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무라 타케루

덤프버전 :


이마무라 타케루의 틀
[ 펼치기 · 접기 ]
}}} ||
[ 펼치기 · 접기 ]
[ 쇼와 시대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1965년 ~ 1988년
||
|| 1965년 ||<width=20%> 1966년 1차 ||<width=20%> 1966년 2차 ||<width=20%> 1967년 ||<width=20%> 1968년 ||
|| 사노 마키오(1)
(佐野真樹夫) || 스야마 세이지
(須山成二) || 니시모토 아키카즈
(西本明和) || 이노우에 히로아키
(井上弘昭) || 야마모토 코지
(山本浩二) ||
|| 1969년 ||<width=20%> 1970년 ||<width=20%> 1971년 ||<width=20%> 1972년 ||<width=20%> 1973년 ||
|| 치바 츠요시
(千葉剛) || 사에키 카즈시
(佐伯和司) || 미치하라 히로유키
(道原裕幸) || 이케가야 코지로
(池谷公二郎) || 키노시타 토미오
(木下富雄) ||
|| 1974년 ||<width=20%> 1975년 ||<width=20%> 1976년 ||<width=20%> 1977년 ||<width=20%> 1978년 ||
|| 도조노 키요시
(堂園喜義) || 키타벳푸 마나부
(北別府学) || 야마사키 류조
(山崎隆造) || 타나바 시게후미
(田辺繁文) || 키다 이사무(6)
(木田勇) ||
|| 1979년 ||<width=20%> 1980년 ||<width=20%> 1981년 ||<width=20%> 1982년 ||<width=20%> 1983년 ||
|| 카타오카 미츠히로
(片岡光宏) || 카와구치 카즈히사(1)
(川口和久) || 츠다 츠네미
(津田恒実) || 니시다 신지(1)
(西田真二) || 카와바타 쥰(2)
(川端順) ||
|| 1984년 ||<width=20%> 1985년 ||<width=20%> 1986년 ||<width=20%> 1987년 ||<width=20%> 1988년 ||
|| 스기모토 마사시(1)
(杉本正志) || 나가도미 히로시
(長冨浩志) || 쿠리타 사토시(1)
(栗田聡) || 카와시마 켄(2)
(川島堅) || 노무라 켄지로
(野村謙二郎) ||
[ 헤이세이 시대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1989년 ~ 2018년
||
|| 1989년 ||<width=20%> 1990년 ||<width=20%> 1991년 ||<width=20%> 1992년 ||<width=20%> 1993년 ||
|| 사사오카 신지
(佐々岡真司) || 세토 테루노부(1)
(瀬戸輝信) || 마치다 코지로(1)
(町田公二郎) || 사토 타케시(1)
(佐藤剛) || 야마네 마사히토
(山根雅仁) ||
|| 1994년 ||<width=20%> 1995년 ||<width=20%> 1996년 ||<width=20%> 1997년 ||<width=20%> 1998년 ||
|| 야마우치 야스유키(3)
(山内泰幸) || 하세가와 마사유키
(長谷川昌幸) || 사와자키 토시카즈(3)
(澤﨑俊和) || 엔도 류지(3)
(遠藤竜志) || 히가시데 아키히로
(東出輝裕) ||
|| 1999년 ||<width=20%> 2000년 ||<width=20%> 2001년 ||<width=20%> 2002년 ||<width=20%> 2003년 ||
|| 카와우치 타카야(2)
(河内貴哉) || 요코마츠 토시카즈
(横松寿一) || 오타케 칸
(大竹寛) || 나가카와 카츠히로(3)
(永川勝浩) || 시라하마 유타
(白濱裕太) ||
|| 2004년 ||<width=20%> 2005년 ||<width=20%> 2006년 ||<width=20%> 2007년 ||<width=20%> 2008년 ||
||<|2> 사토 츠요시
(佐藤剛士) || 스즈키 마사미츠(1)(4)
(鈴木将光) || 마에다 켄타(4)
(前田健太) || 아베 토모히로(1)(4)
(安部友裕) ||<|2> 이와모토 타카히로
(岩本貴裕) ||
|| - || 미야자키 미치토(3)(5)
(宮﨑充登) || 시노다 쥰페이(1)(5)
(篠田純平) ||
|| 2009년 ||<width=20%> 2010년 ||<width=20%> 2011년 ||<width=20%> 2012년 ||<width=20%> 2013년 ||
|| 이마무라 타케루
(今村猛) || 후쿠이 유야(1)
(福井優也) || 노무라 유스케
(野村祐輔) || 타카하시 히로키(1)
(髙橋大樹) || 오세라 다이치(2)
(大瀬良大地) ||
|| 2014년 ||<width=20%> 2015년 ||<width=20%> 2016년 ||<width=20%> 2017년 ||<width=20%> 2018년 ||
|| 노마 타카요시(1)
(野間峻祥) || 오카다 아키타케
(岡田明丈) || 카토 타쿠야(1)
(加藤拓也) || 나카무라 쇼세이(2)
(中村奨成) || 코조노 카이토(2)
(小園海斗) ||
[ 레이와 시대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2019년 ~
||
|| 2019년 ||<width=20%> 2020년 ||<width=20%> 2021년 ||<width=20%> 2022년 ||<width=20%> 2023년 ||
|| 모리시타 마사토
(森下暢仁) || 쿠리바야시 료지
(栗林良吏) || 쿠로하라 타쿠미(1)
(黒原拓未) || 사이토 유타
(斉藤優汰) || 츠네히로 하야토(2)
(常廣羽也斗) ||
(1) 하즈레 1라운더: 첫 지명에서 중복 지명된 선수의 교섭권 획득에 실패했을 때 차순위로 선택한 선수.
(2) 중복 지명 추첨 성공.
(3) 역지명, 희망 입단 범위: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존재한 제도로, 선수를 확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4) 고교생 드래프트, (5) 대학생, 사회인 드래프트: 2005년~2007년의 3년간은 고교 선수와, 대학&사회인 야구에서 뛰었던 선수의 지명이 분리되어 있었다.
(6) 지명 후 미입단



