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회독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
2. 시험별


1. 개요[편집]


기본서 혹은 문제집을 끝까지 읽는 것. N번 읽었으면 N회독이라고 칭한다. 익숙해지고 이해하고 암기하고 끝내는 어느 정도나마 책 전체를 머리에 집어넣기 위한 방식이다.

비슷한 용어로는 통암기법 등이 있다.

그 방식은 사람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이 세상에는 나름의 근거로 확립된 공부법이 워낙에 많기 때문. 인터넷 세상에서 건질 수 있는 것만 수십 가지이다. 그렇지만 처음 몇 번은 너무 디테일을 살리거나 무작정 꼼꼼히 외워버리기보다는 목차만 훑어보거나 대강대강 몇 번 읽어보고, 3~5회독 이상부터 본격적으로 아는 건 가볍게 넘어가면서 모르는 부분 위주로 암기하는 방식이 추천된다.

아무래도 기본적인 뼈대를 먼저 잡은 다음에 살을 붙이는, 지식의 체계 혹은 계보를 잡는 방식이 사람이 이해하기에도, 실제 시험에 적용하기에도 유용하다.

구체적인 방식은 인터넷 검색으로 수십 개를 건져올릴 수 있지만, 결국은 시행착오를 거쳐 자신에게 보다 맞는 방식을 찾을 필요가 있다. 주어진 방식에서 잘 안 되는 부분을 떼내고 자신만의 노하우를 덧대거나, 다른 방식을 시도해보거나, 혹은 상당히 생소한 방식을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다.

그래도 독학을 가정하여 대략적인 방식은 다음과 같다. 1회독 때는 읽으면서 중요해 보이는 부분은 밑줄 치고, 난해한 문장은 이해 되는 만큼만 옆에 풀이하며, 모르는 부분은 표시만 해둔다. 초장 회독부터 이해가 안 되거나 모르는 부분이 나온다고 일일이 인터넷에 검색하거나 사전을 찾아볼 필요는 없다. 일일이 찾아보면 시간 낭비가 크며, 충분히 두껍고 내용이 알찬 기본서나 교재라면 앞에서 부족한 내용도 뒤에서 나오기도 하기 때문이다. 답답해도 참아야 한다.
첫 회독에서 모든 부분에 형광펜이나 밑줄을 치는 것은 안하느니만 못할 정도로 요점도 없고 가독성도 엉망인 쓰레기책으로 변신한다. 다음은 참고할만한 박도원 강사의 기본서 밑줄 원칙이다.
1. 주어와 술어는 밑줄만 처리한다.
2. 키워드에 동그라미 또는 형광펜을 칠하는 경우는 목적어에 해당한다.
3. 제목은 밑줄이나 형광펜을 칠하지 않더라도 항상 주의깊게 본다.
4. 한페이지당 5~7개의 핵심 키워드를 주황색으로 체크한다.
5. 회독 때마다 주황색으로 칠한 키워드를 연상하는 훈련을 한다.
6. 회독이 쌓일수록 키워드는 자연스레 연상되기 때문에 키워드 주변 개념들을 떠올려본다.

2회독 이상부터는 중요하다고 밑줄 친 부분은 더 자세히 읽고, 난해한 문장은 풀이를 참조해서 읽거나, 이해가 달라졌다면 풀이를 고치고, 모르는 부분은 알게 되면 옆에 그 해석을 단다. 가령 Hi라는 단어를 몰라서 표시만 하다가, 책을 몇 번 회독하니 그 뜻을 알게 된다면 Hi 옆이나 페이지 구석에 'Hi: 안녕'이라는 주석을 달자는 것이다.

4회독 이상부터는 이전처럼 읽되, 여전히 이해가 되지 않거나 모르는 부분은 인터넷이나 사전으로 찾아본다. 만약 첫회독부터 찾아봤다면 찾아볼 양이 꽤 될 테지만 4회독 때부터는 그동안의 회독으로 지식이 어느 정도 늘어나니 찾아볼 양이 훨씬 더 적어진다. 공부는 효율적으로 해야 한다.

10회독 이상부터는 문제집과 병행한다. 회독을 마칠 때마다 문제를 풀어서 틀린 문제에 대한 개념은 기본서에 중요하다고 표시하거나 보충한다.

시험 2~3주전에는 그렇게 지겨울 정도로 다회독한 기본서에서 핵심만 발췌해 시험 전날까지 달달 외운다.




2. 시험별[편집]


시험별 기본서 기준으로 봐야할 페이지 수를 정리하면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으며, 선택과목과 적성고사(PSAT, 문해력 시험)는 수험자의 재능에 따라 베이스가 천차만별이다. 회독할 단순 개념양에 따른 기본서의 페이지 비교로, 회독할 양이 많다고 해서 어려운 시험이라고 볼 수 없다.(ex. 자연계 수능 vs 9급 공개경쟁채용시험)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11:28:30에 나무위키 다회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