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시/정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시흥시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시흥시 갑

[ 펼치기 · 접기 ]
-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fff '''본'''}}}}}} 본청 관할 시군 {{{#fff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aa4b5; font-size: .8em" {{{#fff '''북'''}}}}}} 북부청사 관할 시군
[[고양시/정치|파일:고양시 CI.svg

]]
파일:수원시 CI.svg
[[경기도청|

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80c84d 21%, #80c84d); font-size: 1em"
{{{#fff
]] 수원시
[[용인시/정치|파일:용인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용인시]]

[[과천시/정치|파일:과천시 CI.svg
과천시]]
[[광명시/정치|파일:광명시 CI.svg>
광명시]]
[[광주시/정치|파일:광주시 CI.svg>
광주시]]
[[구리시/정치|파일:구리시 CI.svg>
구리시]]
[[군포시/정치|파일:군포시 CI.svg>
군포시]]
[[김포시/정치|파일:김포시 CI.svg>
김포시]]
[[남양주시/정치|파일:남양주시 CI.svg>
남양주시]]
[[동두천시/정치|파일:동두천시 CI.svg>
동두천시]]
[[부천시/정치|파일:부천시 CI.svg>
부천시]]
[[성남시/정치|파일:성남시 CI.svg>
성남시]]
[[시흥시/정치|파일:시흥시 CI.svg>
시흥시]]
[[안산시/정치|파일:안산시 CI.svg>
안산시]]
[[안성시/정치|파일:안성시 CI.svg>
안성시]]
[[안양시/정치|파일:안양시 CI.svg>
안양시]]
[[양주시/정치|파일:양주시 CI.svg>
양주시]]
[[여주시/정치|파일:여주시 CI.svg>
여주시]]
[[오산시/정치|파일:오산시 CI.svg>
오산시]]
[[의왕시/정치|파일:의왕시 CI.svg>
의왕시]]
파일:의정부시 CI.svg>
[[경기도청|
도청 >
]] 의정부시
[[이천시/정치|파일:이천시 CI.svg>
이천시]]
[[파주시/정치|파일:파주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aa4b5; font-size: .8em"
파주시]]
[[평택시/정치|파일:평택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평택시]]
[[포천시/정치|파일:포천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aa4b5; font-size: .8em"
포천시]]
[[하남시/정치|파일:하남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하남시]]
[[화성시/정치|파일:화성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화성시]]

[[가평군/정치|파일:가평군 CI.svg

가평군]]
[[양평군/정치|파일:양평군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양평군]]
[[연천군/정치|파일:연천군 CI.svg

연천군]]




1. 기본 정보[편집]



1.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시흥시 CI.svg 경기도 시흥시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국회의원도의원지역
시흥시 갑시흥시1대야동, 신천동, 은행동
시흥시2과림동, 매화동, 목감동, 능곡동
시흥시3신현동, 연성동, 장곡동
시흥시 을시흥시4군자동, 월곶동, 정왕본동, 정왕1동, 정왕2동
시흥시5정왕3동, 정왕4동, 배곧1동, 배곧2동

1.2. 시의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시흥시의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의회
2022.7.1. ~ 2026.6.30.
[[더불어민주당|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9석, 시장 소속 정당
]]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7석
재적

{{{#ed6c00
16석



2. 지역 특성[편집]


경기도에서 민주당계 정당이 상당히 강세를 보이는 지역이자 수도권에서 민주당 지지도가 가장 강한 곳이다. 2020년 21대 총선[1], 2022년 20대 대선[2] 연속으로 수도권 내 더불어민주당 최대 득표율을 기록했다.

옛날의 시흥시는 먼저 개발된 곳들은 일찌감치 나가리되고 마지막까지 으로 오랫동안 남아 있던 곳이라 보수가 우세한 동네였다. 1987년 13대 대선에서는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가, 1992년 14대 대선에서는 민주자유당 김영삼 후보가 1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1997년 15대 대선에서는 새정치국민회의의 김대중 후보가 보수 진영의 대선 후보였던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를 제치고 1위를 했고, 2002년 16대 대선에서는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후보가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를 큰 표차로 누르고 승리하며 시흥시가 대선 적중 지역으로 부상했다.

