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제군/정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인제군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인제군 CI.svg 강원도 인제군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인제군 전역 + 속초시, 고성군, 양양군 전역
도의원인제군인제군 전역

2. 개요[편집]


인구가 적은 농촌 사정 상 여러 개의 시군과 공동으로 국회의원 선거구를 구성하고 있다. 현재는 전방 4군(철화양인)중 가장 보수세가 약하고 민주당세가 꽤나 있는 곳이긴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전방답게 보수세가 강하다.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선 박근혜 후보가 61.92%를 얻어서 37.29%를 얻은 문재인 후보를 꺾었다. 하지만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해서 약 3% 차이로 문재인이 승리하여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홍천군과 같이 문재인이 앞선 지역이 되었다. 앞으로는 철화 양인 + 홍천군 지역 구도 자유한국당으로썬 안심할 수 없다. 특히 지역구 의원인 황영철은 철새이기에 더 안심할 수 없다.

그 와중에 2018 제1차 남북정상회담2018년 북미정상회담 영향으로 전국에 더불어민주당 태풍이 불어닥쳤던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각각 더불어민주당 최문순최상기가 모두 큰 격차로 상대 자유한국당 후보를 꺾고 강원도지사와 인제군수로 당선되기도 했다.

남북관계가 다시 경색된 후에 치러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미래통합당 이양수 후보가 이기긴 했지만 접경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초접전 끝에 개표 막판에야 승리를 확정짓는 의외의 결과가 나왔는데 이는 특별사면 이후 전격적으로 정계에 복귀한 이광재강원도지사의 후광 효과인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더불어민주당이 폭망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더불어민주당 최상기 군수가 재선에 성공하였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인제군 CI.svg 인제군 국회의원 선거 결과
춘성군·양구군·인제군
13대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이민섭3선
14대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4선
속초시·고성군·양양군·인제군
15대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송훈석초선
16대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재선
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
17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세환초선
18대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이용삼4선
2010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한기호초선
19대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재선
홍천군·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
20대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황영철3선[1][2]
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
21대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이양수재선

파일:인제군 CI.svg 역대 인제군수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62010
무소속한나라당새천년민주당한나라당무소속
이승호김장준박삼래이기순 [3]
2011재보궐201420182022
한나라당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
이순선최상기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무소속|
무소속
]]
이승호 60.83%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최석규 39.16%
1998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이승호 51.36%

2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김장준 48.63%
2002년1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장준 52.18%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변완기 41.61%
2006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삼래 54.40%

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김장준 45.59%
2010년1위:
[[무소속|
무소속
]]
이기순 44.89%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삼래 44.21%
3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김관용 10.88%
2011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순선 43.20%

2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최상기 42.72%
2014년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이순선 50.66%

2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최상기 41.17%
2018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최상기 54.74%

2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이순선 41.68%
2022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최상기 51.40%

2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순선 46.99%
[1] 2019.10.31. 의원직 상실(선거법 위반).[2]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3] 2011.8.18. 군수직 상실(선거법 위반).


3.1. 지선[편집]


8회 지선 인제군 개표 결과
강원도지사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이광재김진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8,612
(48.29%)
9,221
(51.70%)
- 609
(▼3.41)
18,540
(66.35%)
인제읍51.70%48.29%△3.4065.17%
남면46.23%53.76%▼7.5261.01%
북면50.68%49.31%△1.3765.00%
기린면42.76%57.23%▼14.4665.58%
서화면44.12%55.87%▼11.7458.60%
상남면43.00%56.99%▼13.9862.74%
후보이광재김진태격차
거소투표42.50%57.50%▼15.00
관외사전투표48.78%51.21%▼2.43
국회의원
선거구
이광재김진태격차투표율
속초·인제·
고성·양양
[4]
43.96%56.03%▼12.0756.61%
후보이광재김진태격차투표율
읍 지역[5]51.70%48.29%△3.4065.17%
면 지역[6]46.62%53.37%▼6.7563.45%

인제군수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최상기이순선(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9,280
(51.40%)
8,484
(46.99%)
+ 796
(△4.40)
18,541
(66.36%)
인제읍50.01%48.62%△1.3965.14%
남면51.43%47.03%△4.3960.91%
북면62.21%36.74%△25.4665.05%
기린면46.37%51.27%▼4.8965.58%
서화면44.95%53.02%▼8.0758.88%
상남면40.30%57.59%▼17.2862.74%
후보최상기이순선격차
거소투표43.47%49.06%▼5.59
관외사전투표48.75%49.68%▼0.93

