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이스라엘 국왕

덤프버전 :

  • 히브리인이라는 정체성을 지닌 사람들의 왕국에 부합하면 서술 가능.




1. 히브리인의 독립 군주[편집]




1.1. 통일 이스라엘 국왕[편집]





왕조이름재임기간비고
사울 왕조사울기원전 1037년~기원전 1010년초대 이스라엘 왕이자 벤야민 지파 출신
이스보셋기원전 1010년 ~ 기원전 1008년
다윗 왕조[1]다윗기원전 1010년~기원전 970년유다 지파 출신
솔로몬기원전 970년~기원전 931년1천 번제와 1천 첩으로 유명. 지혜의 왕. 시바여왕과의 전설
르호보암기원전 931년
[1] 기독교인들에 의해 예수 그리스도가 이 왕조의 후손이라고 주장되기도 한다. 엄밀히 말하자면 예수의 '양아버지' 요셉이 다윗 왕조의 후손이라고 주장하는 족보가 마태오, 루카 복음에 실려 있다.



1.2. 이스라엘 국왕[편집]


[ 펼치기 · 접기 ]
여로보암 왕조바아사 왕조시므리 왕조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여로보암 1세나답바아사엘라지므리
비정통오므리 왕조
제6대제7대제8대제9대
디브니오므리아합아하시야여호람
예후 왕조
제10대제11대제12대제13대제14대
예후여호아하즈여호아스여로보암 2세즈가리야
살룸 왕조므나헴 왕조베가 왕조호세아 왕조
제15대제16대제17대제18대제19대
살룸므나헴브가히야베가호세아
이스라엘 판관 · 통일 이스라엘
남유다 · 바빌론 예후드 · 예후드 메디나타
하스몬 왕조 · 헤로데 왕조 · 유다이아



대수왕조이름재임기간비고
1여로보암 왕조여로보암 1세기원전 931년~기원전 910년초대 북이스라엘 왕이자 에프라임 지파 출신
2나답기원전 910년~기원전 909년
3바아사 왕조바아사기원전 909년~기원전 886년나답을 제거하고 왕위에 오름, 잇사갈 지파 출신
4엘라기원전 886년~기원전 885년
5시므리 왕조시므리기원전 885년엘라를 제거하고 꼴랑 7일짜리왕위에 오름. 상나라 주왕 비슷한 최후를 맞이함
6오므리 왕조오므리기원전 885년~기원전 874년시므리를 제거하고 왕위에 오름. 그 초기에 디브니의 세력이 오므리의 세력에 도전하다 패망함
7아합기원전 874년~기원전 853년배우자는 이제벨 왕비, 유다에 딸 아달리야를 시집보내 혼인동맹
8아하시야기원전 853년~기원전 852년유다의 아하시야와 동명이인
9여호람기원전 852년~기원전 841년동시대 유다의 여호람과 구별하기 위해 '요람'이라고도 부름
10예후 왕조예후기원전 841년~기원전 814년유다의 여호람아하시야를 제거하고 왕위에 오름
11여호아하즈기원전 814년~기원전 798년 |
12요아스기원전 798년~기원전 782년히브리어로는 '예호아쉬'로 표기되어 유다의 요아스와 구별됨
13여로보암 2세기원전 782년~기원전 753년
14즈가리야기원전 753년
15살룸 왕조살룸기원전 752년즈가리야를 제거하고 꼴랑 한달짜리왕위에 오름
16므나헴 왕조므나헴기원전 752년~기원전 742년살룸을 제거하고 왕위에 오름
17브가히야기원전 742년~기원전 740년
18베가 왕조베가기원전 740년~기원전 732년브가히야를 제거하고 왕위에 오름
19호세아 왕조호세아기원전 732년~기원전 722년베가를 제거하고 왕위에 오름, 이스라엘 마지막 왕. 아시리아에 압송 억류됨



1.3. 유다 국왕[편집]


[ 펼치기 · 접기 ]
다윗 왕조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르호보암아비얌아사여호사밧여호람
다윗 왕조오므리 왕조다윗 왕조
제6대제7대제8대제9대제10대
아하시야아달리야요아스아마지야우찌야
다윗 왕조
제11대제12대제13대제14대제15대
요담아하스히즈키야므나쎄아몬
다윗 왕조
제16대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요시야여호아하즈여호야킴여호야긴치드키야
이스라엘 판관 · 통일 이스라엘 · 북이스라엘
바빌론 예후드 · 예후드 메디나타
하스몬 왕조 · 헤로데 왕조 · 유다이아



