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예술영화촬영소

덤프버전 :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 펼치기 · 접기 ]
국가기관·협회·동맹
국가기관
국가체육지도위원회 · 문화성 · 체육성
위원회·협회
조선올림픽위원회 · 조선축구협회 · 조선태권도위원회
직업동맹
조선문학예술총동맹
조선작가동맹 · 조선미술가동맹 · 조선음악가동맹 · 조선영화인동맹 · 조선연극인동맹 · 조선무용가동맹 · 조선사진가동맹 · 조선작곡가동맹
기타
조선미술작품보급사 · 광명음악사 · 대외전람총국
주요 예술체육단체
종합
국립민족예술단 · 만수대예술단 · 평양학생소년예술단
가극·교예
평양교예단 · 피바다가극단 · 금강산가극단
만화
조선4.26만화영화촬영소
미술
만수대창작사 · 중앙미술창작사
영화
조선영화문학창작사 · 조선예술영화촬영소 · 조선인민군4·25예술영화촬영소
음악
조선국립교향악단 · 만수대예술단 (공훈여성기악중주조) · 모란봉악단 · 보천보전자악단 · 사회안전성협주단 · 삼지연관현악단 · 왕재산경음악단 · 윤이상관현악단 · 은하수관현악단 · 조선인민군공훈국가합창단 · 조선인민군군악단 · 조선인민군협주단 · 청년협주단 · 청봉악단 · 평양음악무용대학 관현악단
체육
2.8체육단 · 4.25체육단 · 기관차체육단 · 압록강체육단 · 평양시체육단 · 월미도체육단 · 경공업성체육단
교육기관
전체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 평양연극영화대학 · 조선체육대학 · 조선미술대학 · 금성학원 · 만경대학생소년궁전 · 평양학생소년궁전 ·평양국제축구학교 · 평양미술학교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1. 개요
2. 역사
3. 상징
4. 제작 작품
4.1. 1940년대
4.2. 1950년대
4.3. 1960년대
4.4. 1970년대
4.5. 1980년대
4.6. 1990년대
4.7. 2000년대
4.8. 2010년대
4.9. 다부작 영화
5. 주요 연출가
6. 주요 소속배우
6.1. 인민배우
6.2. 공훈배우
6.3. 배우



1. 개요[편집]


북한의 영화 제작사.
사실상 4·25촬영소는 군대 관련 영화만 제작하기 때문에 대체로 모든 영화는 여기서 나오는, 북한 영화의 총본산이다.

2. 역사[편집]


1947년 '국립영화촬영소'라는 간판을 내걸고 창립되었다.
초기에는 기록영화 제작도 함께 했으나 1957년 조선기록영화촬영소가 분리되어 나가면서 극영화만 담당하게 되었다.
1949년 첫 극영화 '내 고향'을 제작한게 처음이다.

이후 조선예술영화촬영소로 개칭되었고 1955년 전쟁 이후 시설들이 복구되었으며 현재까지도 평양 형제산구역 중당동에 자리잡고 있다.

1957년에 크게 리모델링 했다.
1960년대부터 연간 10작품 이상 제작하기 시작했으며 1967년 백두산창작단이 설립된 이래 1993년 김정일이 창작단 제도를 폐지시킬때까지 창작단들과 많은 영화들을 제작했다.

1970년대 집체창작이 강조되면서 엔딩 크레딧이 사라졌으나 70년대 후반부터 생기기 시작했다.

1972년 김일성훈장, 국기훈장 1급, 1987년 김일성훈장을 한 차례 더 받았다.

신상옥의 납북 이후 신필림도 북한 영화계에서 어느정도 비중을 차지했으나 탈북 이후 이곳과 4·25촬영소만이 남게 되었다.

3. 상징[편집]


이곳의 특성 상 이곳의 상징이 곧 북한 영화의 특성이기도 하다.
영화가 시작하기 전에 천리마동상과 '조선영화' 자막이 뜨면서 영화가 시작되는것.[1]

4. 제작 작품[편집]



4.1. 1940년대[편집]


  • 내 고향(1949)

4.2. 1950년대[편집]



4.3. 1960년대[편집]


  • 나의 매대(1965)
  • 최학신의 일가(1966)
  • 피바다(1969, 백두산창작단)

4.4. 1970년대[편집]