{{{#ffffff [[히로시마 도요 카프|히로시마 도요 카프]] 등번호 16번}}}
미야자키 미치토
(2007-2009)
이마무라 타케루
(2010-2021)
모리 쇼헤이
(2022~)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2ba096f7.jpg
이마무라 타케루
今村猛 / Takeru Imamura
생년월일1991년 4월 17일 (33세)
국적
파일:일본 국기.svg

출신지나가사키 현 사세보시
신체조건181cm / 88kg
포지션투수
투타우투우타
출신교나가사키 현립 세이호(清峰)고교
프로입단2009년 드래프트 1순위
소속팀히로시마 도요 카프 (2010-2021)
SN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프로 입단 전
3. 프로 입단 후
4. 은퇴 후
5. 플레이 스타일
6. 연도별 성적



1. 개요[편집]


히로시마 도요 카프 소속 일본프로야구 선수.

2013 WBC에 일본 대표로 나선 경력이 있으며, 팀 내에서는 또다른 영건들인 오세라 다이치, 이치오카 류지와 함께 '카피바라 3형제'로 묶이기도 한다.


2. 프로 입단 전[편집]


나가사키현 출신으로 초등학교 3학년 때 야구를 시작했다. 처음 야구를 시작할 땐 1루수였지만, 후에는 유격수와 투수도 겸하게 된다. 중학교 시절에는 유격수와 3루수로 활약했고, 2학년 땐 규슈 대회에서 우승하는 등 팀을 전국 대회로 이끌었다. 그 해 조지마 겐지테라하라 하야토 등이 개최한 야구 교실에 참가하여 조지마와 대결을 펼치기도 했다.

나가사키 현립 세이호 고등학교에 들어가서는 1학년 가을에 구속이 140km/h을 넘어서는 등 성장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제 81회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에선 안정된 투구로 팀을 우승으로 이끌었는데 이 때 결승에선 키쿠치 유세이 가 소속된 하나마키히가시 고교를 상대로 투수전을 펼친 끝에 1-0으로 우승을 거머쥐게 된다. 이 우승이 나가사키 현 최초의 전국 대회 우승. 이마무라는 이 대회에서 5경기 선발 등판해 44이닝 47탈삼진 완투 4회 완봉 3회 1실점 0.20의 뛰어난 활약을 보여주었다.

2009년 10월 29일에 열린 신인 드래프트에서 히로시마 도요 카프 가 단독 1순위로 지명하여 교섭권을 획득, 계약금 1억 엔, 연봉 1000만 엔에 계약했다.[1]


3. 프로 입단 후[편집]


2010년에는 구단의 육성 방침에 따라 시즌 대부분을 2군에서 보냈다. 8월 18일에 처음으로 1군에 등록되어 야쿠르트 스왈로즈 전에 데뷔 첫 선발등판을 가졌지만 첫 이닝에 실책과 그에 이은 하타케야마 가즈히로의 만루홈런이 터져 결국 2이닝 5실점의 씁쓸한 결과를 남겼다.

뒤이어 한신 타이거즈 전에 다시 선발등판했지만 이 경기에서도 2이닝 3실점으로 부진, 2경기 연속 강판되어 2군에 내려가 그대로 시즌을 마쳤다.

