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버풀 FC/2004-05 시즌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리버풀 FC



리버풀 FC 2004-05 시즌
회장데이비드 무어스 (David Moores)
감독라파엘 베니테스 (Rafael Benitez)
주장스티븐 제라드 (Steven Gerrard)
부주장사미 히피아 (Sami Hyypia)
경과
(시즌 종료)
파일:프리미어 리그 로고 (92-07).svg
5위
(38전 17승 7무 14패 52득점 41실점
2005-06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진출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우승
(15전 8승 4무 3패 20득점 10실점)
파일:fa-cup-2002-2011-logo.jpg3R 탈락
(1전 0승 0무 1패 0득점 1실점)
파일:칼링컵.png준우승
(6전 4승 1무 1패 10득점 4실점)
합산 성적승률 48.33%
60전 29승 12무 19패 82득점 56실점
최다 득점밀란 바로시, 스티븐 제라드, 루이스 가르시아 (13골)
최다 도움욘 아르네 리세, 디트마어 하만, 루이스 가르시아 (8도움)
최다 출전욘 아르네 리세 (57경기[1])

1. 개요
2. 배경
3. 스쿼드
5.1. 64강 vs 번리 (원정, 1:0 패)
6.1. 3라운드 vs 밀월 (원정, 0:3 승)



1. 개요[편집]


2004-05 시즌은 리버풀 FC가 113번째로 맞는 시즌이며, 제라르 울리에 감독의 후임으로 부임한 라파엘 베니테스의 첫 시즌이다. 또한 5번째 챔피언스 리그 우승이라는 대업을 달성한 시즌이기도 하다.


2. 배경[편집]


2000-01 시즌 미니 트레블,[2] 2001-02 시즌 리그 준우승 등의 과업을 달성한 제라르 울리에 감독이 성적 부진의 이유로 팀을 떠나자, 리버풀의 보드진은 직전 시즌 발렌시아 CF라리가 우승으로 이끌며 한창 주가를 올리고 있던 감독, 라파엘 베니테스를 선임한다. 그러나 마이클 오언대니 머피와 같은 팀의 주전 선수들이 떠난 상황에서 맞는 첫 시즌이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리버풀이 top 4는 커녕 top 6 진입도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3. 스쿼드[편집]



리버풀 FC 2004-05 시즌 스쿼드
번호한글 성명로마자 성명포지션국적생년월일비고
1예지 두덱Jerzy DudekGK파일:폴란드 국기.svg1973년 3월 23일
2스테팡 앙쇼Stéphane HenchozDF파일:스위스 국기.svg1974년 9월 7일
3스티브 피넌Steve FinnanDF파일:아일랜드 국기.svg1976년 4월 24일
4사미 히피아Sami HyypiäDF파일:핀란드 국기.svg1973년 10월 7일
5밀란 바로시Milan BarošFW파일:체코 국기.svg1981년 10월 28일
6욘 아르네 리세John Arne RiiseDF파일:노르웨이 국기.svg1980년 9월 24일
7해리 큐얼Harry KewellMF파일:호주 국기.svg1978년 9월 22일
8스티븐 제라드Steven GerrardMF파일:잉글랜드 국기.svg1980년 5월 30일파일:주장 아이콘.svg
9지브릴 시세Djbril CisséFW파일:프랑스 국기.svg1981년 8월 12일
10루이스 가르시아Luis GarcíaMF파일:스페인 국기.svg1978년 6월 24일
11블라디미르 슈미체르Vladimír ŠmicerMF파일:체코 국기.svg1973년 5월 24일
12마우리시오 펠레그리노Mauricio PellegrinoDF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1971년 10월 5일
13앙토니 르탈렉Anthony Le TallecMF파일:프랑스 국기.svg1984년 10월 3일
14사비 알론소Xabi AlonsoMF파일:스페인 국기.svg1981년 11월 25일
15살리프 디아오Salif DiaoMF파일:세네갈 국기.svg1977년 2월 10일
16디트마어 하만Dietmar HamannMF파일:독일 국기.svg1973년 8월 27일
17호세미JosemiDF파일:스페인 국기.svg1979년 11월 15일
18안토니오 누녜스Antonio NúñezMF파일:스페인 국기.svg1979년 1월 15일
19페르난도 모리엔테스Fernando MorientesFW파일:스페인 국기.svg1976년 4월 5일
20스콧 카슨Scott CarsonGK파일:잉글랜드 국기.svg1985년 11월 3일
21지미 트라오레Djimi TraoréDF파일:말리 국기.svg1980년 3월 1일
22크리스 커클랜드Chris KirklandGK파일:잉글랜드 국기.svg1981년 5월 2일
23제이미 캐러거Jamie CarragherDF파일:잉글랜드 국기.svg1978년 1월 28일
24플로랭 시나마 퐁골Florent Sinama PongolleFW파일:프랑스 국기.svg1984년 10월 20일
25이고르 비슈찬Igor BišćanMF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1978년 5월 4일
28스티븐 워녹Stephen WarnockDF파일:잉글랜드 국기.svg1981년 12월 12일
31데이비드 레이븐David RavenDF파일:잉글랜드 국기.svg1985년 3월 10일
32존 웰시John WelshMF파일:잉글랜드 국기.svg1984년 1월 10일
33닐 멜러Neil MellorFW파일:잉글랜드 국기.svg1982년 11월 4일
34대런 포터Darren PotterMF파일:아일랜드 국기.svg1984년 12월 21일
37잭 휘트브레드Zak WhitbreadDF파일:미국 국기.svg1984년 1월 10일
41마크 스미스Mark SmythMF파일:잉글랜드 국기.svg1985년 1월 9일
리버풀은 이 시즌 프리미어 리그에서 가장 다양한 국적을 보유한 팀이었는데, 무려 16개의 국적을 보유한 팀이었다.


