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보에(장비)

덤프버전 :

분류

파일:Oboe_control_room.jpg
오보에의 모습

"오보에는 전쟁을 통틀어 사용된 가장 정확한 폭격 시스템이었다." - R. V. Jones

1. 요약
2. 개발 배경
3. 초기 제안
4. 개발과 실험
5. 운용 개시
6. 독일의 대응책


1. 요약[편집]


2차 대전에서 영국이 개발한 오보에(Oboe) 시스템은 영국 공군기가 낮이든 밤이든 상관없이 목표물을 정확히 폭격할 수 있도록 개발된 항법 및 폭격 조준 시스템이다. 무선 트랜스폰더 기술을 이용한 오보에 레이더 추적 / 유도 시스템은 항공기를 추적하기 위해 서로 분리된 레이더 스테이션 2개소를 이용했다. 각 오보에 추적 스테이션은 무선 통달 범위를 바탕으로 작전 반경을 지정했다. 원의 반지름은 스테이션에서 목표까지의 거리이며, 2개의 원이 표적을 향해 교차하며 교차점은 삼각측량에 필수적인 세 번째 지점이 된다. 각 스테이션의 레이더 펄스는 항공기에 장착된 트랜스폰더에 의해 수신된다. 항공기 트랜스폰더는 수신한 펄스 전파 신호를 약간의 지연 후 방송국으로 다시 전송했다. 신호가 되돌아가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면 레이더 스테이션과 항공기 사이의 거리를 특정할 수 있었다. 한쪽 추적 스테이션인 캣 스테이션(Cat Station)은 폭격기의 항로를 조정하기 위해 이용되었다. 또 다른 마우스 스테이션(Mouse Station)은 폭탄 투하 지점을 확인하는데 이용되었다. 오보에는 본질적으로 지상에서 관제되는 맹목 폭격 시스템이었다.

이 시스템은 1942년에 우스터셔(Worcestershire)의 맬번(Malvern)에 있는 정부 관할 기관인 원거리통신연구소(Telecommunications Research Establishment)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109개 비행대대와 긴밀히 연계하여 작전을 펼쳤다. 1942년 12월에 개발된 오보에 작전 체계의 첫 번째 대규모 작전 투입은 1943년 3월 에센(Essen)에 대한 공격에서 크룹 공장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었을 때였다. 그 달 동안 오보에 시스템은 독일 산업 중심지인 루르 지역에 대한 목표물 표시와 쾰른에 대한 공습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43년 11월까지 오보에는 250마일 범위 내의 목표물에 대해 성공적으로 이용되었다.

1943년 12월에 폭격기 사령부는 베를린 전투와 함께 전쟁에서 승리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되던 작전에 돌입했다. 하지만 베를린은 거리가 멀어 오보에의 관제 범위를 벗어나 있었던 탓에 그 임무는 종래의 직선 항법과 신형 지상 스캔 센서인 H2S에 의존해야 했다. 베를린에 대한 폭격기 사령부의 다음 4개월간의 노력은 성공적이지 못했다. 3월 말에 폭격기 사령부는 점령된 유럽의 재침략에 대비하기 위해 유럽연합 원정부대(Supreme Headquarters Allied Expeditionary Force / SHAEF) 휘하에서 복무하도록 지시되었다. 프랑스 북부에서 초계 임무에 나간 폭격기들은 오보에가 날씨나 목표물의 가시성과 상관없이 항로 중간 표식이나 높은 항법 정밀도의 가치를 다시 보여줄 수 있게 해주었다.

오보에 보다 나중에 이용된 H2S도 지(Gee-H)도 오보에 만큼의 정확한 항법 능력을 제공하지는 못했다. 개별 항공기의 유도 방향에 따라, 오보에는 폭격기 부대를 인도해주는 패스파인더와 특별히 중요한 목표물의 정밀 폭격에 모두 활용되었다. 그것은 연합군추축군을 통틀어 전쟁 중에 사용된 가장 정확한 폭격 시스템이었으며, 이것이 발전되어 LORAN 시스템을 구축했다.


