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타마현 제4구

덤프버전 : (♥ 0)


기타칸토 지방 국회의원
이바라키현, 도치기현, 군마현, 사이타마현
[ 중의원 의원 ]

이바라키 1구이바라키 2구이바라키 3구이바라키 4구이바라키 5구
후쿠시마 노부유키누카가 후쿠시로하나시 야스히로가지야마 히로시아사노 사토시
이바라키 6구이바라키 7구도치기 1구도치기 2구도치기 3구
구니미쓰 아야노나가오카 게이코후나다 하지메후쿠다 아키오야나 가즈오
도치기 4구도치기 5구군마 1구군마 2구군마 3구
사토 쓰토무모테기 도시미쓰나카소네 야스타카이노 도시로사사가와 히로요시
군마 4구군마 5구사이타마 1구사이타마 2구사이타마 3구
후쿠다 다쓰오오부치 유코무라이 히데키신도 요시타카기카와다 히토시
사이타마 4구사이타마 5구사이타마 6구사이타마 7구사이타마 8구
호사카 야스시에다노 유키오오시마 아쓰시나카노 히데유키시바야마 마사히코
사이타마 9구사이타마 10구사이타마 11구사이타마 12구사이타마 13구
오쓰카 다쿠야마구치 스스무고이즈미 류지모리타 도시카즈쓰치야 시나코
사이타마 14구사이타마 15구사이타마 16구
미쓰바야시 히로미다나카 료세이공석1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오미 아사코후지오카 다카오노나카 아쓰시이시이 게이이치마키하라 히데키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나카무라 기시로사와다 료다도코로 요시노리고미야마 야스코시오카와 데쓰야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이시카와 아키마사고시미즈 게이이치이가라시 기요시사카모토 유노스케나카네 가즈유키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
다카하시 히데아키스즈키 요시히로아오야마 야마토후쿠시게 다카히로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2022년에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되어 신설된 지역구임.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사이타마현 제4구
埼玉県第4区
||
파일:shuinsen_Saitama4.svg
선거인 수388,488명 (2022)
상위 도도부현사이타마현
하위 행정구역아사카시, 시키시, 와코시, 니자시
이전 선거구[1](구) 사이타마현 제5구
국회의원

호사카 야스시




1. 개요[편집]


사이타마현아사카시, 시키시, 와코시, 니자시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 소속 호사카 야스시.


2. 상세[편집]


대체로 민주당이 경합 우세를 보이던 곳이었으나, 다른 많은 선거구처럼 46회 총선을 기점으로 자유민주당이 우세를 보이고 있다.

처음 선거에서는 보수 성향의 민주당 우에다 기요시[2] 후보가 당선되었고, 사이타마현 지사로 옮기면서 자신의 기반을 호세이 대학 후배인 진푸 히데오에게 넘겨주었다. 진푸 히데오는 이후 2번은 지역구에서 당선되었고 1번은 석패율 제도를 통해 당선되었지만, 이후 제46회, 47회 총선에서 연거푸 패배한 후 3선 의원으로 정계에서 은퇴했다.

2012년 제46회 총선에서는 도쿄대 법대를 졸업하고 후생노동성에서 근무한 도요타 마유코가 자민당 후보로 출마해 만 37세의 나이로 당선되었다. 도요타 의원은 참신하고 젊은 여성 인재로 주목을 받았으나, 재선에 성공 이후 자신의 50대 비서관에게 폭언, 폭행을 가한 사실이 육성 테이프로 드러나 자민당을 탈당했다. 결국 자민당을 탈당하고 이후 무소속으로 2017년 제48회 총선에 출마했으나 꼴찌(...)로 낙선했다. 결국 자민당 호사카 야스시 후보가 당선되었고 이후 2021년 제49회 총선에서 재선에 성공한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사이타마현 제4구
도다시, 아사카시, 시키시, 와코시, 니자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우에다 기요시72,420표1위


39.25%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하야카와 추코46,869표2위


25.4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아야베 스미코33,670표3위


18.25%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이시즈카 사토시28,401표4위


15.39%낙선
파일:덕주회.png하야카와 류스케3,140표5위

자유연합

1.70%낙선
유효표 수184,500표투표율
50.73%
유권자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사이타마현 제4구
도다시, 아사카시, 시키시, 와코시, 니자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우에다 기요시106,131표1위


49.30%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하야카와 추코70,062표2위


32.5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아야베 스미코39,069표3위


18.15%낙선
유효표 수215,262표투표율
56.09%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사이타마현 제4구
아사카시, 시키시, 와코시, 니자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진푸 히데오81,367표1위


48.00%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하야카와 추코69,625표2위


41.07%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아야베 스미코18,527표3위


10.93%낙선
유효표 수169,519표투표율
53.60%
선거인 수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사이타마현 제4구
아사카시, 시키시, 와코시, 니자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하야카와 추코103,366표1위


