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ON(중이온가속기)

덤프버전 :

라온
RAON - Rare isotope Accelerator complex for ON-line experiments
파일:중이온 가속기.jpg}}}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
구축일
2027년 (예상)
소속 기관
기초과학연구원(IBS)
중이온가속기연구소(RISP)[1]
소재지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제과학로 1[2]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
웹사이트
중이온가속기연구소 홈페이지
라온 활용협력센터
라온 유튜브[3]

1. 개요
2. 목적
3. 역사
3.1. 중이온가속기구축사업단
3.2. 중이온가속기연구소
5. 관련 시설
5.1. 기관
5.2. 학계 및 연구소
5.3. 기업
5.4. 기반 시설 / 정주 환경 개선
5.5. 해외의 중이온가속기 목록



1. 개요[편집]


라온(RAON, Rare isotope Accelerator complex for ON-line experiments)

기초과학연구원(IBS) 중이온가속기연구소(RISP)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에 구축중인 대한민국 최초의 중이온가속기다.

단일 프로젝트로 엄청난 예산이 투입되어, "단군 이래 최대 기초과학 프로젝트"라는 별명이 붙었다.[4]


2. 목적[편집]


  • 새로운 원소의 발견을 포함한 동위원소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 만약 새로운 원소를 발견하면 "코리아늄"(Koreanium, Ko)이라는 이름을 붙이겠다고 한다. 기사[5]

  • 핵과학, 원자·분자과학, 물성과학, 의생명과학, 반도체와 신약개발 등 다양한 과학 분야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세계 최초로 IF[6]방식과 ISOL[7]방식을 결합한 융합형이라, 세계 기초과학의 핵심 인프라로 각광받을 전망이다. #


3. 역사[편집]



3.1. 중이온가속기구축사업단[편집]


  • 2011년 11월 22일 중이온가속기 건설구축 사업단이 발족되었다.
  • 2011년 12월, 김선기 서울대 물리학과 교수[8]가 초대 사업단장에 부임했다. 2017년 완공예정이었다. # #
  • 2012년 9월, 중이온가속기의 이름 후보 639편이 접수되었고, 그 중 이름을 '라온'으로 정했다. # #
  • 2013년 2월, 2019년으로 완공시점을 늦췄다. #
  • 2013년 4월, 홍보 캐릭터를 만들었다. #
  • 2014년 2월, 독일 중이온가속기연구소(GSI)의 한스 가이셀 박사에게 라온의 설계에서 자문을 받았다. # 초전도 가속관이 국산화되었다. #
  • 2014년 5월, 2021년으로 완공시점을 늦췄다. #
  • 2014년 6월, 김선기 사업단장이 2년 6개월만에 사의를 표했다. #


  • 2015년 1월, 정순찬 전 일본 고에너지가속기연구소 교수가 새로 사업단장에 부임했다. #
  • 2015년 11월, 2K 극저온 냉각장치를 구축했다. #
  • 2017년 7월, 중이온빔 초전도가속실험에 성공했다. #
  • 2018년 7월, 정순찬 사업단장이 3년 6개월만에 사의를 표했다.


  • 2019년 1월, 권면 전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장이 새로 사업단장에 부임했다. #
  • 2019년 4월, 연구원들이 신동 현장에 상주하기 시작했다. #
  • 2019년 4월, 캐나다 베스트사가 사이클로트론 납품을 어겨서 사업이 크게 연기되었고 사업단이 법적대응에 나섰다. 벨기에 이온빔어플리케이션으로 납품회사를 변경하였다. #
  • 2019년 9월, 가속기 터널에 초전도가속모듈 1호기 설치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가속장치 설치작업에 착수했다. #
  • 2020년 5월, 혹평하는 기사가 났다. 사업 기간이 2017년(2011년 기준) → 2019년(2013년 기준) → 2020년(2015년 기준)으로 늘어났다. 그리고 예산은 4650억 원(2011년 기준) → 1조 4445억 원(2015년 기준) → 1조 4875억 원(2019년 기준)으로 늘어났다.[9] 이 때문에 2018년 4월부터 정부는 사업계획 적정성을 재검토하여, 2019년 6월 재검토 보고서를 냈는데, 비교대상 5개국 중 최하위며, 기술격차도 5.5년이라고 평가했다. #
  • 2021년 2월, 한국연구재단 토론회에서 연내 완공이 불가능함을 밝혔다. # 연내 저에너지 가속장치 빔 인출이라도 목표한다고 했다. #
  • 2021년 5월, 세부이행계획 공청회를 했다. # # 요약하면 2027년으로 완공시점을 늦췄고, 1327억원이 추가 소요될 예정이다. #
  • 2021년 10월, 국정감사에서 질타를 받았다. #
  • 2021년 11월, 프랑스에서 냉각장치 도입이 지연되어 2021년 내 저에너지 빔 인출은 무산되었다. #
  • 2021년 12월, 저에너지 가속장치가 완공되었으며 이는 세계 8번째다. 2022년 10월 전에 빔 인출(1단계 사업 완료)이 가능할 것을 예측했다. #
  • 2022년 1월, 사업단을 연구소로 변경할 예정을 밝혔다. #