2. 개발 배경[편집]


지면의 물체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하려면 2개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2개의 각도(VOR) 정보, 2개의 거리(DME) 정보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측정값을 제공하기 위해 관측수를 전진 배치시켜 무전기로 교신해 알려주는 것은 포병이 처음으로, 그 방법은 점차 발전되어나갔다. 전쟁을 준비하고 있던 루프트바페1937년에 공습 목표로 정확하게 비행하기 위해서 목표 상공의 지점에서 교차하는 2개의 좁은 전파 빔을 쏘는 로렌츠 빔과 X 장치(X-Gerät) 같은 통칭 크니케바인(Knickebein)이란 시스템으로 이 항법 체계를 개척했다. 이후 영국 공습 작전 동안 그것을 알아챈 영국이 빔의 중간에 다른 빔을 쏘아 엉뚱한 들판이나 바다에 폭탄을 떨어뜨리게 하자, 독일 공군은 이에 맞서 한 줄기의 로렌츠 빔과 트랜스폰더 기반의 거리 측정법을 결합하여 위치를 특정짓는 Y 장치(Y-Gerät)를 도입했다. 근본적으로 이런 항법이 안고 있는 문제는 폭격기를 좁은 전파 빔만 따라가며 날게 만든다는 것이며, 중간에 항로 변경이 필요한 항법에는 유용하지 않다는 것이다.

RAF는 더 유용한 항법 체계인 지 시스템(Gee system)을 도입했는데, 이것은 폭격기에 타고 있는 항법사가 그들의 위치를 알아낼 수 있게 해주는 2개의 시간 신호를 사용했다. 이는 영국에서 송신소가 볼 수 있는 범위 내 어디에서나 이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항공기의 고도에 따라 약 500 km 거리까지 높은 정확도의 항로 정보를 제공한다. 오실로스코프 디스플레이에서 지의 신호가 약 76mm 길이로 판독되어 타이밍 측정의 정확도가 제한되긴 했지만, 결과적으로 이 시스템은 항법이나 도시 정도 크기의 광역 폭격에는 매우 유용했으나 정밀 폭격에 필요한 정확성은 줄 수 없었다.

지 신호의 정확도는 표시기의 기계적인 크기에 기인한 것이 많기 때문에 더 큰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면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 그러나 초창기의 음극선관(CRT)이란 부품은 매우 비싼데다 길죽하고 무거워 소형 항공기에는 설치하기가 무리였으며 4발 중폭격기에나 설치할 수 있었다.


3. 초기 제안[편집]


디스플레이 배치를 반대로 하여 디스플레이가 지상에 있고 항공기에는 송신기를 싣는 개념은 명확했다. 그 개념안은 1940년에 스탠다드 전화&케이블(Standard Telephones and Cables Ltd) 사의 기술자 알렉 리브스(Alec Harley Reeves : 1902~1971)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고 1941년 봄에 물리학자 프랜시스 존스(Francis Edgar Jones : 1914~1988)의 도움을 받아 발표되었다.

기본 개념은 2개의 지상국은 유사하지만 서로 다른 주파수로 정기적으로 신호를 보내는 것이었다. 폭격기는 2종류의 신호마다 하나씩 트랜스폰더를 탑재하여 수신 즉시 받은 신호를 재방송했다. 방송으로부터 수신까지의 총 왕복 시간을 재서 빛의 2배 속도로 나누면 항공기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었다. 이는 기본적으로 레이더와 동일하지만 트랜스폰더가 항로에 필요한 신호를 크게 증폭하여 강력하고 선명한 신호 펄스를 제공하여 정확성을 높였다.

실제 문제는 폭격기를 목표물로 유도하기 위해 이러한 거리 측정을 사용하는 것이었다. 독일의 Y 게라트의 경우, 폭격기가 비행할 수 있는 자연 경로를 만드는 단일 빔이 사용되었다. 이 경로의 거리만 측정하여 폭격기 승무원에게 전달하면 되었다. 두 가지 범위 측정을 사용하는 시스템의 경우에는 항공기가 따라갈 수 있는 고유한 경로가 없었다. 위치와 방향은 2개의 범위 측정치를 플로팅 룸(plotting room : 관제소)으로 전화하여 측정된 거리에 있는 관측소에서 호를 그리고 교차점를 찾아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폭격기가 시속 400 km 이상의 속도로 날으는 동안 계산하는 과정에서도 시간이 흐르기 때문에 원하는 정확도를 제공하기에는 너무 느렸다.

