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모어 제임스

덤프버전 :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
[ 펼치기 · 접기 ]
이름엘모어 제임스
ELMORE JAMES
헌액 부문개척자 (Early Influences)
멤버(개인 자격)
입성 연도1992년
[ 펼치기 · 접기 ]
롤링 스톤이 2015년 100대 기타리스트를 선정한 순위다. 실제 현역 기타리스트들과 평론가들이 뽑은 순위다.
1위2위3위4위5위
지미 헨드릭스에릭 클랩튼지미 페이지키스 리처즈제프 벡
6위7위8위9위10위
비비 킹척 베리에디 밴 헤일런듀언 올맨피트 타운젠드
[ 11위-50위 펼치기 · 접기 ]
11위12위13위14위15위
조지 해리슨스티비 레이 본앨버트 킹데이비드 길모어프레디 킹
16위17위18위19위20위
데릭 트럭스닐 영레스 폴제임스 버턴카를로스 산타나
21위22위23위24위25위
쳇 앳킨스프랭크 자파버디 가이앵거스 영토니 아이오미
26위27위28위29위30위
브라이언 메이보 디들리조니 라몬스코티 모어엘모어 제임스
31위32위33위34위35위
라이 쿠더빌리 기븐스프린스커티스 메이필드존 리 후커
36위37위38위39위40위
랜디 로즈믹 테일러디 에지스티브 크로퍼톰 모렐로
41위42위43위44위45위
믹 론슨마이크 블룸필드휴버트 서믈린마크 노플러링크 레이
46위47위48위49위50위
제리 가르시아스티븐 스틸스조니 그린우드머디 워터스리치 블랙모어
51위부터는 문서 참조.
같이 보기: 최신 버전,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 1 / 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 펼치기 · 접기 ]
롤링 스톤이 2023년 250대 기타리스트를 선정한 순위다. 실제 현역 기타리스트들과 평론가들이 뽑은 순위다.
1위2위3위4위5위
지미 헨드릭스척 베리지미 페이지에디 밴 헤일런제프 벡
6위7위8위9위10위
시스터 로제타 사프닐 로저스비비 킹조니 미첼듀언 올맨
[ 11위-50위 펼치기 · 접기 ]
같이 보기: 롤링 스톤 선정 100대 기타리스트


엘모어 제임스
Elmore James
파일:jameselm.jpg
출생명엘모어 브룩스
Elmore Brooks
별명슬라이드 기타의 왕
King of the Slide Guitar
출생1918년 1월 27일
미국 미시시피주 리치랜드
사망1963년 5월 24일 (향년 45세)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직업싱어송라이터, 기타리스트
장르블루스
배우자미니 메 제임스 (1940년대 결혼)

1. 개요
2. 생애
3. 대표곡



1. 개요[편집]


미국의 음악가. 슬라이드 기타의 왕으로 불리는 블루스의 거장들 중 한 명이다. 록 음악의 발전에도 기여했다.[A]


2. 생애[편집]


1918년 1월 27일, 미시시피주 리치랜드 부근의 농장에서[B] 소작농 가정[A]의 사생아[C]로 태어났다. 어머니의 성명은 레오라 브룩스고[C][D] 아버지의 신원은 불분명하다. 이후 의붓아버지 조 윌리 제임스의 성을 따라 엘모어 제임스가 되었다.[D] 어릴 때부터 음악과 연을 맺은 그는 12살 무렵에 디들리 활로 작곡을 시작하다 곧 기타를 잡았다.[D][1] 14살 땐 이미 음악 활동을 하고 있었으며[D], 1939년엔 '브룸더스터즈'[C]란 밴드를 이끌면서 카페나 극장에서 활동했다.[B]

1937년에 그의 가족이 미시시피주 벨조니의 농장으로 이주했는데, 그곳에서 그는 로버트 존슨소니 보이 윌리엄슨 2세를 만났다. 이후 그 둘과 활동했다고 한다.[2] 그는 로버트 존슨에게 음악적으로 큰 영향을 받았다.[A]

그는 1940년대에 결혼했으며[3], 1943년부터 45년까지 해군에서 복무했다.[E] 복무가 끝난 뒤 미시시피주로 돌아왔고 미시시피주 캔턴에서 일하면서 일렉트릭 사운드에 대해 더 많은 지식을 얻게 되었다.[F] 멤피스로 이주한 뒤 에디 테일러, 사촌이었던 홈시크 제임스와 함께 다시 음악을 시작했다.[D] 소니 보이 윌리엄슨 2세와도 다시 재회했다.[E]

1951년 1월 4일부터 녹음에 참여하기 시작했고, 같은 해 8월 5일엔 본인 명의로 녹음을 했다. 그의 이름으로 발매된 음반들 중 "Dust My Broom"이 크게 성공했다.[A][G] 이후 그는 트럼펫 레코드와의 계약을 파기하고 비하리 브라더스와 계약을 체결했다. 이후 1952년에 녹음한 "I Belive" 도 성공했다.

"Dust My Broom"의 성공으로 투어를 시작한 그는, 미시시피주와 시카고를 자주 오가며 활동했다.[F] 계속해 곡들을 녹음하였으나, 오랜 기간 앓아오던 심장 질환으로 건강이 안 좋아서 1950년대 말에는 휴식을 취하려 집으로 돌아가기도 했다.[C][D] 휴식을 마친 후 녹음을 계속했고, "The Sky Is Cryin'"와 같은 히트곡을 냈다.

1963년 5월[D] 추가 음반 작업과 활동 재개를 위해 시카고로 돌아왔다.[C][D] 시카고로 돌아온 그는 병에 걸렸고 암과 투병하며 홈시크 제임스의 배우자에게 간호를 받고 있었다.[C] 결국 1963년 5월 24일, 홈시크 제임스의 집에서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났다.[F][G] 사후 뉴포트 침례교 묘자에 안장되었다.[G]


3. 대표곡[편집]


  • Dust My Broom (1951)
  • The Sky Is Cryin' (1959)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11:25:23에 나무위키 엘모어 제임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A] A B C D "Elmore James: American musician", 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B] A B Robert Palmer, "Deep blues" (1982), 205쪽[C] A B C D E F "ELMORE JAMES", thebluestrail.com[D] A B C D E F G H Cub Koda, "Elmore James: Biography", 올뮤직[1] 정일서, "더 기타리스트" (어바웃어북 · 2013.9.30.), 59~60쪽[2] Elmore James, "Elmore James - Master of the Electric Slide Guitar (Songbook)" (Hal Leonard Corporation · 1996.10.1.), 5쪽, #[3] Steve Franz, "The Amazing Secret History of Elmore James" (BlueSource Publications · 2003), 284쪽, #[E] A B Robert Palmer, "Deep blues" (1982), 206쪽[F] A B C "Elmore James", msbluestrail.org[G] A B C "Elmore James discography", wirz.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