팽이치기

덤프버전 :




1. 전통 놀이
2. 줄팽이 놀이(88팽이)
2.1. 게임 방식
2.1.1. 찍기의 종류
2.1.3. 찍기 방어
2.2. 근황
3. 동요
3.1. 박인영 작사/작곡의 동요
3.2. 윤이현 작사/이경숙 작곡의 동요
4. 관련 문서



1. 전통 놀이[편집]


파일:external/www.chosun.com/200401150120_01.jpg
빙판 위에서 팽이치기를 하는 사진.
문화콘텐츠 링크.

팽이를 돌려서 누구의 팽이가 더 오래 돌아가나를 겨루는 한국 전통놀이. 꼭 누군가와 경쟁할 필요는 없고 그냥 재밌어서 하거나 기록용으로 혼자서 하는 경우도 있다.

팽이와 끈 달린 막대기를 사용하는 놀이로, 막대기에 달린 끈으로 돌아가는 팽이에 계속 스핀을 먹여줘야 한다. 단, 끈의 길이가 짦으면 치기가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끈의 길이는 긴 편이 좋다.

못하는 사람은 평생을 가도 팽이를 못 돌린다. 이는 굴렁쇠나 연날리기, 제기차기 같은 다른 놀이들도 마찬가지이다.


2. 줄팽이 놀이(88팽이)[편집]


파일:external/scontent-ams3-1.cdninstagram.com/11359002_1448811472090581_32294451_n.jpg

1980, 90년대 초등학생 사이에서 유행하던 팽이 놀이다. 2008년경 경기도 일부 지역의 초딩들 사이에서 크게 유행하기도 했다. 역삼각형 모양의 팽이 끝엔 뾰족한 철심이 박혀 있다. 신발끈 같이 생긴 팽이끈으로 팽이 몸체를 둘둘 감아서 던질 때 끈이 풀어지면서 회전력을 얻는다.

재질을 구분하자면 몸통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팽이, 금속으로 이루어진 팽이, 플라스틱 몸통을 금속링으로 둘러싸는 팽이 등이 있다. 다른 분류로는 팽이 바깥쪽만 둘러싸는 팽이가 있고, 윗부분도 둘러싸는 팽이가 있다. 윗부분도 둘러싸는 팽이를 '깡통 팽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드물지만 몸통전체가 검정고무로된 고무팽이도 있었다.

  • 회전 시간은 금속링>금속>고무>플라스틱
  • 공격력은 금속>고무>금속링>플라스틱
  • 조작 난이도와 안전함은 플라스틱>금속링>고무>금속

이 네가지의 기묘한 밸런스로 인해 네 종류 팽이 모두 수요가 있었다. 물론 굳이 따지자면 팽이는 원심력을 강화하기 위해 고질량의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성능이 좋고, 또 금속이 멋있어 보이는 이상 금속이 조금이라도 포함된 팽이가 선호된다.

팽이끈을 이용해서 날려서 상대방 팽이를 날려버리고 끈을 튕겨서 점프를 하고 공격을 하고 적어도 1미터 크기의 장소가 필요하고 찍기를 할라면 적어도 3미터 크기의 장소가 필요하다. 어린아이들이 던진다지만 그 아이들이 팽이치기 할때 약하게 던지는 아이들이 얼마나 많았겠는가 밑에 항목에서 알수 있다시피 찍기 하다가 팽이를 부셔먹는 일은 그저 다반사이다. 과거 팽이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졌다지만 부셔먹는게 아이들한테 쉬운 일이 아니라는 걸 안다면 이해가 잘 된다.

이런 종류의 놀이듯이 언제나 그렇듯 강하게 던지겠다고 하다가 실수로 사람을 향해서 던지는 사고도 종종 일어났다.


2.1. 게임 방식[편집]


일반적으로 상대방 팽이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만들면 이긴다. 줄로 컨트롤 해서 상대방 팽이를 들이받아 넘어 트리거나 찍기 기술을 사용한다.

찍기 기술로는 상대방 팽이의 꼭지나 심지를 박살내면 승리. 부서진 팽이는 이긴 사람의 전리품이 된다. 찍기 기술을 연습하여 찍기 위주로 팽이 대결을 하는 곳도 있어 때문에 지역에 따라 전투 팽이라고도 한다.

바닥에 맞닿아 돌아가는 뾰족한 금속 부분이 너무 뾰족하면 쉽게 기울기 때문에 팽이를 사면 먼저 뾰족한 금속 부분을 조금 뭉툭해 지도록 보도블럭 등에 갈아내는 경우가 많았다. 균일하게 갈아내며 너무 많이 갈아내지 않는 게 중요하다.