그러나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 당시엔 박근혜 후보가 102,267표(47.6%)를 얻으며 112,012표(52.1%)를 얻은 문재인 후보에게 뒤지면서 적중 지역에서 벗어났다.

직선제 도입 이후 13대 총선에서도 민주정의당 황철수 후보가 당선되었으나, 시 승격과 함께 도시화가 이루어지며 14대 총선에서는 빈민운동의 대부인 민주당 제정구 후보가, 15대 총선에서도 통합민주당 제정구 후보가 당선되며 본격적인 민주당의 독주가 시작되었다. 제정구 의원의 작고로 치러진 보궐선거에서는 자유민주연합 김의재 후보가 당선, 이후 16대 총선에서 새천년민주당 박병윤 후보의 당선으로 민주당이 다시 탈환했다.

2004년 17대 총선부터 인구 증가로 갑과 을로 선거구가 분구되었는데, 민주당이 역대급으로 험악한 환경에서 선거를 치러야 했던 2008년 18대 총선까지 전부 열린우리당 - 통합민주당이 의석을 싹쓸이했다.

그러나 2012년 19대 총선, 2016년 20대 총선에선 갑 선거구에서는 함진규 새누리당 후보가 백원우 민주통합당 →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상대로 2연승을 거두어 양대 진영이 반반씩 나눠가졌다. 이로써 1988년 13대 총선 이후 무려 24년만에 보수 진영 국회의원이 탄생했다. 그나마 19대 땐 그래도 202표라는 매우 근소한 차이로 졌지만, 백원우에 대한 미운털이 꽤나 단단히 박힌 탓에 20대 총선에선 5,057표 차로 더 크게 벌어졌다.

반면에 을 선거구는 시화공단이 입지한 정왕동, 군자동 일대라 진보 성향 유권자가 더 많은 덕분에 더불어민주당 조정식 의원이 17대 ~ 21대까지 연속 5선에 성공하였다. 다만 공단 특성상 투표율이 굉장히 낮아 2017년 19대 대선 69%, 2018년 7회 지선 46%, 2020년 21대 총선 56% 등등 전국 평균에 비해 무려 10% 가량 차이가 난다. 여론조사 기관에서도 전화 응답률이 낮아 민심을 가늠하기 어려운 곳으로 꼽힌다.

박근혜가 대통령직에서 파면되면서 보궐선거로 치러진 2017년 19대 대선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43.5%의 득표율을 얻었다. 세부적으로는 구 소래읍 지역[3]에서의 문재인 득표율(40% 내외)보다, 남부권[4]의 득표율이 45% 내외로 더 높았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전 지역에서 24%의 고른 득표율을 얻어 2위를 차지했고,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18% 득표율로 3위에 그쳤다.

집권당이었던 민주당에 대한 심판 성격이 짙었던 2022년 20대 대선에서도 경기도 지자체 중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에게 가장 많은 표를 주면서 非호남 지역의 민주당계 텃밭으로 확실히 자리매김했다. 윤석열 후보는 시흥에서 가장 개발이 덜 이뤄진 과림동 한 곳에서만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2.1. 시장선거[편집]


시장 선거에선 대체로 양대 진영이 주거니 받거니하는 모양새였으나 민선 4기 이연수 시장 이후부터 민심이 변하였다. 해당 인물이 군자매립지 쇼핑몰 건축 허가, 사찰 내 납골시설 설치 인·허가, 시흥시 산하 기관 인사와 관련하여 3명에게 1억여 원의 뇌물을 받은 게 걸리면서 징역 3년 6개월에 추징금 5000만 원을 선고받아 시장직을 상실했기 때문.[5] 이후 치러진 재보궐선거에서 민주당의 김윤식 후보가 나름 간당간당한 차이로 득표율 46%을 기록하며 당선됐는데, 재임 중 수뢰가 드러나서 징역형이나 700만 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았던 역대 시장들과 달리 당선 이후에도 별다른 비리에 안 엮이고 내리 3선을 하며 무사히 임기를 마친 덕에 민주당에 대한 민심이 매우 우호적이게 되었다.[6]