  • 꽃피는 마을(1970)[C]
  • 로동가정(1971)[C]
  • 처녀리발사(1971)
  • 처녀지배인(1973)
  • 고압선(1975)
  • 처녀관리위원장(1976)
  • 대지에 뿌리내린다(1976)
  • 우리 선전원(1976)
  • 이세상 끝까지(1977)[2]
  • 시련의 해(1977)
  • 북은 내가 치겠소(1976)
  • 누리에 붙는 불(1977, 백두산창작단)[3]
  • 친위전사(1977, 백두산창작단)[4]
  • 유원지의 하루(1978)
  • 우리 옆집문제(1979)
  • 안녕하십니까(1979)

4.5. 1980년대[편집]


  • 조선의 별(1980~1987, 백두산창작단)[A]
  • 우리 아래집문제(1980)
  • 우리 웃집문제(1980)
  • 우리 처가집문제(1980)
  • 열네번째 겨울(1980)[5]
  • 우리 누이집문제(1981)
  • 우리 큰집문제(1981)
  • 우리 사돈집문제(1982)
  • 두 선장(1982)
  • 양지말 사람들(1982)
  • 미래를 꽃피운 사랑(1982, 백두산창작단)[B]
  • 압록강을 넘나들며(1982, 백두산창작단)[B]
  • 우리 작은집문제(1983)
  • 사랑의 노래(1983)[6]
  • 전환의 해(1983)
  • 시련을 뚫고(1983)[7]
  • 불타는 마음(1983)
  • 우리는 모두 한가정(1983, 대홍단창작단)
  • 푸른 소나무(1984, 보천보창작단)[8]
  • 꿈많은 처녀(1984, 왕재산창작단)
  • 공장의 주인들(1985, 삼지연창작단)
  • 장산리 녀성들(1985, 왕재산창작단)
  • 다시 시작된 우리집 문제(1986, 삼지연창작단)
  • 어머니의 마음(1986, 대홍단창작단)
  • 우리 인민반장(1986, 대홍단창작단)
  • 우리 대의원(1987, 왕재산창작단)
  • 시형과 제수(1987, 대홍단창작단)
  • 우리 삼촌집문제(1988, 삼지연창작단)
  • 내나라(1988)[A]
  • 나의 행복(1988, 대홍단창작단)[C][9]
  • 자신에게 물어보라(1988, 왕재산창작단)
  • 내가 본 나라(1988~2010)
  • 심장에 남는 사람(1989, 삼지연창작단, 리춘구 작)
  • 어제도 오늘도(1989, 왕재산창작단)
  • 잊을수 없는 추억(1989, 대홍단창작단)
  • 공청원들(1989, 왕재산창작단)

4.6. 1990년대[편집]


  • 노래속에 꽃피는 가정(1990, 삼지연창작단)
  • 첫 동지(1990, 보천보창작단)
  • 효녀(1991)[10]
  • 대동강에서 만난 사람들(1993)
  • 청춘이여!(1995)
  • 해운동의 두가정(1996)
  • 먼 후날의 나의 모습(1997)
  • 가족롱구선수단(1998)
  • 둘째딸(1998)

4.7. 2000년대[편집]


  • 푸른 견장(2000)
  • 푸른 주단우에서(2001)
  • 시대는 축복한다(2004)
  • 한 녀학생의 일기(2006)
  • 생명선(2009)

4.8. 2010년대[편집]


  • 설풍경(2010)
  • 인민이 너를 아는가(2011)

4.9. 다부작 영화[편집]


  • 이름없는 영웅들(1979~1981)
  • 언제나 한마음(1982~1985)
  • 내가 본 나라(1988~2010)
  • 민족과 운명(1992~2003)

5. 주요 연출가[편집]



6. 주요 소속배우[편집]


  • 데뷔는 작품이 아닌 촬영소 입단으로 서술

6.1. 인민배우[편집]



6.2. 공훈배우[편집]



6.3. 배우[편집]


  • 엄현희[11]
  • 안창순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6 00:19:37에 나무위키 조선예술영화촬영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4·25의 경우 세명의 남녀가 서있는 화면에서 조선영화 자막이 뜬다[C] A B C 인민상 계관작품[2] 태성할머니로 유명한 김화숙을 원형으로 한 영화[3] 김일성의 항일혁명 활동시기 우상화 영화, 4·25촬영소와 공동창작[4] 김정일의 모친 김정숙 우상화 영화[A] A B 김일성 영화[5] 백설희를 원형으로 한 영화[B] A B 김정숙 영화[6] 평양산원 선전영화[7] 최재하를 원형으로 한 영화[8] 김일성의 아버지 김형직을 우상화하는 영화[9] 전구강을 원형으로 한 영화[10] 정춘실을 원형으로 한 영화[11] 엄길선의 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