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화산역 (r23판)

편집일시 :

/ Gaehwasan

개 화 산
파일:Seoulmetro5_icon.svg
하남검단산·마천 방면
김포공항
1.2 ㎞ →


다국어 표기
영어Gaehwasan
한자開花山
중국어开花山
일본어ケファサン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로 22 (방화2동 531번지)
운영 기관
5호선파일:서울교통공사_Logo.png
개업일
5호선1996년 3월 20일
역사 구조
지상 2층 구조, 지하 2층 승강장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발빠짐주의)

1. 개요
2. 역 정보
2.1. 역명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버스 노선
6.1. 개화산역 (16-287)
6.2. 개화산역 (16-288)
7. 사건.사고



1. 개요[편집]


수도권 전철 5호선 511번.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로 22 (방화2동 531번지) 소재. 공사 당시 역명은 방화역이었으며, 개화역과는 다르다.


2. 역 정보[편집]


파일:02 개화산(수정).jpg
역 안내도.

파일:개화산역.jpg
개화산역 2번출구

역 이름은 인근에 있는 야산인 개화산에서 따왔지만, 정상은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역이 좀 더 가깝다. 인근에 대한항공 전산센터가 있다.

한국에서는 이례적으로 출구 2개 모두 지상에 건물이 있다. 물론 지하로 연결되기 때문에 지하철 출구로 가고, 지하 1층으로 내려가서 교통카드 찍고 지하 2층 승강장으로 내려가면 지하철을 탈 수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도 지상에서 바로 승강장까지 데려다준다.[1] 지상에 건물이 있는 이유는 바로 개화산 기술/승무[2] 사업소가 있기 때문이다.

1994년 감사원 감사결과 설계오류와 부실시공으로 인한 붕괴위험이 지적되어서 철거 후 전면 재시공을 한 흑역사가 있었다.#

환승주차장이 넓게 마련되어 있는데, 본래는 이 자리 중 일부에 김포시, 인천광역시 등으로 나가는 버스가 정차하는 간단한 시외버스터미널을 만들려고 하였다. 참고 그러나 결국 이 계획은 무산되었고, 본래 시외버스터미널 승하차장으로 마련한 부지는 환승주차장으로 쓰다가, 지금은 SH공사가 지은 도시형 원룸 주택이 들어서 있다.

프라이머리의 곡 '3호선 매봉역'의 가사 중 '매봉역에서 개화산' 이란 가사 덕분에 조금 유명해졌다.

만약, 이 근처에서 사는 학생이 쉽게 지하철에서 봉사활동을 하려고 한다면 개화산역을 추천한다. 특히 방화행 열차는 타는 사람은 없는 거나 다름 없고 내리는 사람들도 많은 편은 아니기에 매우 편하게 봉사시간을 얻을 수 있다.

역 근처 개화동로를 따라 김포 도시철도가 지나가지만 역이 설치되지는 않았다.

1991년에 확정된 역명은 방화역이었다. 당시의 개화산역은 현재의 방화역의 정식 명칭이었는데, 개통 전인 1992년에 두 역이 이름을 맞바꾸어 당시 개화산역은 방화역이 되었고 당시의 방화역은 개화산역이 되었다.


2.1. 역명[편집]


新羅時代 駐龍先生이란 道人이 이 산에서 도를 닦다가 늙어 죽었다는데 선생이 죽은 후에 그 자리에는 이상한 꽃 한송이가 피어났다. 이를 두고 사람들이 개화산이라 일컬었다 한다. 임진왜란, 병자호란 전까지는 봉화불을 올렸다 하여 開火花山이라 하였는데 그 후에 개화산이라 명칭이 바뀌었다. 산의 모양이 꽃피는 형국을 하고 있어서 붙여진 이름으로 개화동의 면적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는 높이 132m의 개화산의 영향으로 유래됨".


3. 역 주변 정보[편집]


역명은 인근 개화산에서 따왔지만, 정상은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역이 좀 더 가깝다. 인근에 대한항공 전산센터가 있다.

