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자계의 운동역학

덤프버전 :

분류


고전역학
Classical Mechanics


[ 펼치기 · 접기 ]
기본 개념
텐서(스칼라 · 벡터) · 모멘트 · 위치 · 거리(변위 · 이동거리) · 시간 · 공간 · 질량(질량중심) · 속력(속도 · 가속도) · 운동(운동량) · · 합력 · 뉴턴의 운동법칙 · (일률) · 에너지(퍼텐셜 에너지 · 운동 에너지) · 보존력 · 운동량 보존의 법칙 · 에너지 보존 법칙 · 질량 보존 법칙 · 운동 방정식
동역학
비관성 좌표계(관성력) · 항력(수직항력 · 마찰력) · 등속직선운동 · 등가속도 운동 · 자유 낙하 · 포물선 운동 · 원운동(구심력 · 원심력 · 등속 원운동) · 전향력 · 운동학 · 질점의 운동역학 · 입자계의 운동역학 · 운동 방정식
정역학 강체 역학
정적 평형 · 강체 · 응력(/응용) · 충돌 · 충격량 · 각속도(각가속도) · 각운동량(각운동량 보존 법칙 · 떨어지는 고양이 문제) · 토크(비틀림) · 관성 모멘트 · 관성 텐서 · 우력 · 반력 · 탄성력(후크 법칙 · 탄성의 한계) · 구성방정식 · 장동 · 소성 · 고체역학
천체 역학
중심력 · 만유인력의 법칙 · 이체 문제(케플러의 법칙) · 기조력 · 삼체문제(라그랑주점) · 궤도역학 · 수정 뉴턴 역학 · 비리얼 정리
진동 파동
각진동수 · 진동수 · 주기 · 파장 · 파수 · 스넬의 법칙 · 전반사 · 하위헌스 원리 · 페르마의 원리 · 간섭 · 회절 · 조화 진동자 · 산란 · 진동학 · 파동방정식 · 막의 진동 · 정상파 · 결합된 진동 · 도플러 효과 · 음향학
해석 역학
일반화 좌표계(자유도) · 변분법{오일러 방정식(벨트라미 항등식)} · 라그랑주 역학(해밀턴의 원리 · 라그랑지언 · 액션) · 해밀턴 역학(해밀토니언 · 푸아송 괄호 · 정준 변환 · 해밀턴-야코비 방정식 · 위상 공간) · 뇌터 정리 · 르장드르 변환
응용 및 기타 문서
기계공학(기계공학 둘러보기) · 건축학(건축공학) · 토목공학 ·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탄도학(탄도 계수) · 자이로스코프 · 공명 · 운동 방정식


1. 개요
2. 내력
3. 선수 지식
3.2. 뉴턴 제3법칙
3.4. 보존력과 퍼텐셜 에너지의 관계
3.5. 합의 기호의 수법
4. 입자계의 물리량
4.1. 계의 선운동량
4.2. 계의 각운동량
4.3. 계의 에너지
4.3.1. 운동 에너지
4.3.2. 에너지 보존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dynamics of a system of particles

이 문서에서는 여러 개의 입자가 한 계를 이루고 있는 계의 역학에 대해서 논의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는 이어서 강체의 역학을 논의하는데 이어지게 된다.


2. 내력[편집]


입자가 한 개가 있을 때는 물체에 가해지는 외력만 중요시 여기면 된다. 그러나 계가 여러 개의 입자를 가질 때는 그 입자들 사이에 작용하는 내력('내부력'이라고도 한다.)의 존재가 부각되게 된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이러한 내력은 물체의 운동에 영향을 끼치지 않게 됨을 이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선수 지식[편집]



3.1. 중심력[편집]


중심력은 고정된 정점으로 부터 떨어진 거리에만 의존하는 힘을 의미한다.

자세한 내용은 중심력 문서를 참고하라.


3.2. 뉴턴 제3법칙[편집]


이러한 내력을 논의하는 데는 뉴턴의 운동 법칙 중 제3법칙을 토대로 논의하게 된다.

두 입자 [math(\rm A)]와 [math(\rm B)]가 있고, [math(\rm A)]가 [math(\rm B)]에 가하는 힘을 [math(\mathbf{f}_{\rm AB})]라 하자. 이때 [math(\rm B)]가 [math(\rm A)]에 가하는 힘은 [math(\mathbf{f}_{\rm BA})]로 쓸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뉴턴 제3법칙은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f}_{\rm BA}=-\mathbf{f}_{\rm AB} \end{aligned})]

을 의미한다. 즉,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크기가 같고, 서로 반대 방향이 된다.