2011년 시범경기에는 선발로서 가능성을 엿보이는 호투를 이어갔다. 개막전 로테이션에는 들어가지 못했지만 4월 16일 요미우리 자이언츠 전에 부상 선수를 대신해 구원등판, 3⅓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아내 프로 데뷔 첫 승리를 따냈다. 5월 20일 오릭스 버팔로즈 전에는 웃지 못할 촌극이 벌어졌는데, 노무라 켄지로 감독이 '지명타자는 상대팀의 선발 투수에 대해 적어도 한 번은 타격을 완료해야만 교체할 수 있다' 는 규칙을 깜빡 잊어버려 이마무라는 타석에 서서 보내기 번트를 성공시키고 대타로 교체되었다.[2]

그 뒤로는 구원 투수로서 기용되었고, 데니스 사파테가 부상으로 이탈하자 마무리 투수로 기용되었다. 10월 8일 야쿠르트 스왈로즈 전에서 프로 첫 세이브를 거두었다.[3][4] 여러모로 이마무라에게는 발전이 많았던 시즌.

2012년에는 구단 신기록인 29경기 연속 무실점을 달성한다. 총 69경기 85.2이닝에 등판해 1.89 26홀드[5]를 기록하는 등 중간투수로서 입지를 굳혀가고 있다. 시즌이 종료된 뒤엔 쿠바와의 친선 경기에 일본 대표로 발탁되어 제 3회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일본 대표팀 후보에도 올랐다.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선 2이닝 3실점만을 남겼고, 시즌 들어서는 셋업맨으로 시작했지만 투구가 지난 시즌만 못해 결국 후반에는 셋업맨 자리를 나가카와 카츠히로에게 넘겨주어야 했다. 최종적으로 56경기 65.1이닝 평균자책점 3.31로 시즌을 마쳤다.

2014년, 2015년에도 필승조에서 밀려나 20경기 내외에만 등판하는 등 침체했지만, 2016년 재기에 성공했다. 마당쇠 역할로 시작했지만 7회 셋업맨이었던 브레이디 헤겐스가 선발로 돌려지면서 후반기에는 제이 잭슨, 나카자키 쇼타와 함께 본격적으로 필승조로 투입되며 카프의 리그 우승에 공헌했다. 하지만 2016년 일본시리즈에서는 잭슨과 이마무라를 6경기 연속으로 등판시킨 오가타 고이치 감독의 무리한 기용의 희생양이 되기도 했다.[6] 시즌 최종 성적은 67경기 73.2이닝 87K ERA 2.44 3승 4패 2세이브 22홀드.

2017년에도 잭슨-나카자키와 함께 필승조를 이루며 센트럴리그 최다인 68경기에 등판(64.1이닝)해 ERA 2.38 3승 5패 23세이브 17홀드로 활약했다. 다만 삼진/볼넷 비율이 조금 나빠졌다. 2018년에는 퍼진듯한 모습을 보이며 6월 이후 등록이 말소되었고 43경기 38.1이닝 3승 1패 1세이브 13홀드 ERA 5.17로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7]

2019년 평균자책점 3.55로 비율스탯은 조금 나아졌으나 27경기 등판으로 많이 나오지 못했다. 2020년은 1군 6경기 등판에 그쳤고, 2021년은 아예 1군에 올라오지 못하는 등 몇 년간 완만하게 하락세를 탔고 결국 21년 10월 웨이버 공시되었다. 트라이아웃 참가 의사가 없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현역은퇴가 예상되었고, 12월 22일 마쓰다 스타디움을 찾아 구단 오너와의 면담에서 은퇴를 시사하였고 현역을 은퇴하였다.


4. 은퇴 후[편집]


상당히 젊은 나이에 은퇴를 했는데, 은퇴후에는 연예인으로 전직했다. 아리요시 세미나 등 전국방송에도 출연하고 히로시마 지역 방송에도 출연하며 살고 있다. 유튜브 채널도 개설했으나 구독자 1만4천명의 정도로 연예인으로서는 아직 그다지 인기가 없다.


5. 플레이 스타일[편집]


쓰리쿼터 스로의 우완 투수로 평균 구속 약 146km/h 최고 구속 약 154km/h 의 포심 패스트볼과 슬라이더, 포크와 컷 패스트볼을 던졌다. 패스트볼도 적당히 빠르고, 변화구의 완성도도 괜찮다. 딱히 특징이 없이 다 잘하는 게 특징이라 할 만한 선수. 투수 수비도 준수하며, 견제도 잘한다.