오보에는 이 문제에 대한 간단한 해결책을 찾아냈다. 임무 전에, 두 관측소 중 하나에서 측정된 목표물을 통과한 반경의 원의 호를 나타내는 경로가 정의되었다. 이 스테이션에는 "고양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그 후 항공기는 기존의 항법 기술, 데드 어카운팅(dead accounting) 또는 지 시스템을 사용하여 목표물의 북쪽 또는 남쪽의 어느 정도 거리를 이 선 근처의 지점에 배치할 것이다. 그런 다음 그들은 목표물을 향해 비행하기 시작했고, 그 지점에서 캣 스테이션의 오퍼레이터는 비행기가 원 위에서 정확한 범위로 비행할 때까지 기지에 더 가까이 또는 더 멀리 비행하도록 수정을 요청했다.

캣 스테이션은 목표물을 향해 비행할 때 항공기가 이 정확한 거리에 계속 위치하도록 하여 항공기가 미리 정의된 호를 따라 비행하게 했다. 코드명 쥐(Mouse)인 두 번째 관측소도 임무 전 목표물까지의 거리를 계산했다. 폭격기가 미리 정해진 사거리에 접근하면 그들은 먼저 "경고"를 외쳐 폭격 조준기에게 실행을 지시한 후 적절한 시기에 두 번째 신호를 보내면 그곳이 바로 목표 상공이었다. 폭격수는 조준경을 통한 육안 조준을 참고하지만, 시야가 나쁘거나 상황이 허락하지 않으면 신호음이 울리는 즉시 폭탄을 떨궜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두 관측소가 측정값을 비교하거나 공간의 실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삼각측량을 할 필요가 없으며, 두 관측소 모두 화면에서 직접 간단한 범위 측정을 수행하고 별도의 보정을 항공기에 전송했다.

실제로는 도청과 보안 문제가 있기 때문에 항공기에 음성으로 정보를 전달하지는 않았다. 대신, 톤 발신기는 오퍼레이터의 제어 하에 모르스 부호 도트와 대시를 생성했다. 이것은 로렌츠 같은 전파 관제 시스템과 비슷했는데, 영국 공군 승무원들은 전쟁 전에 이미 계기착륙 보조 장치로 사용했었다. 항공기가 스테이션에 너무 가까우면 오퍼레이터는 점 신호를 재생하고 너무 멀면 대시 신호를 재생했다. 정확한 범위에 가까워질수록 점들이 대시 사이의 틈새를 메우고 안정된 톤을 형성하도록 두 가지를 혼합할 수 있다.

신호는 정기적으로 올바른 범위로부터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문자를 보내도록 입력되며, X는 20마일(32km), Y는 10마일(16km), Z는 8.0km(5마일)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마우스 스테이션은 접근 중임을 나타내는 일련의 키 신호, 접근 중임을 나타내는 S, 그리고 항공기가 접근함에 따라 A, B, C 및 D 신호를 전송했다.


4. 개발과 실험[편집]


그러나 이 접근법에는 몇 가지 분명한 문제가 있었다. 가장 확실시되는 것은 어떤 지상국이든 한 번에 1대의 항공기만 추적할 수 있다는 것인데, 어떤 폭격기라도 영국에서 오는 신호를 포착하여 항법사가 필요한 계산을 할 수 있는 지 시스템과 비교된다. 독일 공군이 Y-게라트를 고집한 이유이기도 했다. 따라서 통제 하에 있는 폭격기 1대를 비행하고 후속 폭격기가 추적할 수 있도록 신호탄을 투하함으로써 목표를 표시하도록 했다. 영국도 같은 해결책을 채택했다. 더 걱정스러운 것은 지상국이 목표물을 향해 비행하는 동안 폭격기가 완만하게 굽은 경로를 따라 수평 비행을 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 기간 동안 폭격기는 적기의 요격에 노출될 수 있었고, 일부 승무원들은 그런 단조로운 비행은 자살 행위로 여겼다. 마지막으로, 영국은 독일의 Y-게라트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기 전부터 그 신호를 방해하는데 전혀 어려움이 없었다. 독일 측이 신호를 감지하자마자 오보에에게 같은 짓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할 이유가 있는가?