중심력과 같은 힘은 여기에 좀 더 제한을 가할 수 있는데, 이러한 두 힘이 두 물체를 잇는 직선 상에 위치한다는 것이다.

파일:namu_입자계의 동역학_1.png

보통 입자의 내력은 중력이나 전기력 같은 중심력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논의를 이어갈 때 내력은 중심력만 작용한다고 가정할 것이다.


3.3. 질량중심[편집]


질량중심은 계의 질량중심은 모든 질량이 그 점에 모여 있고, 외력이 모두 그 점에 작용하는 것처럼 움직이는 특별한 점이다.

[math(i)]번째 입자의 위치 벡터를 [math(\mathbf{r}_{i})]라 할 때, 질량 중심 벡터 [math(\mathbf{R})]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M\mathbf{R}=\sum_{i} m_{i}\mathbf{r}_{i} \end{aligned})]

여기서 [math(M=\displaystyle\sum_{i}m_{i})]이다.

자세한 내용은 질량중심 문서를 참고하라.


3.4. 보존력과 퍼텐셜 에너지의 관계[편집]


보존력 [math(\mathbf{F})]는 그 퍼텐셜 에너지 [math(U)]와 다음의 관계를 갖는다.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F}=-\boldsymbol{\nabla}U \end{aligned})]



3.5. 합의 기호의 수법[편집]


다음과 같은 합을 고려해보자.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sum_{i=1}^{3}\sum_{j \neq i}^{3} f_{ij}&=f_{12}+f_{13}+f_{21}+f_{23}+f_{31}+f_{32}\\&=(f_{12}+f_{21})+(f_{13}+f_{31})+(f_{23}+f_{32}) \end{aligned})]

따라서 아래와 같이 쓸 수 있다.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sum_{i=1}^{3}\sum_{j \neq i}^{3} f_{ij}&=\sum_{i<j}^{3}(f_{ij}+f_{ji}) \end{aligned})]



4. 입자계의 물리량[편집]



4.1. 계의 선운동량[편집]


[math(i)]번째 질점의 선운동량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 p}_{i}= m_{i}\mathbf{\dot{r}}_{i} \end{aligned})]

따라서 계의 선운동량은 이것을 모두 합하면 된다.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 p}&= \sum_{i}m_{i}\mathbf{\dot{r}}_{i}\\&=\frac{{\rm d}}{{\rm d}t}\sum_{i}m_{i}\mathbf{r}_{i} \\ &= M \mathbf{\dot{R}}\end{aligned})]

이상에서 계의 선운동량은 질량 중심의 선운동량과 같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한 번 시간 미분을 거치면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dot p}&= M \mathbf{\ddot{R}}\end{aligned})]

이다. 한편, [math(i)]번째 질점에 뉴턴 제2법칙을 적용하면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dot p}_{i}= \mathbf{F}_{i}^{(e)}+\sum_{i\neq j}\mathbf{f}_{ji} \end{aligned})]

[math(\mathbf{F}_{i}^{(e)})]는 [math(i)]번째 질점에 작용하는 외력을 뜻한다. 따라서 입자계의 선운동량은 이것의 합일 것이다.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dot p}=\sum_{i} \biggl[\mathbf{F}_{i}^{(e)}+\sum_{j\neq i}\mathbf{f}_{ji} \biggr] \end{aligned})]

이것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dot p}=\sum_{i} \mathbf{F}_{i}^{(e)}+\sum_{i<j}(\mathbf{f}_{ji}+\mathbf{f}_{ij}) \end{aligned})]

따라서 뉴턴 제3법칙 [math(\mathbf{f}_{ji}=-\mathbf{f}_{ij})]를 적용하면 제2항은 사라진다. 이상에서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dot p}&=\sum_{i} \mathbf{F}_{i}^{(e)} \\&=\mathbf{F}^{(e)}\end{aligned})]

이다. 위 결과와 합치면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M\mathbf{\ddot{R}}&=\mathbf{F}^{(e)}\end{aligned})]

이것이 계의 운동 방정식이 된다.

