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산 전투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생애 및 활동
배산 전투
가족
부왕 양원왕

태자 영양왕 · 왕자 영류왕 · 왕자 대양왕 · 왕녀 평강공주

사위 온달
관련 문서
장안 | 강서대묘



배산 전투
拜山戰鬪

시기
577년(?)
장소
배산[1]의 벌판
원인
사료 부족으로 인한 원인 불명[2]
교전국
파일:고구려 군기.svg 고려
(공격)


북주
(방어)


지휘관
파일:고구려 군기.svg 평원태왕
파일:고구려 군기.svg 온달
지휘관 불명
병력
병력 규모 불명
병력 규모 불명
피해
피해 규모 불명
피해 규모불명
결과
고구려의 대승
영향
온달의 정치적 입지 강화

1. 소개
2. 전투
3. 밝혀지지 않은 것들
4. 여담



1. 소개[편집]


고구려북주 간의 야전이다.

다만 기록이 무척이나 부실한데 《삼국사기》 본기엔 기록이 없으며, 《삼국사기》 <온달 열전>에만 짤막하게 언급된다. 그 외에 신채호가 쓴 《조선상고사》나 이맥이 썼다는 《태백일사》[3]에도 해당 내용이 나오긴 하지만 《조선상고사》는 《삼국사기》의 기록과 별반 다르지 않고, 《태백일사》의 경우엔 애초에 위서인 《환단고기》에 수록된 부분이므로 신뢰도가 없다.


2. 전투[편집]


정확한 시기는 불명이나 《동사강목》에는 평원왕 19년(577년)에 벌어진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북주에 의해 북제가 멸망한 577년 정월부터 무제가 사망한 578년 6월 사이에 일어난 전투로 추정하는 의견도 있다. 일단 《동사강목》과 《삼국사기》의 기록을 종합했을 때, 북주우문옹이 군대를 내어 요동을 침공했고, 이때 평원왕이 직접 군대를 이끌고 출정했다고 볼 수 있다. 병력의 수는 불명이다.

이때 북주의 무제(武帝)가 군사를 내어 요동(遼東)에 쳐들어오자, 왕은 군대를 거느리고 배산(拜山)의 들에서 맞아 싸웠다. 온달이 선봉이 되어 날래게 싸워 수십여 명의 목을 베니, 모든 군사들이 승세를 타고 떨쳐 공격하여 크게 이겼다.

《삼국사기》 <온달 열전>.


그 뒤에 주(周)의 무제(武帝)가 지나 북쪽을 통일하여 위염을 떨치고 , 고구려의 강함을 시기하여 요동에 침입해와서 배산(拜山)의 들에서 맞아 싸우는데, 어떤 사람이 혼자서 용감하게 나가 싸웠다. 칼 쓰는 솜씨가 능란하고 활 쏘는 재주도 신묘하여 수백 명 적의 군사를 순식 간에 목베었다. 알아보니 그는 곧 온달이었다.

《조선상고사》

양측의 군대가 배산(拜山)의 벌판에서 마주하게 되고 이어 회전이 벌어졌는데 이때 평원왕의 사위였던 온달이 선봉에 서서 적진으로 돌격, 수십여명의 목을 베어 승기를 잡고, 이에 고구려군의 사기가 차올라 적들을 쓸어버렸다고 한다.


3. 밝혀지지 않은 것들[편집]


  • 북주가 어떤 이유에서 침공했는지는 알수가 없다. 《조선상고사》에는 고구려의 강함을 경계해 요동을 침공했다고 하고, 일부에서는 북주가 요서지방으로 진출하면서 요서의 패자를 가리기 위해 고구려를 침공했다는 주장을 하기도 한다. 북한의 역사학자인 손영종은 북제의 영주자사 고보녕북주에 반기를 들었고, 평원왕이 이를 지원해주다 북주와 충돌했다는 가설을 주장하기도 했다.

  • 전투가 벌어진 장소에 대해서도 여러가지 논란이 있다.
    • 일반적으로 우리가 흔히 보고 있는 완질본은 조선시대때 재판한 '옥산서원본'과 '정덕본'이다. 이 두 판본에는 온달이 출전한 곳이 배산(拜山)이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1981년에 발견된 '성암본'에는 이산(肄山)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성암본'의 경우에는 앞의 두 판본과 달리 고려시대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따라서 이산이 옳은 표기고, 배산이 오기인 것인지, 아니면 배산이 이산의 이명인지[4], 혹은 이산이 오기인지는 아무도 알수가 없다.
    • 또한 배산이라는 위치도 현재까지 알 수가 없다.


4. 여담[편집]


  • 《통천문》이라는 역사소설의 초반부가 해당 내용을 다루고 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소재만 차용한 것이고 실제 역사와는 다르다.
  • 설민석의 한국사 대모험 9권, 21권에서 나온다.
  • 달이 뜨는 강에서는 주인공 온달의 가장 중요한 전투인 만큼 당연히 나온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5:46:27에 나무위키 배산 전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혹은 이산.[2] 고보녕을 두고 일어난 두 나라의 갈등, 고구려의 팽창을 견제하기 위한 북주의 침입 등 여러가지 가설이 있으나 현재까지 정확한 원인은 불명이다.[3] 위서인 《환단고기》에도 언급되는 그 책이다.[4] 이 경우 배산(拜山)의 '배(拜)' 는 고구려어로 배우다(肄, 익힐 이, 배울 이)를 의미하는 단어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