대수왕조이름재임기간비고
1다윗 왕조르호보암기원전 931년~기원전 913년초대 유다 국왕, 솔로몬의 아들
2아비얌기원전 913년~기원전 911년
3아사기원전 911년~기원전 870년
4여호사밧기원전 870년~기원전 848년
5여호람기원전 848년~기원전 841년이스라엘의 여호람과 동명이인
6아하시야기원전 841년예후의 쿠데타로 인해 살해당함, 이스라엘의 아하시야와 동명이인
7오므리 왕조아달리야기원전 841년~기원전 835년아합이제벨의 딸, 여호람의 아내이자 아하시야의 어머니, 쿠데타를 일으켜 요아스를 제외한 왕족들을 몰살하고 왕이 됨
8다윗 왕조요아스기원전 835년~기원전 796년아달리야를 피해 숨었고, 결국 아달리야를 응징하고 왕위에 오름, 히브리어로는 '요아쉬'로 표기되어 이스라엘의 요아스와 구별됨
9아마샤기원전 796년~기원전 767년
10웃시야기원전 767년 ~ 기원전 740년
11요담기원전 740년~기원전 732년
12아하스기원전 732년~기원전 716년
13히즈키야기원전 716년~기원전 687년
14므나쎄기원전 687년~기원전 643년최장기 재위
15아몬기원전 643년~기원전 641년
16요시야기원전 641년~기원전 609년
17여호아하즈기원전 609년재위기간 3개월, 느코(네코 2세)에게 폐위됨
18여호아김기원전 609년~기원전 598년파라오 느코에 의해 왕위에 오름
19여호아긴기원전 598년최후까지 살아남아 유선 비슷한 처지가 됨
20치드키야기원전 598년~기원전 586년네부카드네자르 2세에 의해 왕위에 오름, 유다의 마지막 왕. 바빌론으로 압송되어 옥사



1.4. 하스몬 왕조[편집]





대수이름재위기간비고
1마타디아기원전 167년~기원전 166년
2유다 마카베오기원전 166년~기원전 160년라틴어 어미를 빼고 마카비로 부르기도 함
3요나단기원전 160년~기원전 142년
4시몬기원전 142년~기원전 134년
5요한 히르카누스 1세기원전 134년~기원전 104년
6아리스토불로스 1세기원전 104년~기원전 103년
7알렉산드로스 야나이기원전 103년~기원전 76년정식으로 칭왕함
8살로메 알렉산드라기원전 76년~기원전 67년
9요한 히르카누스 2세기원전 76년~기원전 67년
10아리스토불로스 2세기원전 66년~기원전 63년요한 히르카누스 2세와 형제로 왕위를 두고 다투었으며 요한 히르카누스 2세가 대제사장직을 유지하고, 아리스토불로스 2세는 왕위를 잇는 것으로 합의하여 왕위에 올랐다.
11요한 히르카누스 2세기원전 63년~기원전 40년복위. 로마의 도움으로 왕위를 되찾았다.
12안티고누스기원전 40년~기원전 37년하스몬 왕조 최후의 왕. 로마의 힘을 빌려 유다 왕국을 뺏으려는 안티파스와 그의 아들들과 투쟁한다. 안티파스가 독살되고 장남 파사엘을 죽였으며, 차남 헤로데를 거의 죽음 직전까지 몰고 갔으나 헤로데가 마사다 요새로 도망쳐서 후환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했다. 결국 헤로데의 반격으로 안티고누스는 사망하고 하스몬 왕조도 멸망하게 된다.



2. 고대 로마의 속국[편집]




2.1. 헤로데 왕조[편집]





대수이름재위기간비고
1헤로데 대왕기원전 37년~기원전4년에돔 출신 유대교
2헤로데 안티파스헤로데 아르켈라오스헤로데 빌립보 2세기원전 4년~기원후 39년[2]
기원전 4년~기원후 6년[3]
기원전 4년~기원후 34년[4]
[5]
3헤로데 아그리파스 1세헤로데 5세34년~44년[6]
41년~48년[7]
[8]
4헤로데 아그리파스 2세44년~93년
[2] 헤로데 안티파스의 재위기간[3] 헤로데 아르켈라오스의 재위기간[4] 헤로데 빌립보 2세의 재위기간[5] 헤로데 대왕은 적자를 얻지 못했고, 3명의 서출 아들들에게 왕국을 3분해서 나눠주었다. 세아들 이외에도 왕국의 일부를 살로메 1세에게 나눠주었다.[6] 헤로데 아그리파스 1세의 재위기간[7] 헤로데 5세의 재위기간[8] 헤로데 아그리파스 1세의 형제인 헤로데 5세가 북이스라엘 왕국의 영지를 요구하여 왕국의 북쪽 지역을 다스리게 된다. 사후에 이 영지는 헤로데 아그리파스 2세에게 귀속된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11 18:35:11에 나무위키 역대 이스라엘 국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