3.2. 대선[편집]



3.2.1.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제20대 대통령 선거 강원 인제군 개표 결과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
(득표율)
8,937
(41.59%)
11,591
(53.94%)
-2,654
(▼12.35)
인제읍
45.60%50.21%▼4.61
남면
39.36%56.05%▼26.29
북면
41.44%54.40%▼22.96
기린면
37.17%57.63%▼20.46
서화면
37.70%56.43%▼18.73
상남면
37.82%58.10%▼20.28
후보이재명윤석열
거소·선상투표
45.07%51.41%▼6.34
관외사전투표
43.10%52.80%▼9.70
국외부재자투표
51.22%43.90%▲7.32
국회의원
선거구별
이재명윤석열격차
속초시·인제군·양양군·고성군[7][A][8]39.94%56.23%▼16.32

3.2.2.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인제군
인제군 일원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6,5746,0094,7591,6651,311
득표율32.0%29.25%23.16%8.10%6.38%
순위1위2위3위4위5위
선거인 수27,251
투표 수20,751
무효표 수210
투표율76.15%

19대 대선 강원 인제군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574
(32.0%)
6,009
(29.25%)
4,759
(23.16%)
1,665
(8.10%)
1,311
(6.38%)
+565
(△2.75)
76.15%
인제읍32.54%30.43%21.89%8.04%6.37%△2.1173.99
남면31.39%30.41%23.46%8.72%5.01%△0.98[9]70.61
북면31.47%29.28%25.77%6.60%5.96%2.1971.50
기린면26.19%34.15%24.42%8.17%5.33%7.9674.99
서화면30.15%29.87%23.06%9.14%6.13%△0.28[10]76.97
상남면29.82%36.74%22.29%5.57%4.85%▼6.9274.50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33.78%11.71%28.38%14.41%6.31%△5.40
관외사전투표40.18%19.25%19.33%10.25%10.13%△20.85
재외투표59.68%3.23%25.81%0%[11]11.29%33.87

3.3. 총선[편집]



3.3.1. 춘성군·양구군·인제군[편집]



3.3.2. 속초시·고성군·양양군·인제군[편집]



3.3.3. 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편집]



3.3.4. 홍천군·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편집]



3.3.5. 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편집]


21대 총선 인제군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이동기이양수(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8,419
(47.10%)
8,603
(48.13%)
- 184
(▼1.03)
18,269
(67.32%)
인제읍49.41%46.27%△3.1365.13%
남면47.68%46.85%△0.8262.96%
북면47.10%49.06%▼1.9663.77%
기린면41.46%53.54%▼12.0867.14%
서화면46.18%47.75%▼1.5767.77%
상남면40.04%56.03%▼16.0066.71%
후보이동기이양수격차
거소·선상투표46.63%35.29%△11.34
관외사전투표54.15%41.16%△12.99
재외투표80.00%20.00%△60.00

비례대표 선거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6,602
(38.59%)
5,154
(30.12%)
1,430
(8.35%)
961
(5.61%)
676
(3.95%)
+ 1,448
(△8.46)
18,270
(67.31%)
인제읍37.60%30.78%10.10%5.93%4.10%△6.8265.13%
남면36.76%32.99%7.65%6.52%3.12%△3.7762.96%
북면39.62%32.22%6.66%4.89%3.57%△7.4063.79%
기린면42.17%25.70%8.11%5.34%3.80%△16.4867.14%
서화면39.31%29.03%7.38%5.50%4.05%△10.2867.81%
상남면42.62%25.43%8.36%4.06%2.90%△17.1966.71%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26.10%23.00%4.86%13.71%2.21%△3.10
관외사전투표33.76%30.82%10.32%5.66%6.73%△2.94
재외투표0%80.00%0%20.00%0%▼80.00

[4] 지역구 국회의원: 이양수 (국민의힘, 재선).[5] 인제읍.[6] 남면, 북면, 기린면, 서화면, 상남면.[7] 속초시 일원, 인제군 일원, 고성군 일원, 양양군 일원.[A] 관외투표 제외.[8] 지역구 국회의원 : 이양수 (국민의힘, 재선).[9]21표 차이였다.[10]5표 차이였다.[11] 실제로 단 1표도 득표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