위 논의는 계의 병진 운동은 질량중심의 운동을 살펴보는 것으로 대치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4.2. 계의 각운동량[편집]


계의 각운동량은 선운동량과 마찬가지로 [math(i)]번째 질점의 각운동량을 검토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L}_{i}&=\mathbf{r}_{i} \times \mathbf{p}_{i} \\ &=m_{i} \mathbf{r}_{i} \times \mathbf{\dot{r}}_{i} \end{aligned})]

이때, 질량 중심을 시점으로하는 [math(i)]번째 입자의 위치 벡터를 [math(\mathbf{r}_{i}')]라 하자. 즉, [math(\mathbf{r}_{i}=\mathbf{R}+\mathbf{r}_{i}')]인 것이다.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L}_{i} &=m_{i} (\mathbf{R}+\mathbf{r}_{i}') \times (\mathbf{\dot R}+\mathbf{\dot r}_{i}') \\ &=m_{i}[(\mathbf{R} \times \mathbf{\dot R} )+(\mathbf{ R} \times \mathbf{\dot r}_{i}' )+(\mathbf{ r}_{i}' \times \mathbf{\dot R} )+(\mathbf{r}_{i }' \times \mathbf{\dot r}_{i}') ] \end{aligned})]

이것을 합하면 계의 각운동량이 된다.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L}&=\sum_{i}\mathbf{L}_{i} \\ &=\sum_{i} m_{i}[(\mathbf{R} \times \mathbf{\dot R} )+(\mathbf{ R} \times \mathbf{\dot r}_{i}' )+(\mathbf{ r}_{i}' \times \mathbf{\dot R} )+(\mathbf{r}_{i }' \times \mathbf{\dot r}_{i}') ] \end{aligned})]

한편, 제2항과 제3항은 아래와 같이 영 벡터가 되는데,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sum_{i}m_{i}(\mathbf{ R} \times \mathbf{\dot r}_{i}' )&=\mathbf{ R} \times \sum_{i} m_{i}\mathbf{\dot r}_{i}' \\ &=\mathbf{ R} \times \frac{{\rm d}}{{\rm d}t}\sum_{i} m_{i}\mathbf{ r}_{i}'\\ &=\mathbf{ R} \times \mathbf{0} \\&=\mathbf{0} \\ \\ \sum_{i}m_{i}(\mathbf{ r}_{i}' \times \mathbf{ \dot R} )&= \sum_{i}m_{i}\mathbf{ r}_{i}' \times \mathbf{\dot{R}} \\ &=\mathbf{0} \times \mathbf{\dot{R}} \\&=\mathbf{0} \end{aligned})]

이것은 [math(\displaystyle\sum_{i}m_{i}\mathbf{ r}_{i}')]가 질량중심을 원점으로 하여 측정된 질량중심 벡터라고 해석할 수 있고, 그렇게 구한 값은 질량중심 자체가 원점으로 뒀기 때문에 영 벡터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L} &=\sum_{i}m_{i}[(\mathbf{R} \times \mathbf{\dot R} )+(\mathbf{r}_{i}' \times \mathbf{\dot r}_{i}') ] \\&=\mathbf{R}\times M\mathbf{\dot R}+\sum_{i}\mathbf{r}_{i}' \times m_{i}\mathbf{\dot r}_{i}' \\ &=\mathbf{R} \times \mathbf{p}+\sum_{i}\mathbf{r}_{i}'\times \mathbf{p}_{i}' \end{aligned})]

이것은 계의 각운동량은 원점에 대한 질량중심의 각운동량과 질량중심에 대한 각 입자의 각운동량의 합과 같음을 얻는다.

이제 각운동량의 시간 변화를 살펴보자. 윗 식에 의하면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dot{L}} &= \sum_{i}\mathbf{r}_{i} \times \mathbf{F}_{i} \\ &=\sum_{i}\biggl[ \mathbf{r}_{i} \times \biggl(\mathbf{F}_{i}^{(e)}+\sum_{j \neq i} \mathbf{f}_{ji} \biggr) \biggr] \end{aligned})]

제2항은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sum_{i}\sum_{j \neq i} \mathbf{r}_{i}\times \mathbf{f}_{ji}&=\sum_{i<j} (\mathbf{r}_{i} \times \mathbf{f}_{ji}+\mathbf{r}_{i} \times \mathbf{f}_{ij}) \\ &= \sum_{i<j} (\mathbf{r}_{i}-\mathbf{r}_{j}) \times \mathbf{f}_{ji} \end{aligned})]

여기서 뉴턴 제3법칙을 사용하였다. 그런데 우리는 내력으로 중심력을 다루고 있고, 이는 내력이 두 질점을 이은 선분 위에 있어야 함을 논의했다. 따라서 위 항은 영 벡터가 된다. 이상에서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dot{L}} &=\sum_{i}\mathbf{r}_{i} \times \mathbf{F}_{i}^{(e)} \\&=\sum_{i} \mathbf{N}^{(e)}_{i}\\ &=\mathbf{N}^{(e)} \end{aligned})]

계의 각운동량의 시간 변화는 외부 토크와 같다.