이러한 영향은 2018년 7회 지선에도 이어졌고 민주당에게 역대급으로 따뜻한 분위기도 조성되면서 후임으로 나온 경기도의원 출신의 임병택 후보가 수도권 최고 득표율(72.5%)로 시장에 당선돼 2022년 기준으로 재선에도 성공했다. 노후됐지만 여전히 건재한 시화공단의 존재와 신규 개발에 따른 젊은 인구의 대거 유입+앞으로도 많이 남은 유입 여력 때문에 민주당 출신 광역자치단체장 3 급의 대형사고라도 터지지 않는 이상 보수 쪽으로 돌려지긴 한동안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시흥시 CI.svg 역대 시흥시 국회의원 선거 결과
과천시·시흥군
13대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황철수 (초선)
군포시·시흥시
14대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제정구 (초선)
시흥시
15대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제정구 (재선)[7]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김의재 (초선)[8]
16대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박병윤 (초선)
시흥시 갑시흥시 을
17대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백원우 (초선)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조정식 (초선)
18대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백원우 (재선)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조정식 (재선)
19대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함진규 (초선)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조정식 (3선)
20대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함진규 (재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조정식 (4선)
21대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문정복 (초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조정식 (5선)

파일:시흥시 CI.svg 역대 시흥시장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62009 재보궐
민주당새정치국민회의한나라당한나라당민주당
정언양백청수정종흔이연수[9]김윤식
2010201420182022
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김윤식임병택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정언양 35.37%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한상욱 28.61%
3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김인환 14.77%
4위:
[[무소속|
무소속
]]
박명학 13.51%
1998년1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백청수 48.81%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이혁근 28.52%
3위:
[[무소속|
무소속
]]
정언양 16.81%
2002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정종흔 39.21%

2위:
[[무소속|
무소속
]]
백청수 29.46%
3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신일영 27.92%
2006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연수 49.67%

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김윤식 26.39%
3위:
[[민주당(2005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이명운 12.65%
4위:
[[무소속|
무소속
]]
정종흔 11.27%
2009년1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김윤식 46.08%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노용수 44.05%
2010년1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김윤식 59.41%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최홍건 40.58%
2014년1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김윤식 49.72%

2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한인수 46.55%
2018년1위: 임병택 72.50%
2위: 곽영달 27.49%
2022년1위: 임병택 55.54%
2위: 장재철 44.45%
[1] 비례대표 더불어시민당+열린민주당 44.81%.[2]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56.69%.[3] 대야동, 신천동, 신현동, 은행동, 매화동.[4] 정왕동, 군자동, 월곶, 연성동, 능곡동, 장곡동.[5] 여담으로 이 前 시장은 정계 진출 전 경기지방경찰청 형사과장과 안산경찰서장, 시흥경찰서장을 지냈다.[6] 다만 김 前 시장도 재임 중이던 2014년, 서울대 시흥캠퍼스 예정 부지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 위치한 아파트를 분양받은 뒤 이듬해 웃돈을 받고 분양권을 전매했던 것 때문에 투기 의혹과 관련하여 수사를 받기도 했다.[7] 99.02.09. 별세[8] 99.03.30. 재보궐선거[9] 09.01.30. 시장직 상실(뇌물수수)


3.1. 지선[편집]



3.1.1.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1.1. 경기도지사 선거[편집]

시흥시
시흥시 일원[시흥]
정당
후보이재명남경필김영환이홍우홍성규
득표수112,16455,8618,3424,3891,444
득표율61.56%30.65%4.57%2.40%0.79%
순위1위2위3위4위5위
선거인 수350,586
투표 수185,308
무효표 수3,108
투표율52.86%

