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석보

덤프버전 :



파일:만석보 유지비.jpg
만석보 유지비

1. 개요
2. 상세
3. 외부 링크
4. 전라북도 기념물 제33호




1. 개요[편집]


전라북도 정읍시 이평면에 있었던 . 동학 농민 혁명의 도화선이 된 시설로 역사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만석보가 있던 터는 '만석보지(萬石洑址)'라는 명칭으로 전라북도 기념물 제33호로 지정됐다.


2. 상세[편집]


당시 전라도의 큰 고을이던 고부군[1]의 군수 조병갑은 익히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탐관오리로 악명을 떨쳤는데, 1892년 조병갑은 인근 동진강을 막는 보 건설 계획을 세우게 된다. 조병갑은 만석보를 건축하기 위하여 많은 세금을 거두었고, 동시에 보 건축 과정에서 많은 농민들을 징발하였다. 백성들 입장에서는 내 농사의 피해도 감수하면서 보 건설에 노동력을 징발당해야 하는데, 여기에다 세금까지 물게 되는 이중고를 겪게된 셈.

당초 조병갑은 만석보가 완공되는 '첫 해에는' 만석보가 설치된 곳의 물을 받는 논에는 수세(수도요금)를 받지 않겠다고 약속했으나, 약속을 헌신짝처럼 저버렸고 이에 분개한 농민들이 1894년 1월, 고부 관아에 몰려가 점령한 뒤, 보를 헐어버리게 된다. 그리고 이는 그해 동아시아의 정세를 흔들게 된 농민전쟁의 첫 걸음이 된다.

공사 2년만에 헐렸으므로 당연히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다. 만석보 터에서 신평리 쪽으로 약 3km 정도 가면 동학 농민 혁명을 기리기 위한 만석보 유지비가 있다. 만석보 유지비는 1973년 세워졌다.


3. 외부 링크[편집]




4. 전라북도 기념물 제33호[편집]



보(洑)라는 것은 논에 물을 대기 위하여 둑을 쌓고 냇물을 가두어 두는 곳을 말한다.

원래 정읍천과 태인천 상류에 농민들이 설치한 보가 있었으나, 고종 30년(1893) 고부군수 조병갑이 농민들을 강제로 동원하여 두 하천이 합류하는 하류지점에 새로 만석보를 축조하였다. 만석보가 완공된 후 가을에 새 보에 대한 수세라는 명목으로 많은 양의 쌀을 착취하자 농민들이 분개하여 1894년 전봉준을 중심으로 민란을 일으켜 동학농민운동의 발단이 되었다.

만석보는 농민들에 의하여 파괴되어 지금은 둑을 쌓았던 흔적만이 남아있다. 1973년 동학농민운동의 근원지인 이곳을 기념하기 위해 비를 세웠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06:14:09에 나무위키 만석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고부군은 1914년 일제의 부군면 통폐합으로 정읍군(고부면, 이평면 등), 부안군(백산면)에 분할 편입돼 폐지되는 운명을 맞았으나, 당시에는 전주, 남원에 버금가는 현 전라북도 지역의 큰 고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