"안돼! 우리는 이런 무모한 아이디어와 허튼 소리에 낭비할 돈이 없어. 이 모든 생각은 터무니없고, 전혀 효과가 없을 거요!" - 아서 해리스

오보에는 그래서 운용을 시작하기도 전에 많은 폭격기 지휘관과 승무원들의 반대에 부딛혔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술 책임자인 앨버트 로(Albert Percival Rowe : 1898~1976)는 개발을 시작할 것을 명령했다. 개발은 대부분의 초기 영국 레이더 시스템이 공유하는 1.5m 파장뿐만 아니라 캐비티 마그네트론이 제공하는 새로운 10cm 초단파 영역에서도 시작되었다. 후자는 더 높은 정확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독일군이 고출력 초단파 장치를 개발하지 않는 한 대부분의 전파 교란에도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다. 다행히도 전자전 분야에서 독일이 뒤졌던 덕분에 이런 염려는 전쟁의 거의 마지막에만 일어났다.

가능한 동쪽에 가까운 도버(Dover)와 크로머(Cromer) 기지에 2개의 스테이션이 설치되었다. 어떤 임무에서든, 오보에 송신국 중 하나는 고양이, 다른 하나는 마우스가 될 것이다. 1941년 9월 초기 테스트에서 도버에서 130 km 떨어진 신호를 따라 비행하는 항공기는 50 m라는 기막힌 정확도를 보여주었는데, 이는 당시 사용되고 있던 그 어떤 항법 장비보다 월등한 것이었다. 그러나 폭탄 자체는 바람이나 여러 조건 때문에 투하 궤적이 약간씩 다르기 때문에 폭격 명중율은 그다지 좋지 않았다. 1942년 7월 2일에는 오보에 시스템이 정부 고위급 관리들을 위한 시범을 보였다. 이 시스템은 그 시범에서 65미터라는 경악할 만한 폭격 정확도를 보여줘 좌중을 놀라게 했다. 대조적으로, 당시 미국이 천문학적인 개발비를 들여 만들어낸 노든 폭격조준기 같은 최첨단 장비를 이용하더라도, 1942년에 실제 공습에서 보여준 평균 폭격 명중률 오차는 1,400m였다.

오보에는 1941년 12월에 프랑스의 항구 브레스트를 공습하는 쇼트 스털링 중폭격기에 의해 실험 투입되었다. 물론 스털링은 당시 RAF가 보유한 가장 큰 폭격기였지만 일선에서는 이미 구식화되어가고 있어 피해를 입어도 손해가 적다는 판단에서 단거리 공습 작전에만 국한해 시험된 것이다. 당시 폭격기 사령부에서는 항로의 선두에 길잡이를 해주는 선도기 - 패스파인더(pathfinder) - 와 같은 항법 지원기나 공격 목표를 표시해주는 조명탄을 터뜨리는 전술에 관해서 승무원들간에도 큰 논쟁이 있었다. 이런 전술은 독일 공군에서도 실험부대인 제100폭격항공단(Kampfgeschwader 100)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지만, 영국의 방해와 교란으로 그 효과는 심각하게 떨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개념은 모스키토(De Havilland Mosquito) 같은 소형 폭격기가 광학 조준경을 사용하여 선도기로 이용하는 전술에 힌트를 주었다는 충분한 역사적 뒷받침이 있다. 이 전술은 실전에서는 방해하는 요소가 많아 폭격 정확도가 약간 향상되었을 뿐이었다.