마지막에 팽이가 두개 정도 남거나 할 때 지구전으로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먼저 쓰러지면 지는 방식. 이 때 팽이를 더 오래 가게 하겠다고 깔창, 슬리퍼 등으로 전통 팽이치기 하듯 돌리기도 한다. 단점은 너무 세게 치면 팽이가 날아가 쓰러져버린다는 것.

당연히 팽이가 잘 돌아갈 곳은 되도록 매끄러운 바닥이기 때문에 아스팔트 바닥이나 보도블럭보다 시멘트, 대리석 바닥이 주로 애용된다. 소위 도끼다시라고 불리는 바닥이 흔하면서 질도 좋아 인기가 있었고 역시 최상은 매끄러운 대리석 바닥. 팽이 놀이의 주요 무대도 대부분 아파트 입구나 다세대주택 입구의 대리석 바닥이다. 무거운 팽이가 대리석 바닥에 떨어질 때 나는 묵직한 소리 때문에 바닥 깨진다고 학을 떼는 어른들도 있었다. 특히 1층 주민 분들께는 큰 민폐다. 아이들은 노느라고 정신 없어서 모르지만 쿵 또그르르르르 하는 소리는 흡사 골프공을 던져서 굴리는 소리가 난다. 거기다가 이 소리는 건물을 타고 전달되기 때문에 조용한 집에서 더욱 신경 거슬리는 소리가 된다. 가능하면 다른 곳을 찾도록 하자.


2.1.1. 찍기의 종류[편집]


정의된 명칭이 없어 풀어서 기재한다.

도구를 사용하는 방식 (줄 또는 손)
  • 손바닥에 올려놓고 팽이를 떨궈서 찍기. 이미 돌고있는 팽이를 손바닥에 올리는 방법으로는 줄을 교차시키거나(아래 참조), 줄로 올가미를 만들어 팽이 심에 둘러 위로 당겨서 올려던지는 방법이 있다. (떨굴 때 손으로 내리치면 이를 "배구찍기"라고 하기도 했다. 이때는 거의 동귀어진용 찍기.)
  • 줄로 튕겨서 팽이를 점프 시켜서 찍기 (고난이도). 잘하는 아이들은 2~3미터 앞의 팽이를 정확히 찍기도 했다.
  • 줄을 교차 시켜서(||자) 팽이 철심 부분으로 팽이를 들어 올린 다음 떨궈서 상대방 팽이 위로 낙하 (들어 올린 상태에서 손바닥으로 옮길 수 있음)

  • 던질 때 착지 지점을 상대방 팽이 위로 해서 찍기 (아래 참조)

던질 때 찍는 방식
  • 일자 찍기 : 팔 회전을 수직으로 하는 찍기. 제대로 찍히면 파괴력이 강력하다. 일명 도끼찍기라고도 불린다. 운동장같은 모래판에서 시전할 경우 빡 하는 소리와함께 불꽃이 튈 수 있으니 주의.
  • 대각선 찍기 : 팔을 대각선을 그리면서 던지는 방법. 힘조절에 실패하면 자신의 팽이의 심이 부셔진다. 일명 원반찍기 라고도 불리우며, 시전시 팽이의 회전력이 가장 강력한 기술. 잘못 시전하여 팽이가 제대로 돌아가지 않을경우에(일명 빠가) 불꽃의 튈 수 있으니 주의. 모래판에서 시전해야 안전하며 꼭지를 날릴 수 있는 파괴력 또한 지녔다. 시전시 윙~ 하는 소리가 일품인 기술.
  • 역 대각선 찍기 : 팔을 대각선을 그리는 것은 위에 대각선 찍기와 동일하나, 오른손잡이의 경우 팔을 왼쪽 위에서부터 시작하여 오른쪽 아래로 그으면서 찍는 기술, 일명 반달찍기라 불리운다. 대각선 찍기와 달리 줄을 감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팽이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특징. 찍기의 파괴력은 조금 떨어지나, 팽이의 회전 방향이 역방향이기 때문에 상대방이 당황하기 일수. 이것 또한 시전시 윙~ 하는 소리가 일품인 기술.
  • 공중에서 줄 풀어서 낙하 찍기 : 바로 땅으로 향하게 던지는게 아니라 공중에서 줄을 풀어서 수직으로 낙하하게 만드는 기술. 이때 팽이에 조금만 줄을 감아 난이도를 낮추는 방법도 있다.
  • 공중에서 줄 풀어서 손바닥에 올려놓은 후 떨궈서 찍기 : 위와 같이 공중에서 줄을 푸는 도중, 적절히 위로 당겨서 팽이를 좀더 위쪽으로 던져지게 하고, 이를 재빨리 손바닥으로 받은 다음 목표지점에 가져가 떨궈서 찍는다.
  • 맹구찍기: 감겨진 팽이를 공격하고자 하는 팽이 위에 쪼그려 앉아 50cm도 안되는 높이에서 내려친다. 물론 자신의 팽이가 그 후 돌아갈 가능성은 적으므로, 동귀어진용 기술이었다. 거의 무조건 자폭이라는 점에서 팀전에서는 사기기술이라, 찍기 후 공격자의 팽이가 돌아가지 않으면 패배한걸로 치기도 하였다. 다만, 고수는 맹구찍기를 하면서도 마지막 순간에 줄을 당겨 자신의 팽이가 잠깐이나마 살아있게 하는 방법을 쓰기도 하였다.

