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문차량사업소 (r1판)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이문역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철도역에 대한 내용은 신이문역 문서
신이문역번 문단을
신이문역#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문차량사업소




다국어 표기
영어
Imun Train Depot
한자
里門車輛事業所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한천로 472 (이문동)[A]
운영기관
망우선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개업일
1964년 1월 11일(구 이문역)
2005년(차량기지)
관리부처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광역차량운영처(2020년 9월~)
철도거리표
망우선
이문기지

1. 개요
2. 역사
3. 배속 차량
4. 기타



1. 개요[편집]



파일:이문차량사업소.jpg

이문차량기지 전경

이문차량사업소(里門車輛事業所)는 한국철도공사의 차량정비시설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한천로 472 (이문동)[A]에 위치해 있다.


2. 역사[편집]


망우선이 부설되면서 영업을 시작한 이문역[1]의 후신이다.[2] 화물 전용역이라 그때도 여객열차가 정차하진 않았다.

서울 시민의 월동을 책임지던 무연탄 저탄장을 가지고 있던 역으로 주로 영동선, 태백선을 통해 서울로 올라오는 무연탄을 취급한 화물 전용역이었다. 전성기엔 1년에 3백만톤 이상의 석탄을 취급한 적도 있다. 그 흔적으로 차량사업소 바로 동쪽에 서울에 유일하게 남은 연탄 공장인 삼천리이앤이가 자리하고 있다. 또 한때는 여름 한정으로 옛 성북역에서 옛 중앙선 선로를 통해 동해안 쪽으로 가기 위해 이 역에서 여객영업을 하기도 했다.

석탄산업이 사양길로 들어서자 2004년 이문역을 폐역하고 그 부지에 차량기지를 건설, 2005년에 완공했다. 그런데 이미 그 주변으로 전부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기지를 건설하려 하자 당시 주민들의 반발이 상당했다고 한다. 당시 철도청은 이러한 반대 주민들을 설득하기 위해 건설 당시부터 주민들을 위한 각종 시설(주차장, 체육관) 등을 설치하고, 사업소 담장을 따라 녹지를 조성한다고 하여 간신히 지역 주민의 반발을 무마했지만 현재까지도 진척이 없다. 일단은 사업소 옆에 소소한 공원이 있고 철도부지 내에 체육센터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옥상주차장의 경우 현재까지도 개방되지 않고 있다.[3] 신이문역 3번 출구가 사업소 옥상을 따라 나 있기 때문에 주차장이 있기는 하단 것은 확인할 수 있다.

원래 이 차량기지가 생기기 이전은 성북역 구내에 구로차량기지 성북분소가 있다. 여기 성북분소는 VVVF 차량 8편성과 저항차 12편성을 관할하며 일상정비 등을 맡으며, 구로기지의 역할을 분담했다. 의정부북부 - 성북 구간의 배차관리는 이 차량기지가 있어서 가능했고, 용산~성북(현.광운대) 국철도 이쪽 노선의 차량이 주로 다녔다. 그러나 2005년에 이문기지가 생기면서 이문차량기지로 통합되다시피 했다. 지금도 성북분소는 광운대역 주박기지로 남아있기는 하지만 단순 주박만 맡게 되었다.

본래 신이문역과 함께 수도권북부지사 소속이었다가 북부지사와 동부지사가 2009년에 수도권동부본부로 합병되면서 동부본부 소속으로 변경되었다.

참고로, 이 역도 1997년 외환 위기의 영향을 받은 기지이기도 하다. 지난 1996년에 착공해서 2005년에 완공되었기 때문이다.[4] 참고로 공사 당시 명칭은 동부전동차사업소였다. 한국철도공사 역시 이전에 동부전동차사무소라고 불렸다가 나중에 이문기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22년 현재는 간선형 전기동차(ITX-새마을, 누리로 등)는 중정비, 광역철도차량은 경정비만 수행하고 있다. 광역철도차량의 중정비는 시흥차량기지문산차량기지에서 수행한다.


3. 배속 차량[편집]


현재 배속중인 차량은 1호선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311B09~11편성, 311B13~25편성, 311B81~82편성, 312B14~15편성 총 20개 편성이다. 연천 연장분 6량 3개 편성(319X08~10편성)도 들어와 있으나 1호선 연천 연장 개통이 지연된 바람에 현재는 임시로 수인선에 차출되어 시흥차량기지에 배속되어 운행 중에 있다. 그리고 중앙선 KTX가 운행을 시작하면서 150000호대 전동차 501~505호기 5개 편성이 배정되어 있다. 2021년 8월 1일부로 강릉선 KTX에도 KTX-이음이 투입되며 이문기지에 19개 편성이 재적되어야 하나, 등록된 정보상으로는 강릉차량기지누리로와 KTX-이음을 모두 등록시키고 정비는 수도단 본단에서 하는 형식으로 보인다.

현재 해당기지 소속의 311B03~06편성이 휴차되면서 341B31~32편성이 이문기지 소속으로 임시로 배정되었다. 이 상태로 대차분이 들어올 때까진 1호선에서 운행될 예정이다. 또한, 기존 구로 소속이었던 312B14~15편성도 위와 같은 이유로 이문기지로 소속을 변경하였다. 10월 28일341B41편성도 추가로 이문기지로 임시 배정되었고, 차후 341B44도 이문기지로 추가로 임시 배정되었다. 이후 311B07,311B08편성이 내구연한 만료로 인한 운행 종료되면서 341B34, 341B36편성이 이문기지 소속으로 임시 배정되어 1호선에서 운행 중이다.

사업소 개설 초기엔 수도권 전철 1호선(경원선)의 전동차와 수도권 전철 중앙선의 전동차를 동시에 주박시켜 검수/정비를 담당하였으나, 이후 중앙선이 용문역까지 수도권 전철로 개통되자 중앙선용문차량기지를 새로 지어서 옮겨갔다.

원래 2009년용문차량기지를 완공하려 했는데 티스푼 공사로 인해 2012년 4월에야 완공시켰다. 그러나 용문차량기지가 유치 및 경정비만 담당하기 때문에 이후에도 중앙선 차량의 중정비는 여기서 담당했는데 경의·중앙선 직결 이후엔 문산차량기지, 심지어는 시흥차량기지에서도 중정비를 담당하게 되었다. 최근은 광운대역까지 연장 운행한 경춘선 열차가 주박하기도 했지만 현재는 주박하지 않는다.


4. 기타[편집]


  • '가장 모범적으로 건설된 차량기지'라며 철도 선진국인 일본에서 소개된 적이 있다.[5]

  • 신이문역과의 거리는 지도로만 봤을 때는 가까워 보이지만, 실제로는 역에서 아무리 빨리 가도 5~10분 거리아다. 원래는 신이문역 내에 차량기지 주차장(경수선 지붕)과 바로 연결된 통로가 있지만 막히면서 무조건 먼 길을 돌아가야만 하도록 바뀌었다.

  • 또한 경수선 옥상에 있는 주차장은 건물 내구성 문제 때문인지 폐쇄된 상태다. 따라서 이문기지의 출입구에서 경수선 옥상으로 통한 출입로도 폐쇄되었다.


  • 차량사업소가 대표적인 혐오시설인 만큼 선거철만 되면 이전 공약이 나온 곳이기도 하다. 2030서울도시기본계획에 따르면 이전 가능성이 없지는 않지만 실제 이전까진 오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6]



  • 대부분 해당 소속 전동차들은 선반 위에 비상용품함이 비치되어 있다. 반대로 구로, 병점 소속 전동차들은 비상용품함이 없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1-17 10:48:58에 나무위키 이문차량사업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