48.78%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진푸 히데오86,229표2위


40.69%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사쿠라이 하루코22,322표3위
10.53%낙선
유효표 수211,917표투표율
64.95%
선거인 수333,735인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사이타마현 제4구
아사카시, 시키시, 와코시, 니자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진푸 히데오121,137표1위
54.25%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하야카와 추코74,889표2위
[3]33.54%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사쿠라이 하루코23,966표3위
10.73%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미즈노 다케미쓰3,311표4위
1.48%낙선
유효표 수223,303표투표율
65.89%
선거인 수346,769인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사이타마현 제4구
아사카시, 시키시, 와코시, 니자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도요타 마유코71,061표1위
[4]35.94%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진푸 히데오53,366표2위
[5]26.99%낙선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아오야기 히토시46,303표3위
23.4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사쿠라이 하루코23,360표4위
11.82%낙선
오가사와라 히로키3,617표5위
1.83%낙선
유효표 수197,707표투표율
58.03%
선거인 수355,100인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사이타마현 제4구
아사카시, 시키시, 와코시, 니자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도요타 마유코88,730표1위
[6]48.11%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진푸 히데오62,062표2위
33.6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사쿠라이 하루코33,646표3위
18.24%낙선
유효표 수184,438표투표율
53.34%
선거인 수360,274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사이타마현 제4구
아사카시, 시키시, 와코시, 니자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호사카 야스시74,287표1위
[7]37.41%당선
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요시다 요시노리50,165표2위
25.2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아사카 히데요시29,125표3위
14.67%낙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아오야기 히토시23,362표4위
11.77%낙선
도요타 마유코21,614표5위
10.89%낙선
유효표 수198,553표투표율
54.15%
선거인 수376,437인

자민당 도요타 마유코 의원이 폭언, 폭행으로 인해 비난을 받자 자민당을 탈당해 무소속 후보로 출마했다. 하지만 야권도 분열되었고 구설수로 인해 무소속으로 출마한 도요타 후보가 꼴지로 내려앉았다. 그래서 자민당 호사카 야스시 후보가 낮은 득표율로도 손쉽게 당선되었다. 꼴지로 낙선한 도요타 후보는 인터뷰 내내 질질 짜며 불쌍한 모습을 연출했다.

한편 4위로 낙선한 일본 유신회 아오야기 히토시 후보는, 4년 뒤인 2021년에 치러진 제49회 총선때 유신회의 텃밭인 오사카부 제14구로 지역구를 옮겨 당선된다.

파일:Screenshot_20171022-225652.png
낙선 후 인터뷰하는 도요타 마유코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사이타마현 제4구
아사카시, 시키시, 와코시, 니자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호사카 야스시107,135표1위
[8]52.26%당선
파일:국민민주당 로고.svg아사노 가쓰히코47,863표2위
23.3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구도 가오루34,897표3위
17.02%낙선
엔도 노부히코11,733표4위
5.72%낙선
오가사와라 히로키3,358표5위
1.64%낙선
유효표 수204,986표투표율
54.49%
선거인 수386,796인

현역 자민당 호사카 야스시 의원이 재출마한다.

제1야당인 입헌민주당은 후보를 내지 않았고, 대신 국민민주당에서 아사노 카츠히코 전 사이타마현의회 의원을 공천했다. 공산당에서도 쿠도 카오루 전 니자시의회 의원을 공천했다.

일본 유신회 소속으로 출마하였던 아오야기 히토시 후보는 오사카부 제14구로 지역구를 옮겼으며, 유신회는 이 지역에 후보를 내지않았다.

엔도 노부히코 전 중의원의원과 오가사와라 히로키 후보도 무소속으로 출마, 총 5명의 후보가 등록했다.

투표 결과 자민당 호사카 야스시 후보가 압승했다. 이번에는 과반을 넘는 득표를 보여, 야권 후보의 난립 때문이 아닌 자력으로 이길 정도로 경쟁력이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대부분의 사이타마현 중의원 선거구와 달리, 4구는 관할 구역 조정이 전혀 없었다.

자민당에서는 호사카 야스시 의원의 3선 도전이 예상된다.

유신회에서는 총무성 관료 출신으로 오사카부 다카츠키시도치기현 나스시오바라시 부시장등을 역임한 와타나베 야스유키 지부장의 출마가 예상된다.

[1] 중선거구제 시행 당시의 선거구를 얘기한다.[2] 이후 사이타마현 지사를 역임했고, 2019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사이타마현 선거구 참의원으로 출마해 당선되었다. 민주당 출신이지만 보수 성향이고, 과거사 문제에 대한 망언도 몇 번 쏟아내었다.[3] 추천[4] 추천[5] 추천[6] 추천[7] 추천[8]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