4.3. 계의 에너지[편집]



4.3.1. 운동 에너지[편집]


운동 에너지는 일-운동 에너지 정리로 유도할 수 있다.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W=\sum_{i}\int m_{i}\mathbf{\ddot{r}}_{i} \boldsymbol{\cdot} {\rm d}\mathbf{r}_{i} \end{aligned})]

이것을 변형하면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W&=\sum_{i}\int m_{i}\frac{{\rm d} \mathbf{\dot r}_{i}}{{\rm d}t} \boldsymbol{\cdot} \frac{{\rm d}\mathbf{r}_{i}}{{\rm d}t}\,{\rm d}t \\&=\sum_{i}\int m_{i}\frac{{\rm d} \mathbf{\dot r}_{i}}{{\rm d}t} \boldsymbol{\cdot} \mathbf{\dot{r}}_{i}\,{\rm d}t \\&=\sum_{i}\int {\rm d}\biggl[ \frac{1}{2}m_{i} (\mathbf{\dot r}_{i}\boldsymbol{\cdot}\mathbf{\dot r}_{i}) \biggr] \\&= \sum_{i}\int {\rm d}T_{i} \\&=\sum_{i}\Delta T_{i} \\&=\Delta T \end{aligned})]

즉, 계의 운동 에너지는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T=\frac{1}{2}\sum_{i}m_{i}(\mathbf{r}_{i}\boldsymbol{\cdot}\mathbf{r}_{i}) \end{aligned})]

으로 주어진다. 각운동량 분석시 도입했던 [math(\mathbf{r}_{i}')]를 도입하면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T&=\frac{1}{2}\sum_{i}m_{i}(\mathbf{\dot r}_{i}\boldsymbol{\cdot}\mathbf{\dot r}_{i}) \\&=\frac{1}{2}\sum_{i} m_{i}(\mathbf{\dot R}+\mathbf{\dot r}_{i}) \boldsymbol{\cdot}(\mathbf{\dot R}+\mathbf{\dot r}_{i}) \\&=\frac{1}{2}\sum_{i}m_{i} [ \dot{R}^{2}+2 \mathbf{\dot R}\boldsymbol{\cdot} \mathbf{\dot r}_{i}'+\dot{r}_{i}'^{2} ] \end{aligned})]

위에서 분석한 것 처럼 [math(\displaystyle\sum_{i} m_{i} \mathbf{r}'_{i}=\mathbf{0} )]이기 때문에 제2항은 0이 되고, 결국 운동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두 항으로 나타난다.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T=\frac{1}{2}MV^{2}+\frac{1}{2}\sum_{i}m_{i}v_{i}'^{2} \end{aligned})]

여기서 [math(\mathbf{V}=\mathbf{\dot{R}})]으로 질량 중심의 속도, [math(\mathbf{v}_{i}'=\mathbf{\dot{r}}'_{i})]로 질점의 질량 중심에 대한 상대 속도이다.


4.3.2. 에너지 보존[편집]


다시 계의 일을 검토해보자.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W= \sum_{i }\int \biggl(\mathbf{F}_{i}^{(e)}+\sum_{j \neq i }\mathbf{f}_{ji}\biggr)\boldsymbol{\cdot}{\rm d}\mathbf{r}_{i} \end{aligned})]

이때, 모든 힘이 보존력이라 가정하면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F}_{i}^{(e)}&=-\boldsymbol{\nabla}U_{i}^{(e)} \end{aligned})]

로 쓸 수 있다. 따라서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W &=-\sum_{i} \int \boldsymbol{\nabla}U_{i}^{(e)} \boldsymbol{\cdot} {\rm d}\mathbf{r}_{i}-\sum_{i}\sum_{j \neq i} \int \mathbf{f}_{ji} \boldsymbol{\cdot} {\rm d}\mathbf{r}_{i} \end{aligned})]