3.2. 중이온가속기연구소[편집]


  • 2022년 7월,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중이온가속기연구소 초대 소장으로 홍승우 전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를 선임했다고 밝혔다. #
  • 2022년 8월, 홍승우 소장이 취임했다. 3년의 임기 내 목표를 1단계로 저에너지 가속장치구간 빔인출, 2단계로 고에너지 가속장치 구축으로 삼았다. #
  • 2022년 10월, 저에너지 가속구간 첫 번째 빔인출을 시험 성공하였다. #
  • 2022년 12월, 나머지 전단부 모듈의 빔인출도 성공해, 이로써 전단부 가속장치 22기가 모두 문제없이 작동하였다. #
  • 2022년 12월, 선행 연구ㆍ개발(R&D) 협약을 체결했다. 선행 R&D와 단계별 구축으로, 고에너지 구간의 세부 계획을 준비한다는 방침이다.
  • 2023년 4월, 라온과학자문위원회에서 참여한 세계적 석학이 언론과 인터뷰를 하였다. # #
  • 2023년 5월, 가속기 저에너지 전체 가속구간에 걸친 빔 시운전에 성공하였다. #
  • 2023년, 2025년까지 선행 R&D를 추진하고 있다.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에 도달하기 위해 앞으로도 기간과 인력이 필요하여, 이와 함께 가속기 활용 지원 사업, 가속기 관련 구축/운영에 관한 인력 양성 사업도 병행하고 있다.
  • 2023년 8월, 대전 신동지구에 위치한 라온 연구소의 견학을 위해 단체 방문 프로그램을 조건부로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
  • 2023년, 홍승우 라온 소장이 언론과 인터뷰를 하였다. # # #


4. 구성[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RAON(중이온가속기)/구성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관련 시설[편집]



5.1. 기관[편집]


유관 기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기초과학연구원
    • IBS 희귀핵연구단 #
    • 라온 활용협력센터 #
    • 중이온가속기연구소 #
    • 라온-바이오 융합의학연구원 [10]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

구축/활용 관련 기관

5.2. 학계 및 연구소[편집]


  • 라온 이용자협회 # [12]
  • 고려대학교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가속기ICT융합관 (가속기연구센터, 대학원 가속기과학과)
    • 극한핵물질연구센터 (CENuM, 핵물리학 전문 연구 그룹) [13]
  • 한국과학기술원 (문지캠퍼스 시험시설)
  • 숭실대학교
    • 우주물질연구소 (OMEG)
  • 포항공과대학교
  • 부산대학교
  • 대학원 연합체 [16]
    • 고려대학교 연합체 (가속기 및 빔라인 미래인재양성 교육단) [14]
    • 포항공과대학교 연합체 (미래기반 가속기 전문인력양성 사업단) [15]
  • 충남대학교 (신동캠퍼스) [17]
  • KoALICE (CERN 핵물리학 한국 그룹)