환승주차장이 넓게 마련되어 있는데, 본래는 이 자리 중 일부에 김포시, 인천광역시 등으로 나가는 버스가 정차하는 간단한 시외버스터미널을 만들려고 하였다. 참고 그러나 결국 이 계획은 무산되었고, 본래 시외버스터미널 승하차장으로 마련한 부지는 환승주차장으로 쓰다가, 지금은 SH공사가 지은 도시형 원룸 주택이 들어서 있다.

출구는 2개이다.
  • 1번 출구: 방화2동, 방화11,12단지, 방화중학교, 방화1동주민센터, 방화2동주민센터, 방화11종합사회복지관, 방화초등학교
  • 2번 출구: 방화1동, 개화119안전센터, 개화산동부센트레빌아파트, 개화초등학교, 한서고등학교

만약, 이 근처에서 사는 학생이 쉽게 지하철에서 봉사활동을 하려고 한다면 개화산역을 추천한다. 특히 방화행 열차는 타는 사람은 없는 거나 다름 없고 내리는 사람들도 많은 편은 아니기에 매우 편하게 봉사시간을 얻을 수 있다.

역 근처 개화동로를 따라 김포 도시철도가 지나가지만 역이 설치되지는 않았다.

프라이머리의 곡 '3호선 매봉역'의 가사 중 '매봉역에서 개화산' 이란 가사 덕분에 조금 유명해졌다.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파일:Seoulmetro5_icon.svg비고
[ 2000년~2009년 ]
2000년11,091명비고
2001년11,545명
2002년11,762명
2003년12,606명
2004년12,844명
2005년12,319명
2006년11,697명
2007년11,444명
2008년11,411명
2009년11,621명
2010년11,431명
2011년12,013명
2012년12,263명
2013년12,531명
2014년12,386명
2015년12,209명
2016년11,777명
2017년11,595명
2018년11,605명
2019년11,731명
2020년8,652명
2021년8,922명


하루 평균 11,000~12,000명 가량의 이용객이 오가는 곳이다. 역의 위치가 참 절묘한데, 양천로 초입부의 평범한 주택가에 있어 역세권이 매우 초라하지만 개화동로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김포공항IC, 양천로가 만나는 개화사거리 바로 옆에 자리를 잡고 있다. 즉, 역세권은 별로지만 교통적인 입지가 매우 뛰어나다는 말이다. 그래서 환승 수요를 노려볼만한 곳이라 실제로 역 건물과 개화사거리 사이에 환승주차장이 놓여 먼 곳에서 와서 갈아타는 수요를 노리고 있는데, 정작 여기서 열차를 갈아타는 사람은 많지 않아 잠재 수요를 제대로 가져오지 못하고 있다. 환승주차장에 주차만 할 뿐 열차를 타는 사람은 크게 많지 않다는 뜻이다. 근처에 있는 김포공항역에서 서울 지하철 9호선이나 인천국제공항철도를 타는 게 도심 진입에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5. 승강장[편집]


파일:1593438708621.jpg

5호선 개화산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곡선 승강장으로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가 넓은 편이다.

방화
김포공항



6. 버스 노선[편집]


2019년 1월 20일 기준 서울시 교통정보 시스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자료) 자료와 경기버스정보 (경기도 시내버스 자료)가 출처인 자료를 바탕으로 배합하여 만든 자료이다.


6.1. 개화산역 (16-287)[편집]


