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야기현 제4구

덤프버전 :


도호쿠 지방 국회의원
[ 중의원 의원 ]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미야기현 제4구>
宮城県第4区
파일:shuinsen_Miyagi4.svg
선거인 수388,880명 (2022)
상위 도도부현미야기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이토 신타로




1. 개요[편집]


미야기현의 북부 지역 중 센다이시 인접 지역들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 소속 이토 신타로.


2. 상세[편집]


3구와 같이 자민당 지지도가 강한 곳이다.

현직 의원인 이토 신타로는 아버지인 이토 소이치로 전 중의원 의장이 2001년 9월 의원 재직 중 심부전으로 병사하자, 이후 치러진 보궐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현재는 7선 의원이다.

2022년 공직선거법 개정에 따른 선거구 조정으로, 기존 5구에 속하던 이시노마키시 등이 4구에 속하게 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미야기현 제4구
시오가마시, 후루카와시, 타가죠시, 미야기군,
쿠로카와군, 카미군, 시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토 소이치로75,196표1위

44.67%당선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닛타 가즈히로59,436표2위

35.31%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스가와라 구니오18,813표3위

11.18%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사토 요시히로14,887표4위

8.84%낙선
유효표 수168,332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미야기현 제4구
시오가마시, 후루카와시, 타가죠시, 미야기군,
쿠로카와군, 카미군, 시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토 소이치로104,711표1위

57.48%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사쿠나미 유키노49,973표2위

27.4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사토 미치코27,478표3위

15.08%낙선
유효표 수182,162표투표율
선거인 수


4.3.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보궐선거[편집]


미야기현 제4구
시오가마시, 후루카와시, 타가죠시, 미야기군,
쿠로카와군, 카미군, 시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토 신타로63,745표1위

47.72%당선
혼마 슌타로48,871표2위

[[무소속|
무소속
]]
36.59%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야마조 다카시11,683표3위

8.7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오노 도시로9,281표4위

6.95%낙선
유효표 수133,580표투표율
선거인 수

중의원 의장을 지낸 이토 소이치로 의원이 임기 중 병사하자, 보궐선거가 치러졌다. 자민당은 이토 소이치로의 아들인 이토 신타로를 공천했고, 혼마 슌타로 전 미야기현 지사가 무소속 후보로 출마했다.

이토 신타로 후보가 부친보다는 적은 득표율이지만 당선되었다.


4.4.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미야기현 제4구
시오가마시, 후루카와시, 타가죠시, 미야기군,
쿠로카와군, 카미군, 시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토 신타로76,554표1위

40.18%당선
혼마 슌타로61,200표2위

[[무소속|
무소속
]]
32.12%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야마조 다카시40,583표3위

21.3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오노 도시로12,196표4위

6.40%낙선
유효표 수190,533표투표율
60.37%
선거인 수322,688인

2년전 보궐선거에 출마한 4명의 후보가 다시 출마했다. 현역 의원인 자민당 이토 신타로 후보가 다시 당선되었다. 다만 득표율을 지난 보궐선거때보다 줄어들었고, 민주당 후보가 득표율을 많이 끌어올렸다.


4.5.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미야기현 제4구
시오가마시, 후루카와시, 타가죠시, 미야기군,
쿠로카와군, 카미군, 시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토 신타로114,245표1위
54.54%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이시야마 게이키78,627표2위
37.54%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다카하시 다쿠야16,584표3위
7.92%낙선
유효표 수209,456표투표율
65.13%
선거인 수327,552인


4.6.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미야기현 제4구
시오가마시, 후루카와시, 타가죠시, 미야기군,
쿠로카와군, 카미군, 시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이시야마 게이키119,926표1위
52.87%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토 신타로92,610표2위
40.8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가토 미키오11,881표3위
5.24%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무라카미 요시아키2,424표4위
1.07%낙선
유효표 수226,841표투표율
69.40%
선거인 수332,136인


4.7.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미야기현 제4구
시오가마시, 후루카와시, 타가죠시, 미야기군,
쿠로카와군, 카미군, 시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토 신타로80,250표1위
[1]44.28%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이시야마 게이키54,253표2위
[2]29.94%낙선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하타케야마 마사키30,722표3위
[3]16.9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도쓰카와 히사시13,492표4위
7.44%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무라카미 요시아키2,518표5위
1.39%낙선
유효표 수181,235표투표율
55.67%
선거인 수335,608인

이 선거에서 낙선한 이시야마 게이키 전 의원은 2023년 8월에 예정된 카미정 정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며, 현직을 누르고 당선되었다.


4.8.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미야기현 제4구
시오가마시, 타가죠시, 미야기군, 쿠로카와군, 카미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토 신타로68,773표1위
[4]57.28%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이도 마사에35,242표2위
29.3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고다카 히로시16,041표3위
13.36%낙선
유효표 수120,056표투표율
49.10%
선거인 수253,742인


4.9.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미야기현 제4구
시오가마시, 타가죠시, 토미야시, 미야기군 일부,
쿠로가와군 일부, 카미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토 신타로73,298표1위
[5]58.45%당선
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반도 다케히코34,424표2위
27.4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다카무라 나오야17,688표3위
14.10%낙선
유효표 수125,410표투표율
54.06%
선거인 수239,981인


4.10.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미야기현 제4구
시오가마시, 타가죠시, 토미야시, 미야기군 일부,
쿠로가와군 일부, 카미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토 신타로74,721표1위
[6]56.51%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후나야마 유미30,047표2위
22.73%낙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하야사카 아츠시27,451표3위
20.76%비례당선
유효표 수132,219표투표율
57.15%
선거인 수237,478인

현역 자민당 이토 신타로 의원이 재출마한다.

공산당은 후나야마 유미 전 타가죠시 시의원을 공천했다. 워낙 자민당 강세인 지역이라 제1야당인 입헌민주당은 후보를 공천하지 않았다. 선거운동 시작 직전에 일본 유신회가 하야사카 아츠시 전 센다이시의회 의원을 공천, 총 3명의 후보가 출마한다.

투표 결과, 자민당 이토 신타로 후보가 지난 총선과 비슷한 56.5%의 득표율로 압승을 거두었다.


4.11.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2022년 공직선거법 개정안(일명 10증10감법)이 통과되면서 미야기현 선거구가 1개 줄어듦에 따라 선거구가 대폭 조정되었다. 카미군이 신 5구로 넘어가고 기존 5구 지역이던 이시노마키시, 히가시마츠시마시, 미야기군 마츠시마마치, 쿠로카와군 오사토초, 오시카군이 이 곳으로 넘어왔다. 사실상 기존 4구와 5구 선거구의 대부분이 이 곳으로 합쳐진 양상이다. 4구 현역인 이토 의원과 5구 현역인 아즈미 의원 두 사람 모두에게 꽤나 좋지 못한 상황이 됐다.

자민당에서는 기존 4구 현역인 이토 신타로 의원이 후보로 낙점되어 8선에 도전하며, 지역기반이 겹치는 기존 5구의 모리시타 치사토 지부장은 비례대표 상위 순번으로 출마하기로 했다.

입헌민주당에서는 기존 5구 현역이 아즈미 준 의원이 10선에 도전한다.

유신회에서는 지난 총선에 4구에 출마해 석패율제를 통해 당선된 하야사카 아츠시 의원의 재선 도전이 예상된다.

[1] 추천[2] 추천[3] 추천[4] 추천[5] , 추천[6]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