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사대

덤프버전 :





1. 개요
2. 연혁
3. 역사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어사대(御史臺)는 고려감찰 기구이다. 현대하원, 검찰감사원과 같은 기능을 수행했다. 기관장은 판어사대사(判御史臺事) 및 어사대부이다.

어사대의 관원을 대관(臺官)이라고 하며, 중서문하성의 낭사(郎舍), 곧 간관(諫官)과 아울러 대간#臺諫이라고 한다.


2. 연혁[편집]


고려에서 당나라, 송나라직제를 답습하면서 어사대를 설치했다. 이후 금오대, 감찰사로 바뀌었다가 여말선초 사헌부로 바뀌어 조선시대로 이어진다.


3. 역사[편집]


어사대(御史臺)는 원래 진나라에서 유래하여 명나라 대까지 존재하던 중국에서 감찰 기구를 가리키던 말이다.

시황제가 중국을 통일하면서 어사대부의 기관을 어사부(御史府)라고 불렀고 전한도 답습하였다.

그러나 한성제 때 본격적인 형태의 삼공 체제가 도입되며 어사대부가 사공#司空으로 바뀌면서[1] 사라졌다.

그러다가 양나라북위에서 어사부를 어사대로 바꾸어 불렀다.[2] 당나라 삼성육부제가 성립되면서 어사대는 3성 바깥의 특수 기관이 되었다.[3]

명나라 홍무제 시기 어사대를 도찰원(都察院)으로 확대 및 개칭되고 어사대라는 이름은 사라졌다. 홍무제의 공포정치의 일환으로 황제가 직속으로 감찰권을 장악하고자 하였고 전국에 감찰어사를 파견하여 지방을 감시하였다. 도찰원은 청나라 시기에도 이어진다. 도찰원의 장관은 정2품 좌,우도어사[4]로, 명나라 시기 육부상서와 같은 품계였다.

어사는 아니지만 청나라 중기 이전까지는 육과급사중이라는 관직이 따로 존재했다. 육부에 각각 해당하며 통정사를 통해 온 상소를 베껴 전달했으며 봉박권을 지녔다. 7품에 불과했으나 명나라 때는 어사와 함께 권한이 막강했다. 청 중기 이후에는 봉박권이 사라지고 도찰원으로 통합된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22:28:00에 나무위키 어사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사공은 주례(周禮)에서 삼공의 아래에 놓인 육경(六卿)의 하나로 토목과 산천을 관리하는 벼슬이다.[2] 후한에서 상서(尙書)의 격을 높이면서 세운 관청이 상서대(尙書臺)다. 그러니까 삼부를 이루던 기관이 특별관청 쯤으로 격하된 것.[3] 어사대를 구성하는 3어사 중 시어사는 상서성, 전중시어사는 전중성, 감찰어사는 지방 행정에 예속되어 모두 관할 기관이 달랐기 때문이다.[4] 청나라 때는 상서와 함께 종1품으로, 만한병용이 이뤄졌고 우도어사는 총독이 겸직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