버스 종류다음 정류장정차 노선
심야버스방화사거리N26, N65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N26
공항시장역 - 송정역 - 발산역 - 강서구청사거리 - 염창역 - 선유도공원 - 당산역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신촌로터리.신촌역 - 이대역 - 아현역 - 종로1~6가 - 흥인지문 - 신설동로터리 - 청량리역환승센터 - 삼육서울병원 - 중랑역 - 망우역.상봉터미널 - 신내새한아파트 - 중랑공영차고지
N65
신방화사거리 - 신방화역 - 마곡나루역 - 마곡역 - 발산역 - 화곡역 - 까치산역 - 신정역 - 목동역.목동오거리 - 오목교 - 양남사거리 - 경방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영등포역 - 신도림역.디큐브시티 - 거리공원 - 대림역 - 대동초교 - 대림동우체국 - 구로디지털단지역 - 금천우체국 - 금천구청 - 시흥사거리.대명시장 - 은행나무사거리 - 범일운수종점
간선버스방화사거리605, 672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605
방화2동 청성아파트 - 공항시장 - 김포국제공항 - 송정역 - 마곡역 - 발산역 - 강서구청사거리 - 등촌중학교 - 염창역 - 양평한신아파트 - (→ 당산초교 →/← 양화대교남단 ←) - 당산역 - 영등포시장 - 영등포역 - 신길역 - 대방역 - 노량진역 - 노들역 - 한강대교 - 신용산역 - 삼각지역 - 숙대입구역 → 서울역(남대문경찰서) → 후암삼거리 → 삼강의원 → 숙대입구역 → 이후 역순
672
개화역광역환승센터 - 개화산역 - 방화네거리 - 방화1~2단지 - 서남환경공원 - 마곡테니스장 - 양천초교 - 양천향교역 - 강서한강GS자이아파트 - 가양역 - 증미역 - 염창초교 - 염창현대2차 - 양화교입구 - 영등포아리수정수센터 - 성산대교 - 성산2교 - 마포구청역 - 연희104고지, 구.성산회관 - 서대문우체국 - 연세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후문) - 이대부고
지선버스방화사거리6631, 6647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6631
공항시장 - 송정역 - 마곡엠밸리5단지(신방화역 7번 출구) - 신방화사거리 - 서남물재생센터 - 양천향교역, 휴먼빌아파트(겸재정선기념관) - 성지아파트, 동양고 - 가양4단지, 대림경동아파트 - 가양5단지, 강변아파트 - 가양9단지, 세현고 - 블루나인비지니스센터, 증미역 - 염창동리버파크호텔(동아3차아파트, 나이아가라호텔) - (→ 당산역 2번 출구 →/← 당산역 13번 출구 ←) - 영등포구청 → 영등포시장 → 경방타임스퀘어, 신세계백화점, 영등포역 → 영등포구청 → 이후 역순
6647
방신전통시장 - 공항시장역 - 송정역 - (← 마곡엠밸리5단지, 신방화역 ← 마곡엠밸리7단지712동, 마곡나루역 ← 마곡엠밸리4단지 ← 신방화사거리 ← 마곡엠밸리5단지, 신방화역 ←) - 공항동주민센터 → 강서면허시험장, 메이필드호텔 → 강서농수산물도매시장 → 송정중후문 → 공항동주민센터 → 송정역 → 신방화역 → (괄호) → 이후 역순
일반시내버스 (경기도)방화사거리71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71
(방신전통시장 → 공항시장 → 송정역 → 천주교 공항동성당 → 대한항공 →) 송정중학교 - 대한항공 - 아시아나항공 - 오쇠동 - OBS경인TV - 부천우편집중국 - 약대오거리 - 심원고교앞 - 춘의역 - 원미어울마당앞 - 부천북부역 - 소사역 - 소새울역 - 부천대 제2캠퍼스 - 소사공영차고지


6.2. 개화산역 (16-288)[편집]


버스 종류다음 정류장정차 노선
심야버스개화파출소N26, N65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N26
개화역광역환승센터
N65
개화역광역환승센터
간선버스개화파출소605, 672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605
개화역광역환승센터
672
방화사거리 - 방화역 - 국립국어원
지선버스개화파출소6631, 6647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6631
개화역광역환승센터
6647
개화검문소 - 상사마을 - 개화역광역환승센터


7. 사건.사고[편집]


2008년 8월 27일, 이 역에서 일가족 3명이 선로에 투신하여 승강장으로 진입하던 상일동행 열차에 치여 2명이 사망하고, 1명이 중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했다.[3]


[1] 단, 지하 2층 승강장에서 엘리베이터 옆 게이트에 교통카드를 반드시 대줘야 한다.[2] 개화산 승무사업소는 현재 영등포구청역 인근으로 이전하여 영등포승무사업소로 운영 중에 있다.[3] 지하철 투신, 일가족 3명 사상, 2008-8-28, MBC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