7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경기 시흥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이재명남경필김영환이홍우홍성규
득표수
(득표율)
112,164
(61.56%)
55,861
(30.65%)
8,342
(4.57%)
4,389
(2.40%)
1,444
(0.79%)
+56,303
(△30.91)
52.86%
대야동56.28%36.46%4.21%2.31%0.74%△19.8254.72
신천동58.24%34.51%4.29%2.10%0.86%△23.7348.04
신현동53.17%39.39%4.55%2.03%0.86%△13.7854.53
은행동61.05%31.50%4.01%2.66%0.77%△29.5557.86
매화동57.13%35.22%4.24%2.51%0.89%△21.9151.12
목감동62.05%31.15%4.08%2.02%0.69%△30.9058.20
군자동57.52%32.98%5.96%2.41%1.13%△24.5446.83
정왕본동64.66%28.15%3.96%2.51%0.71%△36.5130.97
정왕1동64.22%27.84%4.61%2.50%0.83%△36.3837.10
정왕2동63.35%28.68%4.59%2.60%0.77%△34.6748.97
정왕3동63.82%27.97%4.91%2.56%0.74%△35.8546.07
정왕4동65.67%26.31%4.86%2.50%0.66%39.3654.27
과림동39.0%55.99%3.59%0.98%0.44%16.9952.28
연성동60.62%31.81%4.32%2.45%0.80%△28.8157.90
능곡동59.46%32.31%5.15%2.38%0.70%△27.1556.57
월곶동60.97%31.36%4.84%2.08%0.75%△29.6149.15
장곡동63.58%28.78%4.38%2.45%0.81%△34.8059.06
후보이재명남경필김영환이홍우홍성규격차
거소·선상투표63.11%26.51%5.48%2.02%2.88%△36.60
관외사전투표66.01%25.35%5.01%2.71%0.91%40.66


3.1.2.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2.1. 경기도지사 선거[편집]

시흥시
시흥시 일원[시흥]
정당
후보김동연김은혜
득표수104,76284,897
득표율54.19%43.91%
순위1위2위
선거인 수431,352
투표 수195,139
무효표 수1,819
투표율45.24%

8회 지선 시흥시 개표 결과
경기도지사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김동연김은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4,762
(54.19%)
84,897
(43.91%)
+ 19,865
(△10.28)
195,139
(45.23%)
대야동[A]52.08%45.95%△6.1348.36
신천동49.63%48.31%△1.3240.22
신현동[B]45.34%53.01%▼7.6850.77
은행동[C]57.40%40.76%△16.6449.21
매화동[D]49.92%48.63%△1.2944.15
목감동[E]53.31%45.06%△8.2547.92
군자동[F]49.56%48.45%△1.1239.87
월곶동52.17%46.49%△5.6840.87
정왕본동[G]51.86%45.57%△6.2826.92
정왕1동54.54%43.59%△10.9528.83
정왕2동57.33%40.59%△16.7335.52
정왕3동55.75%42.60%△13.1537.94
정왕4동56.67%41.45%△15.2145.28
과림동[H]31.72%66.81%▼35.0954.19
연성동[I]55.88%42.58%△13.3048.61
능곡동[J]52.71%45.41%△7.3047.57
장곡동56.00%42.21%△13.7944.15
배곧1동58.93%39.51%△19.4244.75
배곧2동[K]56.35%41.80%△14.5440.57
후보김동연김은혜격차
거소투표50.75%41.64%△9.11
관외사전투표55.02%42.41%△12.61
국회의원
선거구
김동연김은혜격차투표율
시흥시 갑[L][10]53.28%44.92%△8.3646.79
55.35%42.81%△12.5437.73
지역김동연김은혜격차투표율
북부권[N]52.46%45.66%△6.8046.63
남부권[O]54.34%43.85%△10.4840.49
배곧신도시57.68%40.63%△17.0542.61
시흥시장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임병택장재철(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6,468
(55.54%)
85,217
(44.45%)
+ 21,257
(△11.09)
195,137
(45.23%)
대야동[*A ]53.91%46.08%△7.8348.30
신천동53.30%46.69%△6.6140.21
신현동[*B ]47.53%52.46%▼4.9350.73
은행동[*C ]56.10%43.89%△12.2049.15
매화동[*D ]52.69%47.30%△5.3844.08
목감동[*E ]51.80%48.19%△3.6147.92
군자동[*F ]48.26%51.73%▼3.4839.84
월곶동53.59%46.40%△7.1840.85
정왕본동[*G ]53.11%46.88%△6.2326.91
정왕1동56.44%43.55%△12.8928.83
정왕2동60.06%39.93%△20.1435.50
정왕3동57.94%42.05%△15.8937.92
정왕4동59.70%40.29%△19.4145.26
과림동[*H ]32.73%67.26%▼34.5454.13
연성동[*I ]57.77%42.22%△15.5448.61
능곡동[*J ]51.89%48.10%△3.8047.59
장곡동56.74%43.25%△13.5044.14
배곧1동62.37%37.62%△24.7544.74
배곧2동[*K ]60.29%39.70%△20.5840.56
후보임병택장재철격차
거소투표58.07%41.92%△16.16
관외사전투표56.55%43.44%△13.11