4. 프리미어 리그[편집]


리버풀 FC 2004-05 프리미어 리그
전반기
R12345678910111213141516171819
상대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파일:맨체스터 시티 FC 로고.svg파일:볼턴 원더러스 FC 로고.svg파일: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로고.svg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파일:노리치 시티 FC 로고.svg파일:첼시 FC 로고.svg파일:풀럼 FC 로고.svg파일:찰턴 애슬레틱 FC 로고.svg파일:블랙번 로버스 FC 로고.svg파일:버밍엄 시티 FC 로고.svg파일:크리스탈 팰리스 FC 로고.svg파일:미들즈브러 FC 로고.svg파일:아스날 FC 로고.svg파일:아스톤 빌라 FC 로고.svg파일:에버튼 FC 로고.svg파일:포츠머스 FC 로고.svg파일:뉴캐슬 유나이티드 FC 로고.svg파일: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로고.svg
구장AHAHAHAAHAHHAHAAHHA
1203130422030210135
1110201202122111110
결과
승점144771010131617172020232424252831
후반기
R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
상대파일:사우스햄튼 FC 로고.svg파일:첼시 FC 로고.svg파일:노리치 시티 FC 로고.svg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파일:사우스햄튼 FC 로고.svg파일:찰턴 애슬레틱 FC 로고.svg파일:풀럼 FC 로고.svg파일:버밍엄 시티 FC 로고.svg파일:뉴캐슬 유나이티드 FC 로고.svg파일:블랙번 로버스 FC 로고.svg파일:에버튼 FC 로고.svg파일:볼턴 원더러스 FC 로고.svg파일:맨체스터 시티 FC 로고.svg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파일:포츠머스 FC 로고.svg파일:크리스탈 팰리스 FC 로고.svg파일:미들즈브러 FC 로고.svg파일:아스날 FC 로고.svg파일:아스톤 빌라 FC 로고.svg
구장HHAHAAHAAHHHAHAAHAH
1020023000210220112
0111211210101211131
결과
승점34343737374043434344475050515454555558
이 시즌 리버풀의 리그 성적을 설명하자면 한 마디로 좆망. 지난 시즌도 승점 60점으로 망했지만 다른 팀들도 삽질하는 덕에 역대 최저 승점으로 UEFA 챔피언스 리그에 출전할 수 있었으나,[3] 이 시즌은 그보다 낮은 58점의 승점을 기록하며 이웃사촌 에버튼에게 3점 차로 밀려 순위로 UEFA 챔피언스 리그에 출전하지 못하게 되었다.[4]

이 시즌 리그에서의 실패 요인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형편없는 득점력. 위 기록에서도 보다시피 리그 최다 득점자인 밀란 바로시가 고작 9골을 집어넣었다.[5] 리그 두 자리 수 득점자가 전무했다는 뜻인데, 덕분에 리버풀은 총 리그 52득점으로 끔찍한 득점력을 보여주었다.

둘째, 심각한 원정 고자. 홈에서는 명불허전 안필드답게 12승 4무 3패로 준수한 성적을 냈지만, 원정에서 무려 5승 3무 11패를 기록하며 강등권에 가까운 최악의 원정 성적을 보여주었다. 게다가 홈에서의 득실차는 +16인 반면, 원정에서의 득실차는 -5로 마무리 하며 리버풀의 원정 잔혹사를 여실히 증명하였다.

다른 요인을 하나 더 뽑자면 후반기로 갈수록 리그에서는 답이 안 보였는지 챔스에서 힘을 더욱 주는 경향을 나타냈는데, 베니테스의 이 판단이 결국 통하면서 21년만의 빅 이어를 들어올리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된다.


5. FA컵[편집]



5.1. 64강 vs 번리 (원정, 1:0 패)[편집]


파일:fa-cup-2002-2011-logo.jpg
2004-05 FA컵 64강
2005년 1월 18일 화요일
터프 무어 (번리)
주심: 마크 클라텐버그
관중: 19,033명
파일:Burnley_FC_logo_2009.png1 : 0파일:리버풀 FC 로고.svg
번리리버풀
51' (OG) 지미 트라오레파일:득점 아이콘.svg-
2부 중위권에 위치한 번리를 만나 낙승이 예상됐으나 가볍게 생각했다가 역대급 졸전을 펼치고 만 경기다.

두덱히피아를 제외하고 리버풀은 모조리 로테이션을 가동했는데, 벤치 멤버들이 골문 앞까지 가져가도 못 넣는 대환장쇼를 펼쳤는데다가 지미 트라오레의 자책골이 그 방점을 찍으며[6] 리버풀은 허무하게 FA컵에서 광탈했다.[7]


6. 리그컵[편집]



6.1. 3라운드 vs 밀월 (원정, 0:3 승)[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3-11 01:41:29에 나무위키 리버풀 FC/2004-05 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리그 37경기, 챔피언스리그 15경기, EFL컵 5경기[2] UEFA컵, FA컵, 리그컵 우승.[3] 1992-93 시즌부터 2022-23 시즌까지 승점의 평균을 냈을 때, 챔스에 진출하기 위한 4위의 평균 승점은 약 70점이었다. 03-04 리버풀은 이보다 10점 낮았는데 4위를 한 것.[4] 물론 다른 방법으로 진출하지만.[5] 이마저도 크리스탈 팰리스와의 경기에서 해트트릭으로 몰아 넣으며 실질적으로 득점에 성공한 경기는 7경기다.[6] 지미의 이 자책골은 아직까지도 회자되는 환상적인 (...) 자책골이다.[7] 번리는 32강에서 블랙번을 만나 마찬가지로 광탈한다.