  • 한국물리학회
    • 핵물리학회
    • 천체물리학회
  • 한국고에너지물리학회
  • 한국원자력학회
  • 한국천문학회
  • 대한기계학회
  • 한국초전도저온학회
  • 지질학회 관련
    • 대한지질학회/대한지질공학회/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한국암석학회/한국광물학회
  • 의학학회 관련
    • 대한핵의학회/대한핵의학기술학회/한국의학물리학회/대한암학회


5.3. 기업[편집]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입주관리서비스 # [18]
  • 과학벨트지원센터 [19]
  • 한국가속기부품산업협동조합(APCK)


5.4. 기반 시설 / 정주 환경 개선[편집]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LH 거점지구(신동ㆍ둔곡) 개발사업 # [20]
  • 대전광역시
  • 과학기술인공제회


5.5. 해외의 중이온가속기 목록[편집]


  • 일본(RIKEN / RIBF)
  • 독일(GSI / FAIR)
  • 미국(MSU / FRIB, NSCL)
  • 중국(IMP / HIRFL)
  • 프랑스(GANIL / SPIRAL 2)
  • 유럽(CERN / HIE-ISOLDE)
  • 캐나다(TRIUMF / ISAC-II)

[1] Rare Isotope Science Project[2] 지번주소는 신동 651[3] 2016년 6월 23일 이후로 업로드가 멈췄다. 이후 홍보영상은 IBS 유튜브에서 올리고 있다.[4] 2011년 시작된 RAON은 약 1.5~2조원. 2022년 시작된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은 3.6조원이므로, 이 타이틀은 넘어가게 되었다.[5] 기사에는 Kr이라고 잘 못 나왔는데 이건 크립톤이다.[6] In-flight Fragmentation: 빔 쪼개짐에 의한 희귀동위원소 빔 생성[7] Isotope Seperation On-Line: 표적 쪼개짐에 의한 희귀동위원소 빔 생성[8] 이휘소 교수의 제자인 강주상 교수의 제자이다. 다만 주 연구분야가 가속기 물리학과는 거리가 있다보니 이래저래 말이 많았다는 모양. 이전에는 암흑물질 탐색 실험을 주도했었는데 단장으로 부임하면서 김영덕 세종대 교수에게 자리를 넘겼다.[9] RAON의 예산이 1조원이 늘어날 동안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전체 예산은 6000억원 늘어난 것을 생각하면 다른 분야가 4000억원 손해를 입은 셈이 된다.[10] 2018년 부설기관으로 '라온 바이오 융합의학연구원'을 계획했으나 2020년 백지화되었다. # 이후 2022년, 윤석열 대선후보가 라온과 연계한 '중입자 가속기 암치료센터' 설립을 공약하며 구상이 부활했다. #[11] 부산 기장군 2024년 말까지 준공 예정[12] 위 라온 활용협력센터와 홈페이지를 공유하지만, 활용협력센터는 IBS 산하의 기관이고, 이용자협회는 학계다.[13] 고려대학교가 주관 연구기관이며, 홍병식 교수가 센터장이다. 홍병식 교수 연구실은 서울 본캠퍼스에 있다. #[14] 고려대 세종캠퍼스는 국내 유일의 가속기학과 교육프로그램과 가속기 시험시설(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를 활용한 교육을 담당한다. 주관 교육기관:고려대학교(세종), 참여 기관(10):고려대학교(서울),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 서강대학교, 서울대학교(빔라인),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 충북대학교, 청주대학교, 한양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15] 포항공과대학교 연합체는 포항가속기연구소 일부 장비를 활용한 현장 실습 기반의 가속기 인력양성을 추진한다. 주관 기관:포항공과대학교, 참여 기관(6):광주과학기술원, 동국대학교(경주), 부산대학교, 서울대학교(가속장치), 울산과학기술원, 조선대학교[1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으로 2027년까지 국내 중이온가속기, 방사광가속기 등의 구축ㆍ운영 인력 확보를 위해 석ㆍ박사급 전문인력을 양성을 진행하고 있다.#[17] 2027년 이후 예정 #[18] 대전 유성구 신동ㆍ둔곡 지구에 약 100개의 기업이 입주하였다.[19] 2025년 예정#[20] 기반 시설, 주택, 교통, 공원ㆍ녹지, 도시 계획 등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2 02:43:17에 나무위키 RAON(중이온가속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