3.2. 대선[편집]



3.2.1.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시흥시
시흥시 일원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102,267112,012
득표율47.56%52.09%
순위2위1위
선거인 수301,719
투표 수215,665
무효표 수638
투표율71.48%

18대 대선 경기 시흥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
(득표율)
102,267
(47.56%)
112,012
(52.09%)
-9,745
(▼4.53)
71.48%
대야동49.68%49.99%▼0.31[11]74.21
신천동49.89%49.79%△0.10[12]70.66
신현동55.95%43.61%△12.3474.44
은행동46.12%53.56%▼7.4477.58
매화동50.72%48.95%△1.7774.15
목감동55.41%44.30%△11.1173.56
군자동49.52%50.22%▼0.7070.07
정왕본동44.20%55.46%▼11.2646.33
정왕1동45.39%54.31%▼8.9260.16
정왕2동44.60%55.03%▼10.4373.52
정왕3동45.79%53.90%▼8.1169.21
정왕4동43.83%55.81%11.9877.44
과림동64.99%34.83%30.1674.92
연성동44.89%54.81%▼9.9278.99
능곡동44.93%54.77%▼9.8477.81
후보박근혜문재인격차
국외부재자투표37.23%61.77%24.54
국내부재자투표48.07%50.72%▼2.65

3.2.2.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시흥시
시흥시 일원[시흥]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103,73243,24858,11914,84617,127
득표율43.52%18.14%24.38%6.22%7.18%
순위1위3위2위5위4위
선거인 수322,806
투표 수239,227
무효표 수895
투표율74.11%

19대 대선 경기 시흥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
(득표율)
103,732
(43.52%)
43,248
(18.14%)
58,119
(24.38%)
14,846
(6.22%)
17,127
(7.18%)
+45,613
(△19.14)
74.11%
대야동40.78%20.79%25.0%6.06%6.75%△15.7874.46
신천동40.28%21.71%25.04%5.63%6.79%△15.2468.37
신현동35.75%27.09%23.94%5.90%6.65%△8.6674.13
은행동44.41%17.79%23.72%6.32%7.27%△20.6977.87
매화동38.65%22.18%25.61%5.81%7.0%△13.0471.75
목감동41.65%21.11%24.05%6.08%6.62%△17.6075.87
군자동39.93%21.52%25.57%5.12%7.15%△14.3668.19
정왕본동45.90%16.91%23.71%5.87%6.94%△22.1955.14
정왕1동44.88%17.13%24.04%5.92%7.61%△20.8462.47
정왕2동44.64%15.79%24.32%6.65%8.12%△20.3273.75
정왕3동44.18%16.35%25.73%6.41%6.98%△18.4569.43
정왕4동46.54%14.36%24.62%6.77%7.27%△21.9279.75
과림동28.39%41.12%22.89%3.49%3.65%12.7370.44
연성동44.32%18.15%23.27%6.39%7.47%△21.0578.19
능곡동43.41%19.10%24.08%6.33%6.59%△19.3376.99
월곶동43.52%19.03%25.50%5.43%6.12%△18.0271.27
장곡동47.17%14.31%24.55%6.14%7.43%22.6280.71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37.08%11.64%36.69%10.26%2.56%△0.39[13]
관외사전투표46.87%13.91%23.13%7.51%7.94%△23.74
재외투표62.74%5.32%14.83%4.18%12.55%47.91