그러나 전투기보다 빨랐던 폭격기 모스키토는 독일 상공에서 오보에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고도를 빠르게 비행할 수 있는 유일한 항공기이기도 했다. 1942년 여름 회의에서 패스파인더 임무에 나서는 모스키토 폭격기에 오보에를 장착하기로 합의했다. 이전에 반대에 부딪혔던 오보에 설치 문제는 모스키토가 보여준 높은 생존율로 인해 전문가들의 반론을 뒤엎었고, 이제 믿음직한 길잡이를 서달라는 반론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나는 항상 같은 콜사인 프레디 오렌지(Freddie Orange)로 불렸습니다. 내가 어떤 기체를 몰든 같은 콜사인으로 불리게 되죠. 당신이 북해를 건너고 있을 때면, 퍼벡 섬에 있는 오보에 관제소가 밤 하늘에 쏜 보이지 않는 빔을 따라 거대한 호를 그리며 이동하게 될 겁니다. 그리고 당신은 계기상의 경과 포인트 A, B, C, D를 통과해야만 합니다. 그것은 눈으로는 보이지 않아도 확실히 발 밑에 그려진 항로지만 그 폭은 내가 탄 모스키토 IX의 날개폭 54피트보다 더 좁은 36피트밖에 안됩니다! 우리는 종종 맑은 공기 난류를 동반한 제트기류로 불리는 바람을 타곤 했지만 까딱 실수하면 기류 밖으로 밀려날 수 있고 다시 올라타려면 성난 난류와 씨름해야만 할겁니다! 오보에 빔을 조금 지나갔다가 다시 천천히 들어가면서 항상 약간 구부러진 길을 따라 날고 있다는 것을 잊지 않아야만 하죠. 이 정확한 조종을 위해서는 코스에서 벗어나지 않기 위해 온 신경을 집중해서 좁은 빔의 중간 지점에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대기속도도 정확히 유지해야만 하지요. 고도는 피트 단위 이상 틀리면 안됩니다. 현용기는 자동조종으로도 문제없습니다만, 우리가 타던 나무로 만든 모스키토의 원시적인 비행 설비로 그렇게 날으는건 다른 이야기죠. 한번 실수라도 하게 되면, 아시다시피 항공기를 제 위치에 다시 갖다대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때로는 15분 정도 걸린 적도 있었는데 그 시간은 15년 정도로 여겨지더군요! 자, 많은 장소와 상황들이 여러분을 항로에서 벗어나거나 지연시키려고 할 겁니다. 적들은 우리가 왔다는 것을 알지만, 어떻게 그렇게 했는지는 알 수 없었지요. 그들은 우리가 일정한 패턴으로 약간 구부러진 코스를 비행해야만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말하자면 어두운 밤 하늘 속 어딘가 적기가 갑자기 불쑥 나타날 수 있는 공역을 아무런 회피 기동이나 고도 변화, 징킹 같은 방어 기동을 취하지 못한 채 장시간 동안 매우 정확하게 비행할 필요가 있는거죠. 그러는 와중에도 야간전투기가 날아들거나 당신 주변에서 끊임없이 대공포탄이 터질 겁니다. 특히 도르트문트 미션에서는 신호탄을 쓸 때까지 대공포 탄막에 대한 회피기동조차 할 수 없었죠. 내가 마커를 떨어뜨리자, 날 따라오던 폭격기들이 일제히 폭탄창을 열어제치더군요. 순간 하늘이 완전히 굳어 있는 것처럼 보였죠. 만약 그들의 폭탄 투하가 몇 초만 늦었다면, 당신이 마커를 떨어뜨린 순간 폭격기들은 당신 옆을 지나쳐 버리거나 멀어질 테고, 그럼 당신은 별별 짓을 다해서 다시 그 양떼들을 몰아 돌아오기 위해 무슨 짓이든 해야 될 겁니다. 몇 번 선도기 임무를 나가자, 이런 패턴이 굳어져버렸기 때문에 나는 조만간 독일군이 나를 잡을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 모스키토 제105비행대대장 톰 제퍼슨(Tom G. Jefferson)



5. 운용 개시[편집]


오보에를 이용한 첫 번째 임무는 1942년 12월 20일과 21일 밤 오보에를 장착한 모스키토 6대가 독일-네덜란드 국경의 루테라데(Lutterade) 발전소를 폭격할 때 시작되었다. 편대 중에서 3대는 실패했지만 나머지 3대는 L. E. 버프턴(L.E. Bufton) 비행대장이 직접 이끌어 보기좋게 폭탄을 명중시켰다. 다음 날 후속 정찰기가 찍어온 항공사진을 통해 9개의 화구가 뚜렷하게 확인되었으며, 탄착점을 이루고 있었지만 목표물로부터 약 2 km 떨어진 곳에 있었다. 소수의 오보에 탑재기를 대상으로 한 유사한 테스트가 12월과 1월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때로는 그 뒤를 따르는 애브로 랭커스터 폭격기에 대한 조명탄을 투하하기도 했다.

