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천로

덤프버전 :

둘러보기 틀 보기















대한민국의 일반국도
1번 국도
목포 방면
금하로
안양천로
(시흥대교~안양천교)
판문점 방면
서부간선도로

안양천로
安養川路 / Anyangcheon-ro
노선 번호1번 국도
기점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시흥대교
종점서울특별시 강서구 염창동 염창JC
연장14.428km
왕복 차로수4-8차로
주요 경유지시흥대교목동교염창IC

安養川路 / Anyangcheon-ro

1. 개요
2. 특징
3. 구간



1. 개요[편집]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서 서울특별시 강서구 염창동을 잇는 도로. 안양천 서안을 지난다. 연선지역에서의 이칭은 (안양천)뚝방길.[1] 이름과는 달리 안양시 영역은 단 1mm도 지나지 않는다.


2. 특징[편집]


동쪽에 안양천이 따라 흐르며, 정체가 심한 서부간선도로의 대체도로로도 이용된다.

안양천로는 과거 곳곳마다 신호와 다리 정체가 도사리고 있는데다가 철산동 우성아파트~고척교 구간이 끊어져있었던 탓에 그냥 다리와 다리 사이를 연결해주는 배후도로 취급을 받았지만, 1998년 광명고가교 개통 후 광명지하차도(2000), 철산지하차도(2004), 하안지하차도(2011), 소하IC(2016), 금하지하차도[2](2019)가 차례로 개통되면서 본격적으로 서부간선도로의 대체도로로 기능하게 되었다. 추후 월드컵대교 직결 램프 개통 시 한강을 건너 내부순환로를 이용하는 것도 수월해질 전망. 직결 램프 개통 전까지는 성산대교를 이용해야 한다.

남쪽으로 기아대교사거리까지 모두 안양천로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시흥대교사거리 이남[3]으로는 안양천로가 아니라 서부간선도로[4]다. 해당 구간은 강남순환로의 일부이기도 하다.

서부간선도로는 북쪽으로 성산대교를 통해 도심으로, 남쪽으로는 서해안고속도로와 직결되는 특성이 있어 항시 교통량이 많은데, 안양천로 역시 연계 도로의 개통으로 남쪽으로 소하IC를 통해 평택파주고속도로(수원~광명), 북쪽으로는 월드컵대교와 연계되어 내부순환로를 이용할 수 있게 될 예정이다. 서부간선도로에서는 서해안고속도로평택파주고속도로 양자 택일이 가능하지만 안양천로에서는 서해안고속도로 진입이 불가능[5]하기 때문에, 금천IC로 넘어갈 수 있는 마지막 교차로인 철산대교 이남의 안양천로는 서부간선도로에 비하면 교통량이 적은 편이다. 철산교에서 진입하지 못한 경우 평택파주고속도로를 이용하여 동시흥JC를 경유하여 목감IC에서 다시 합류할 수 있다.

광명 시내 구간 통과는 지하차도가 많아 흐름이 수월하나 목동 구간에서 주로 신호에 의한 정체로 시간이 제법 걸린다. 서부간선도로는 차량의 병목현상때문에 정체가 있는 반면 안양천로는 정체의 원인이 대개 신호이기 때문에 신호만 지나면 일시적으로나마 속도를 낼 수 있다. 하지만 러시아워에는 소요시간이 비슷비슷한 경우가 많다.

안양천에 있는 거의 대부분의 교량으로 진출이 가능하다. 남부순환로의 교량인 안양교양평로의 교량인 양평교를 제외하고는 진출이 가능하다. 단 모든 방향으로 다 진출이 가능한 것은 아니니 확인 후 이용해야한다. 양평교는 목동동로를 경유해서 이용 자체는 가능하나, 목동교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편리하다.

광명시 구간은 군데군데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1동월경지가 있어 행정구역 경계가 계속 뒤바뀐다.

2021년 11월 17일부터 안양천로 제한속도가 광명시 구간인 '시흥대교사거리 - 광명고가차도'가 50km/h로 하향되었다가, 2022년 12월 부터 서울특별시 구간을 포함한 전 구간의 제한속도가 다시 60km/h로 상향되었다.


3. 구간[편집]


남쪽 기점 (금하로 549, 뚝방길과 직결)[기존]
소재지교차로명번호교차하는 도로국도/지방도




소하동시흥대로사거리
(금하지하차도)
0번금하로1번 국도




독산동서부간선도로입구37번서부간선도로
안천초등학교76번한내로미지정




하안동하안남초삼거리127번금당로
금천교교차로
(하안지하차도)
171번범안로
하안배수펌프장211번안현로
진성고교삼거리251번철망산로
철산동철산대교교차로
(철산지하차도)
300번디지털로
광성초교삼거리341번철산로
철산13단지삼거리384번모세로
광명대교교차로
(광명지하차도)
423번가마산로
우성아파트삼거리460번시청로
광명고가차도(남부순환로, 경인선)[6]






고척동동양미래대교차로
(고척지하차도)
589번경인로[7]미지정
649번안양천로539길


신정동672번목동로1길
오금교서단교차로
(오금지하차도)
706번목동로
구로중앙로
목일중삼거리754번목동동로8길
신정교서단교차로804번신목로
도림천로
859번목동동로12길
목동오목교서단882번오목로[8]
895번신목로[9]
목동동로
(목동운동장)940번(도로명 없음)
목동교서단교차로1004번국회대로
목마공원삼거리1081번목동동로[일방통행]
열병합발전소삼거리1101번목동서로
신목동역삼거리1156번목동중앙로


염창동양화교교차로(남)1209번공항대로
노들로
양화교교차로(북)1223번양천로
올림픽대로[염창교]
현대1차아파트1271번양천로75길
염창IC1298번올림픽대로 [직결]
북쪽 종점 (올림픽대로 직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22:42:18에 나무위키 안양천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광명시와 서울 구로, 양천구 일대에서 모두 통하는 별명이다.[2] 이 지하차도 개통으로 안양천로와 서부간선도로의 차들이 시흥대교사거리의 신호를 받지 않고 한번에 평택파주고속도로(수원~광명), 강남순환로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3] 과거에는 1차선에 불과한 뚝방길이었으나 2016년에 확장되었다.[4] 2019년 12월 금하지하차도 개통에 맞추어 지정.[5] 소하IC, 소하JC를 건설하던 시절 뚝방길-서해안고속도로 직결 램프 건설도 고려된 적이 있었지만, 이는 당시 착공을 앞두고 있던 서부간선도로 지하화 구간의 남쪽 종점이 안양천 서쪽 뚝방길에 만들어질 경우 지하도로-서해안고속도로 간 연계를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지하도로가 금천교 부근에서 지상으로 올라오는 안이 확정되면서 해당 램프 건설은 무산되었다.[기존] 뚝 위 1차선 소로 였으나 폐쇄 되고 강남순환로와 연결되는 자동차전용도로으로 대체 되었다[6] 고가 아래에 남부순환로와 교차하나 진출입은 불가능하다.[7] 양방향 좌회전 불가[8] 서울방면만 진출입 가능.[9] 서울방면 좌회전불가[일방통행] 양방향 진입금지[염창교] 김포방향 진출, 잠실방향 진입[직결] 잠실방향 진출, 김포방향 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