3.2.3.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시흥시
시흥시 일원[시흥]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178,462125,544
득표율56.69%39.88%
순위1위2위
선거인 수424,723
투표 수317,197
무효표 수2,432
투표율74.68%

20대 대선 시흥시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78,462
(56.69%)
125,544
(39.88%)
+ 52,918
(△16.81)
317,197
(74.68%)
대야동[*A ]53.10%43.44%△9.6674.76
신천동54.77%41.66%△13.1168.46
신현동[*B ]50.29%46.47%△3.8376.71
은행동[*C ]58.14%38.34%△19.8177.18
매화동[*D ]55.74%41.43%△14.3073.52
목감동[*E ]56.41%40.45%△15.9676.40
군자동[*F ]56.45%39.73%△16.7167.53
월곶동55.59%41.27%△14.3271.20
정왕본동[*G ]58.22%37.98%△20.2556.72
정왕1동59.05%37.42%△21.6361.75
정왕2동59.51%36.88%△22.6367.84
정왕3동59.72%37.00%△22.7269.55
정왕4동59.21%37.48%△21.7376.24
과림동[*H ]42.78%55.07%▼12.2980.99
연성동[*I ]58.11%38.46%△19.6576.21
능곡동[*J ]54.81%42.09%△12.7276.64
장곡동57.48%39.24%△18.2475.26
배곧1동60.73%36.18%△24.5978.30
배곧2동[*K ]57.58%39.42%△18.1674.57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49.06%44.29%△4.77
관외사전투표53.91%42.00%△11.90
재외투표69.55%26.88%△42.67
국회의원
선거구
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시흥시 갑[*L ][14]55.70%40.96%△14.7475.00
58.66%37.97%△20.6969.66
지역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북부권[*N ]54.97%41.61%△13.3674.20
남부권[*O ]57.66%38.96%△18.7070.83
배곧신도시59.18%37.77%△21.4176.42
조정식이 내리 5선을 한 지역구 답게 모든 지역구가 더불어민주당의 이재명 후보가 우위를 기록했다. 특히 배곧신도시와 정왕동 일대는 더블 스코어에 가까운 득표율 차이가 났으며, 시흥시 전체로 따지면 국민의힘 윤석열 당선인은 수도권에서 몇 안되게 40% 득표에도 실패했다.

3.3. 총선[편집]


21대 총선 시흥시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시흥시 갑)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문정복함진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8,653
(51.71%)
59,595
(44.89%)
+ 9,058
(△6.82)
134,026
(65.08%)
[ 펼치기 · 접기 ]
대야동[A]50.50%46.05%△4.4563.96
신천동48.18%47.86%△0.3254.84
신현동[B]43.71%53.42%▼9.7265.31
은행동[C]53.76%42.97%△10.7965.34
매화동[D]46.80%50.06%▼3.2662.68
목감동[E]54.67%42.21%△12.4564.46
과림동[H]35.17%62.88%▼27.7267.89
연성동[I]52.16%45.01%△7.1664.89
능곡동[J]52.25%44.24%△8.0065.22
장곡동53.81%43.12%△10.6966.15
후보문정복함진규격차투표율
거소·선상투표34.68%56.56%▼21.88
관외사전투표56.40%39.03%△17.37
재외투표69.46%28.24%△41.22
국회의원 선거 (시흥시 을)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조정식김승(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9,270
(67.02%)
32,700
(31.63%)
+ 36,570
(△35.38)
104,604
(56.27%)
[ 펼치기 · 접기 ]
군자동[F]60.65%37.51%△23.1453.03
월곶동63.69%35.06%△28.6456.93
정왕본동[G]64.37%33.77%△30.5942.10
정왕1동65.01%33.26%△31.7546.90
정왕2동66.29%32.31%△33.9853.88
정왕3동66.59%31.99%△34.6054.82
정왕4동66.46%32.36%△34.1062.37
배곧동[K]71.47%27.73%△43.7458.67
후보조정식김승격차투표율
거소·선상투표61.50%36.28%△25.22
관외사전투표69.10%29.02%△40.08
재외투표72.94%27.05%△45.88