처음에 독일군은 이러한 소규모 공격을 지상 근무자들을 방공호로 대피하게 해서 생산성을 저해시키는 성가신 방해 공작 정도로 치부했다. 하지만 곧 뭔가 이상한 일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 적기들은 종종 두껍게 깔린 구름을 뚫고 6~10발의 폭탄을 투하했고, 80-90%가 중요 시설인 용광로나 발전소를 타격했다. 이 과정의 일부로 폭격기들은 조명탄을 방출하여 지상의 사진을 찍을 수 있을 만큼 밝게 비추기도 했다. 1943년 1월 7일, 육군의 포병장교 알렉산더 달(Alexander Dahl) 대위는 이러한 점을 지적하고 저들이 새로운 폭격 시스템의 측정 오차를 수정하기 위해 사진을 찍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것은 정확한 분석이었다. 영국 상공에서는 오보에가 수십 미터 정도의 정확도를 보였지만, 초기 운용시에 유럽 상공에서는 항상 더 나빴다. 그러나 곧 이런 오차에는 일정 패턴이 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이것은 대륙에서 사용되는 측량망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은 독일인들에 의해 알려지게 되는데, 그들은 전쟁 전에 영국 육지 측량국(UK Ordnance Survey)에서 입수한 측량 자료와 자신들의 항법 시스템 사이의 오차를 교정하기 위해 노력했었다. 독일인들은 그런 수정을 통해 부정확한 부분을 거의 즉시 해결할 수 있었다.

늦은 봄까지 폭격기 사령부 요원들은 작전을 시작할 수 있을 만큼 폭격 기술을 연습했다. 그 후 아서 해리스 사령관은 루르 전투로 알려진 기습 폭격의 막을 올렸고, 3월 5일 에센 공습으로 시작되었다. 이 임무에는 선도기의 적절한 항법과 표시에도 불구하고 그리 좋지 않은 결과를 낳았다. 3월 12일과 13일 에센에 있는 크룹 공장에 대한 다음 대규모 공습은 더 성공적이었고, 뒤이어 매우 높은 명중률을 얻은 혼성 부대에 의한 공습이 뒤따랐다. 그러나 5월까지 이 기술은 꾸준히 조정되었고, 일반적으로 500에서 800대의 폭격기를 동원한 대규모 공습에서 점점 더 성공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들 중 하나는 5월 말 도르트문트에 대한 급습으로 회슈(Hoesch) 제철소의 철강 생산이 중단되었고, 7월 말 괴벨스까지 언급했던 크룹에 대한 공습은 공장의 생산 전면 중단을 야기했다. 분석 결과 목표물에 떨어진 폭탄의 수는 오보에 이전 임무보다 2배나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6. 독일의 대응책[편집]


오보에 전파신호는 독일군의 레이더 전탐병들에게 명확하게 식별될 수 있었다. 이 방식으로 날으는 적기는 목표물의 북쪽 또는 남쪽에서 출발하여 그들이 "부메랑"이라고 부르는 회랑으로 접근했다. 레이더 조작수들은 곧 그렇게 접근하는 적기에 빠르게 익숙해졌지만, 실제로 높은 고도를 빠르게 날으는 나무로 만든 모스키토 같은 경우는 그 위치를 특정짓고 항적을 파악하는 것은 극히 어렵다는 것이 곧 판명되었다.