2.1.2. 필살기[편집]


놀던 방식에 따라서 저 마다 찍기를 시전할 때 필살기를 외치는 풍경도 볼 수 있었다. 지금 들으면 병맛 넘치는 네이밍 센스. 놀던 아이들이 90년대 국/초딩이었으며, 촌스러운 필살기 이름을 가졌던 탑블레이드마저 이 시대 이후에 유행을 탔다는 것을 감안하자.

주로 들어간 용어는 다크, 블랙, 파이어, 레드, 번개, 마하, 드래곤 등등 주로 색 관련이나 그 당시 유명한 만화의 필살기와 유사한 이름이 등장한다. 의외로 영어를 많이 썼다는 점은 시대를 앞서나간 요소라고 볼 수 있긴 하나, 다른 의미 관계를 크게 고려하지 않고서도 주로 연결성이 강한 단어끼리 짝지어 기술명을 만드는 경향이 강해서 그 당시에는 유치함, 현재 시점에서 보면 손발이 오그라드는 특성이 강화되었다.

예를 들면, 블랙홀 다크 썬더! 하고 던지는 것.


2.1.3. 찍기 방어[편집]


찍기에 팽이를 방어하기 위해서 팽이 윗부분에 양초의 촛농을 골고루 펴바르거나, 팽이 윗부분 면적과 비슷한 고무패드를 구해서 중앙에 구멍을 뚫어 끼우기도 한다. (사실 쇠팽이 쓰면 된다. 왜냐하면 쇠팽이가 스태미너는 적어도 공격력도 세고 여러모로 좋은 점이 많은 데다 웬만한 찍기는 가볍게 넘겨버리고 강한 찍기는 그래도 꽤 세서 약간 티리리리리링 하고 밀려날 정도밖에 안 되기 때문.)


2.2. 근황[편집]


2000년대까지 나름의 움직임이 있었다. 시골에서는 종종 돌리는 아이들도 있었고 도시에서도 종종 돌리는 아이들을 볼 수 있다. 실제로 최근에 아파트 현관에서 팽이 돌리기 때문에 주민들 출입이 불편하니 다른데 가서 할 수 있도록 아이들에게 알려주라고 공고문이 붙은 곳도 있었다.

2008년에 경기도 일부 지역 초딩들 사이에서 크게 유행한 적이 있었다. 얼마나 유행했냐면 쉬는시간과 점심시간마다 전교생이 팽이를 돌릴정도였다. 가끔 나이 20 전후의 동네 형들이 나와서 같이 돌리는 경우도 있었다. 그 형들이 가지고 나온 팽이는 그 당시에는 구하기 힘들던 흰색 금속림의 88팽이였기 때문에 초등학생들의 선망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3. 동요[편집]


미국 민요인 양키 두들번안동요.


채를 감아 던지면

꼿꼿하게 서서

뱅글뱅글 뱅글뱅글

잘도도는 팽이

팽이하고 나하고

한나절을 놀고

팽이따라 뱅글뱅글

나도돌며 놀고



3.1. 박인영 작사/작곡의 동요[편집]


팽이치기
노래
송기욱(당시 서울 상수국민학교)
발표일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1989년 10월 8일[A]
러닝타임
??:??
장르
동요
작사
박인영(당시 숙명여자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2학년)[1]
작곡

1989년 제1회 KBS 창작동요대회 최우수상 수상곡.[2]


3.2. 윤이현 작사/이경숙 작곡의 동요[편집]


팽이치기
노래
최효연(당시 서울 중평국민학교 6학년)
발표일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1991년 10월 12일[A]
러닝타임
??:??
장르
동요
작사
윤이현
작곡
이경숙(당시 서울 중평국민학교 교사)

1991년 제3회 KBS 창작동요대회 최우수상 수상곡.

놀랍게도 제1회 수상곡과 동명이곡이다!


4. 관련 문서[편집]


  • 베이블레이드 시리즈- 일본의 놀이인 베이고마에서 따왔다 한국의 팽이놀이와는 다른 조그마한 납팽이이다.

[A] A B 녹화일은 10월 5일[1] 이후 음악감독이 되었다. 오늘날 영화음악 연출을 맡으며, 서울시립교향악단 애국가 편곡으로 잘 알려져 있다.[2] 우수상은 기차를 타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16:23:04에 나무위키 팽이치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