비례대표 선거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61,211
(26.87%)
89,032
(39.09%)
25,207
(11.06%)
15,470
(6.79%)
13,041
(5.72%)
- 27,821
(▼12.22)
238,627
(60.88%)
[ 펼치기 · 접기 ]
대야동[A]30.22%37.32%10.73%6.74%4.85%▼7.1063.95
신천동31.61%36.59%9.62%5.51%4.28%▼4.9954.84
신현동[B]36.88%32.85%9.57%5.37%4.43%△4.0365.32
은행동[C]25.41%40.08%11.88%7.00%5.94%▼14.6865.34
매화동[D]31.12%36.44%9.65%5.81%4.61%▼5.3362.69
목감동[E]26.80%39.18%12.08%6.91%6.01%▼12.3864.46
군자동[F]30.06%38.49%8.72%4.90%4.30%▼8.4353.04
월곶동28.93%37.04%9.69%7.34%6.62%▼8.1256.93
정왕본동[G]26.44%39.98%10.31%6.73%5.61%▼13.5342.11
정왕1동25.85%41.37%10.13%6.10%5.74%▼15.5346.90
정왕2동25.32%40.87%10.96%6.61%5.94%▼15.5553.87
정왕3동25.12%41.95%10.69%6.33%5.52%▼16.8354.82
정왕4동24.65%39.70%12.01%7.57%5.73%▼15.0562.38
과림동[H]48.72%25.39%6.60%4.85%4.14%△23.3367.89
연성동[I]27.79%38.45%11.87%6.08%5.82%▼10.6664.89
능곡동[J]28.54%36.90%11.29%7.09%5.83%▼8.3665.18
장곡동25.80%39.05%11.53%7.64%6.25%▼13.2566.14
배곧동[K]21.98%42.15%12.18%8.88%6.15%▼20.1858.67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25.87%29.96%8.56%7.78%3.89%▼4.09
관외사전투표23.30%38.99%11.59%6.29%7.49%▼15.68
재외투표22.59%41.82%7.69%2.88%18.75%▼19.23


[시흥] A B C D 대야동, 신천동, 신현동, 은행동, 매화동, 목감동, 과림동, 연성동, 능곡동, 장곡동, 배곧동, 월곶동, 군자동, 정왕본동, 정왕1동, 정왕2동, 정왕3동, 정왕4동[A] 법정동 대야동 · 계수동[B] 법정동 미산동 · 방산동 · 포동[C] 법정동 은행동 · 안현동[D] 법정동 매화동 · 도창동 · 금이동[E] 법정동 목감동 · 논곡동 · 조남동 · 산현동 · 물왕동[F] 법정동 군자동(서쪽) · 거모동[G] 법정동 정왕동(일부) · 죽율동[H] 법정동 과림동 · 무지내동. 시흥의 유일한 농촌지역[I] 법정동 하중동 · 하상동 · 광석동 · 장현동[J] 법정동 능곡동 · 군자동(일부) · 화정동[K] 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가 있는 곳[L] 대야동, 신천동, 신현동, 은행동, 매화동, 목감동, 과림동, 연성동, 능곡동, 장곡동[10] 지역구 국회의원: 문정복 (더불어민주당, 초선)[N] 구 소래읍(대야동, 신천동, 신현동, 은행동, 매화동, 과림동)[O] 구 안산군(목감동, 군자동, 월곶동, 정왕본동, 정왕1동, 정왕2동, 정왕3동, 정왕4동, 연성동, 능곡동, 장곡동)[11] 불과 61표 차이였다.[12] 불과 23표 차이였다.[13]2표 차이였다.[14] 지역구 국회의원: 문정복 (더불어민주당, 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