다만 몸쪽 승부를 꺼리는 경향이 있어서, 보통 투수들이 존을 두고 존 안쪽과 바깥쪽으로 이지선다를 거는 데 비해 존 바깥쪽으로 향하는 패스트볼과 거기서 좀 더 바깥쪽으로 흘러나가는 슬라이더로 이지선다를 거는 경향이 있었다. 본인도 현역 시절 솔직히 몸쪽 투구가 서툴렀다고 은퇴 후 밝힌 바 있다. 이렇게 되면 맞아도 장타가 잘 안 나오므로 안전하지만, 볼이 많아진다. 볼이 많으면 당연히 투구수가 많아지고 이닝 소화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생긴다.

이 떨어지는 이닝소화력 때문에 선발로는 성공할 수 없었고, 결국 중간계투로 자리잡았다. 이것이 이마무라의 선수생명을 갉아먹는 결정이 되었는데, 중간계투는 짧은 이닝을 던지지만 불규칙적으로 자주 던져야 하는 특성상 선발보다 훨씬 어깨를 많이 소모한다. 더군다나 이마무라는 프로필 신장이 181cm으로, 운동선수들이 스파이크를 신고 키를 재는 것을 감안하면 실제 맨발키는 180cm이하로 투수로서는 상당한 언더사이즈였다.

고졸 2년차부터 1군에서 주전으로 자리잡았는데, 사이즈도 작은 선수를 19살부터 어린 나이부터 매년 중간계투로 94이닝, 85이닝, 65이닝씩 무리하게 연투시켰으니 오래 버티질 못했다. 한 2년 안식년을 거치고 부활하는가 했더니 또 73이닝, 68이닝씩 갈리며 결국 선수 생활을 접게 되었다. 상술했듯 투구 스타일 때문에 투구수 역시 많은 편이라 이닝 수도 가뜩이나 많은데 그 이닝수에 비해서도 더더욱 부담이 컸다. 더군다나 전성기 때 카프가 강팀이었기 때문에 포스트시즌도 꼬박꼬박 나갔고 국가대표도 나가는 등 정규시즌 이외의 소모도 많았다.

고졸 1년차부터 1군에서 던지고 2년차부터 터진 선수라 12년간 프로생활을 했는데도 은퇴당시 딱 30세로 일러도 너무 이른 은퇴. 고졸임에도 1차 지명을 받았을 뿐더러 역대 카프 팀 내 고졸신인 최고 연봉을 받았을 정도로 잠재력은 인정받았고, AAA 수준이라 평가되는 일본리그에서 고졸 2년차, 19세 나이로 주전 자리를 먹으며 포텐셜도 증명해냈던 선수였지만 그 재능이 자기 선수생명을 갉아먹게 된 셈. 워낙 어린 나이부터 상당한 실력을 보여준, 재능만큼은 진퉁이었던 선수였던지라 야구에 만약은 없다지만 차라리 어릴 때엔 2군에서 담금질을 했거나, 하다못해 고정 마무리로서라도 관리를 받았다면 좀 더 롱런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을 사는 선수.


6. 연도별 성적[편집]


통산 기록
연도소속경기이닝승률방어율피안타피홈런볼넷탈삼진WHIP
2010
240100.00015.7571603.25
2011549438213.2734.69971030761.35
20126985⅔22426.5001.8973418891.06
20135765⅓25318.2863.3170228561.50
20141720⅔1100.5004.351739161.26
201521261101.5003.4624113221.42
20166773⅔34222.4292.4460322871.11
20176864⅓352317.3752.3853627691.24
20184338⅓32113.6005.1737521351.51
20192725⅓3114.7503.551829171.07
202064⅓0001-12.46100212.77
NPB 통산
(11시즌)
431501⅔213036115.4123.46466371854681.30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12:13:07에 나무위키 이마무라 타케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연봉은 카프 고졸 신인 사상 최고 금액[2] 이 때 노무라 감독은 야구 규칙도 모르는 감독이라며 까였다.. 여담으로 노무라는 카프의 프랜차이즈 출신으로 야구인생 전부를 센트럴리그에서만 보낸 사람이라 평생 지명타자랑은 인연이 없었으니 헷갈릴 수도 있긴 하다는 변호 의견도 있는데, 시범경기교류전(노무라가 은퇴한 2005년부터 도입)엔 엄연히 지명타자제를 쓰지 않나? 결국 잘해봐야 노무라가 규칙도 모르고 위장타자으로 쓰려고 했다가 자기 무덤만 판 것이라는 결론밖엔 안 나온다.[3] 20세 5개월로 구단 최연소 세이브 기록[4] 종전 기록은 1997년 요코야마 류지가 기록한 21세 2개월.[5] 리그 3위 타이 기록[6] 그래도 2번 블론을 헌납한 잭슨과 달리 시리즈 최다인 4홀드를 기록하기는 했다.[7] 2016년의 필승조 듀오였던 제이 잭슨도 이마무라와 비슷한 커리어 궤적을 보이다 2018년 시즌 종료 후 방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