1940년에 영국의 '핍스퀵(Pip-squeak)' 피아식별(IFF) 시스템을 탐지해낸 공을 세웠던 독일 기술자 H. 비드라(H. Widdra)가 이끄는 분석팀은 오보에 시스템의 작동 원리를 규명하는데만 1년 이상 걸렸다. 오보에를 방해하려는 첫 시도는 1943년 8월 말 에센의 보슈머 베레인(Bochumer Verein) 제철소를 공격하던 중 일어났다. 케트빅(Kettwig)의 마이바움(Maibaum) 추적 스테이션에 설치된 시스템은 1.5m 대역폭의 가짜 오보에 신호를 송출하여 영국 조종사들이 올바른 위치에 있는지 알아내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고자 했다. 이것은 영국군이 대공습 기간 동안 독일 폭격기들에게 사용했던 것과 같은 기술이었다.

그러나 오보에 시스템은 이미 10cm 대역폭의 초단파를 송수신하는 오보에 Mk. II(Oboe Mk. II)로 바뀌어 있어서 그런 교란책은 소용이 없었다. 사실 영국 공군은 일부러 오래된 신호를 계속 방송했다. 독일이 오보에를 막지 못한 것은 1944년 7월까지 미스터리로 남아 있었는데, 그 때 패스파인더가 다른 표적을 완벽하게 표시하는 동안 오래된 신호는 한 표적을 잘못 표시하는 실수가 있었다. 그제서야 독일인들은 다른 주파수 신호나 신형 시스템이 쓰인다는 사실을 눈치챘다. 독일군은 10cm 대역의 영국 초단파 시스템의 존재를 알고 있었지만, 1944년 4월에 영국 공군은 더욱 진보된 오보에 Mk. III(Oboe Mk. III)를 도입하여 독일의 방해 공작에 맞대응했다. Mk. III는 최대 4대의 항공기가 1개의 주파수(스테이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으며, 둥근 호뿐만 아니라 다른 스타일의 접근 항로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서 독일인들을 더욱 혼란에 빠뜨렸다.

이 시점에서 루르 지역은 이미 잿더미가 되어 공습은 오래전에 끝났고, 대부분의 영국 공군기의 폭격은 오보에가 닿지 않을 정도로 독일 심장부에 있는 목표물들에 집중되었다. 지상의 윤곽을 직접 그려낼 수 있는 H2S가 이 시대에 주된 역할을 담당했다. D-Day 상륙 이후에 영국은 유럽 대륙에 새로운 오보에 발신국을 설치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전쟁 후반, 오보에는 만나 작전(Operation Manna)의 일환으로 여전히 독일 점령 하에 갇혀 있는 네덜란드인들의 식량 투하를 돕기 위해 사용되었다. 네덜란드 레지스탕스들과 함께 투하 지점을 확보한 영국은 오보에를 이용하여 목표 지점으로부터 약 30m 이내에 건조식품과 통조림, 초콜릿이나 버터 같은 식료품이 든 캐니스터와 자루들을 투하했다.

"우리가 도착했을 때, 사람들은 이미 모여 깃발을 흔들며 표지판을 만들고, 그들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하고 있었다. 그건 기막힌 광경이었다. 시간이 흐르자 지상에 Thank you for coming boys 같은 메시지를 크게 그려놓는 이도 있었다. 4월 24일, 우리는 엘샴 월즈에서 전투 명령을 받았다. 우리는 브리핑에 참석했고 폭격기 해리스가 승무원들에게 너무 위험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작전이 취소되었다고 들었다. 1000피트 상공에서 네덜란드 국경을 넘어 시속 90노트로 500피트 상공까지 내려가는 것이 목표였다. 29일, 우리는 다시 명령을 받았다. 우리가 해안을 건널 때 대공포화가 우리를 따라다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우리는 1000피트까지 올라가야 했지만 대공포 때문에 옥상 높이까지 내려갔다. 네덜란드 시민들은 당연히 우리를 보았겠지만, 우리는 너무 낮게 날아서 보이지 않았다. 많은 사람들이 우리가 무기 없이 버텼다는 것에 놀랐다. 내 비행일지에는 '스팸 작전'이라고 쓴 그 출격에서 우리는 라이덴에도 갔지만, 팔켄버그에도 음식을 떨어뜨렸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09:34:53에 나무위키 오보에(장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