형식으로 쓸 수 있고, 제1항은 단순히 다음과 같이 써진다.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sum_{i} \int \boldsymbol{\nabla}U_{i}^{(e)} \boldsymbol{\cdot} {\rm d}\mathbf{r}_{i}&=-\sum_{i} \Delta U_{i}^{(e)} \\&=-\Delta U^{(e)} \end{aligned})]


한편, 제2항은 약간 변형하여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sum_{i}\sum_{j \neq i} \int \mathbf{f}_{ji} \boldsymbol{\cdot} {\rm d}\mathbf{r}_{i}&=\sum_{i<j}(\mathbf{f}_{ji}\boldsymbol{\cdot} {\rm d}\mathbf{r}_{i}+\mathbf{f}_{ij}\boldsymbol{\cdot} {\rm d}\mathbf{r}_{j}) \end{aligned})]

마찬가지로 뉴턴 제3법칙을 사용해서

[math( \displaystyle\begin{aligned} \sum_{i<j}(\mathbf{f}_{ji}\boldsymbol{\cdot} {\rm d}\mathbf{r}_{i}+\mathbf{f}_{ij}\boldsymbol{\cdot} {\rm d}\mathbf{r}_{j}) &=\sum_{i<j} \mathbf{f}_{ji}\boldsymbol{\cdot}{\rm d} \mathbf{r}_{ij} \end{aligned})]


한편, [math(U_{ji})]의 전미분을 검토해보자. [math(U_{ji})]는 [math(x_{i\alpha})]와 [math(x_{j\alpha})]에 모두 의존한다. 여기서 [math(x_{i \alpha})]는 [math(i)]번째 질점의 [math(\alpha)]번째 좌표이다.

[math( \displaystyle\begin{aligned} {\rm d}U_{ji} &=\sum_{\alpha} \biggl[ \frac{\partial U_{ji}}{\partial x_{i \alpha}}\,{\rm d}x_{i\alpha}+\frac{\partial U_{ji}}{\partial x_{j \alpha}}\,{\rm d}x_{j\alpha} \biggr] \\&=\boldsymbol{\nabla}_{i} U_{ji} \boldsymbol{\cdot}{\rm d}\mathbf{r}_{i}+\boldsymbol{\nabla}_{j} U_{ji} \boldsymbol{\cdot}{\rm d}\mathbf{r}_{j} \end{aligned})]

한편, [math(U_{ji}=U_{ij})]이므로 위 식을

[math( \displaystyle\begin{aligned} {\rm d}U_{ji} &=\boldsymbol{\nabla}_{i} U_{ji} \boldsymbol{\cdot}{\rm d}\mathbf{r}_{i}+\boldsymbol{\nabla}_{j} U_{ij} \boldsymbol{\cdot}{\rm d}\mathbf{r}_{j} \\&=\mathbf{f}_{ji} \boldsymbol{\cdot}{\rm d}\mathbf{r}_{i} + \mathbf{f}_{ij} \boldsymbol{\cdot}{\rm d}\mathbf{r}_{j} \\&=\mathbf{f}_{ji} \boldsymbol{\cdot} ({\rm d}\mathbf{r}_{i} -{\rm d}\mathbf{r}_{j} ) \\ &=\mathbf{f}_{ji} \boldsymbol{\cdot} {\rm d}\mathbf{r}_{ij} \end{aligned})]


이상에서

[math( \displaystyle\begin{aligned} \sum_{i}\sum_{j \neq i} \int \mathbf{f}_{ji} \boldsymbol{\cdot} {\rm d}\mathbf{r}_{i} &=\sum_{i<j} \int {\rm d} U_{ji} \\ &=\sum_{i<j } \Delta U_{ij} \end{aligned})]


따라서 한 일은

[math( \displaystyle\begin{aligned} W&=-\biggl[\sum_{i}\Delta U_{i}^{(e)}+\sum_{i<j} \Delta U_{ji} \biggr] \\&=-\Delta U \end{aligned})]

그런데, 윗 문단에서

[math( \displaystyle\begin{aligned} W=\Delta T \end{aligned})]

였으므로

[math( \displaystyle\begin{aligned} \Delta T=-\Delta U \quad \to \quad \Delta (T+U)=0 \end{aligned})]

즉, 보존계에서 에너지는 보존된다. 또, 계에 작용된 보존력이 한 일은 음의 퍼텐셜 에너지 변화량과 같다.


5.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9 20:39:24에 나무위키 입자계의 운동역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