/방송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부산광주는 전 시간대에 쓰이고 있고(광주는 옛 호출부호 'HLKL'을 고지.) 전주는 방송시작고지 후 시보에 쓰인다.[2] 이 형식도 지역마다 다르다.[3] 당시는 호출부호식 국명과 방송명이 혼재되고 있었는데, DBS나 TBC가 그러하다. KBS의 경우는 1961년 이후 KBS 중앙방송국이라고 부르다가 1973년 공사화 이후 완전히 KBS로 굳어진다.[4] 수도권 기준 EBS(舊 VHF CH13)를 제외하고 기존 아날로그 TV 시청자의 경로의존성을 배려해 가상채널번호를 할당한 것이 특징이다.[5] 21세기 이후 개국한 GTB(G1), JIBS, OBS는 각기 다른 대역을 할당받았다.[출처1] A B 1993년 전기연감(498~503p, 호출 부호는 1992년 자료)[출처2] A B 출처(1999년 전기연감 480~482p)[출처3] 출처(방통위 방송사업자 목록)[6] 사실 iTV의 후신을 OBS로 볼 수 있는지는 이견의 여지가 있다. 경인방송 법인 자체는 존속하고 방송 역시 FM 라디오로나마 이어나가고 있다는 점에서 더더욱.[7] 상술한 iTV의 사례와 마찬가지로 이견의 여지가 있지만 이 쪽은 경기방송 법인 자체만 존속하고 있을 뿐 방송을 아예 그만두면서 제작 인력 대부분이 넘어왔기 때문에 후신으로 대우해주는 분위기.[8] 다만 호출 부호가 JS로 시작하는 시오카제와 같이 법령상 일반적인 기간 방송국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은 방송국의 경우 다른 접두사를 쓰기도 한다.[9] JO#F국중 유일한 TV 단영 방송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